- 원아이드잭
- 조회 수 3232
- 댓글 수 3
- 추천 수 0

< 프롤로그 >
바로 한달전쯤의 일이다. 여차여차한 일(밝히고 싶지 않다는 야그다..쩝)로 외박을 해야만 했던 그날밤 우연히 들렀던 편의점에서 이 책이 원잭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제목부터가 일단 쇼킹하다. 그리고 언젠가 신문광고면에서도 원잭을 유혹했던 전력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바로 충동적으로 구입하고야 말았다. 약간의 설레임과 흥분을 느끼면서..^^
< 도발적인 딜레마 >
동시에 두 여자를 혹은 두 남자를 사랑하는 것이 가능한가? 혹는 그래도 되는 것인가? 이런 의문을 한번쯤 떠올려본 적이 있었을 것이다. 무협지에 열광했던 원잭을 포함한 남정네들이라면 더더욱 그 환타지속의 영웅호색에 대한 부러움을 가슴 한구석에 담고 있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위의 질문에서 사랑이라는 단어를 결혼으로 대체해 보자. 더욱 심란하고 어려운 질문이 될 것이나 본질은 변함이 없을 것이다. 이성적인 판단으로 상호합의하에 이른바 '폴리아모리'(비독점적 다자연애)가 진행된다 하더라도 그 이후에 파생되는 다양한 형태의 감정변화를 감당하고 이전의 합의를 과연 유지할 수 있을지 궁금할 뿐이다.
바로 이 딜레마를 '아내가 결혼했다'는 정면으로 다룬다. 그것도 도저히 눈을 뗄 수 없는 가독성으로 무장한채 말이다. 이 소설의 화자는 아내가 '결혼'하는 것을 어쩔 수 없이 허락하고 지켜보고 겪어야 하는 '첫번째' 남편이고 그의 모든 느낌은 사실적이고 충분히 안쓰럽다. 아마도 대부분의 독자는 그의 편이 되어서 이 소설을 끝까지 읽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것이다.
현실에서는 웬만한 강심장으로 세상과의 철저한 유리를 감수하지 않고서는 시도하기 불가능한 이 딜레마를 간접 경험하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어 보인다. 화자인 첫번째 남편이 되어 보기도 하고, 그 보다는 더욱 의연하게 중혼을 받아들이는 가해자틱한 두번째 남편으로 살아보다가 마지막으로 이 모든 원인과 결과를 주도하는 매우 탁월한 조율능력과 매력을 지닌 아내로서 두 남편을 단도리 하는 경험을 할 수 있을터이니 말이다.
원잭은 궁금하다. 다른 이들은 이 경험을 통해 어떤 느낌과 단상을 갖게될런지. 사랑과 결혼에 대한 좀 더 폭넓고 새로운 사고를 해보고 싶다면 일독을 권하고 싶다. 결코 심심하거나 지나치게 고민스럽게 만들지 않는 재미있고 의미있는 축구 이야기가 보너스로 매우 오밀조밀하게 담겨져 있으니 후회는 없으리라.
< 에필로그 >
인간이 지금까지의 문명을 통해서 만들어 낸 수많은 제도, 특히나 세계인 거의 대부분이 수용하고 있는듯 보이는 매우 공통적이고 당연한 제도들에 대해서 한번쯤 색다른 시각을 가져보는 것도 눈에 보이지 않은 것들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가 되지는 않을까. 보이지 않는 무언가를 발견하는 재미를 조금씩 알아가는 요즘이다..^^
댓글
3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612 | 그 책과 처음 만나는 肉感의 순간 | 한명석 | 2006.09.25 | 2951 |
611 | Leader 는 Reader이다.-워렌 베니스 [1] | 도명수 | 2006.09.20 | 3487 |
610 | 대지, 빛, 강 그리고 껍데기 - 신동엽의 시선집 | 정재엽 | 2006.09.20 | 3157 |
609 | 두 글자의 철학-나의 글자여행2 [2] | 도명수 | 2006.09.19 | 3799 |
608 | 목민심서 [1] | 정경빈 | 2006.09.19 | 3954 |
607 |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7] | 박소정 | 2006.09.18 | 2939 |
606 | 내가 춤출 수 없다면 혁명이 아니다! [1] | 한명석 | 2006.09.16 | 2993 |
605 | 걷지 않은 길, 로버트 프로스트 [3] | 김귀자 | 2006.09.15 | 5483 |
604 | 삶에 지친 그대에게 [3] | 한명석 | 2006.09.12 | 3337 |
603 | 나는 이론에서 배우지 못한다 [5] | 한명석 | 2006.09.12 | 2881 |
» |
'아내가 결혼했다' - 축구 vs 중혼 ![]() | 원아이드잭 | 2006.09.11 | 3232 |
601 | 성공으로 가는 의식ritual [1] | 한명석 | 2006.09.11 | 2856 |
600 | 리더와 리더십 [3] | 박소정 | 2006.09.08 | 3438 |
599 | 서드 에이지 [6] | 한명석 | 2006.09.06 | 3233 |
598 | 프랑스 영화의 어떤 경향- 프랑소와 트뤼포 | 정재엽 | 2006.09.06 | 7024 |
597 | 신영복의 "더불어숲" | 한명석 | 2006.09.05 | 2752 |
596 | 24: 잭웰치의 끝없는 도전과 용기 | 김귀자 | 2006.09.03 | 2865 |
595 | 윤후명의 "꽃" | 한명석 | 2006.09.03 | 2714 |
594 | 우리시대의 씰크로드 - 씰크로드학 | 정재엽 | 2006.09.02 | 2675 |
593 | 리더쉽, 그 흔해 빠진 보석 -워렌 베니스의 리더와 리더십 [2] | 정재엽 | 2006.09.02 | 39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