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 김귀자
  • 조회 수 5049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06년 9월 15일 03시 15분 등록
로버트 프로스트의 <걷지 않은 길>, 이상옥 역


1.
나는 시가 싫었다. 시가 남기는 무수한 여백들, 시어가 주는 난해함. 내가 오로지 좋아했던 시인은 김삿갓과 류시화 뿐이었다. 가슴을 쪽 빨아 당기는 그 깔끔함. 나는 마음으로 와닿지 않는 시, 말만 어려운 시는 시도 아니라고 여겼다. 여리디 여린 감수성이 남긴 인생의 치기어린 고백일 뿐이라고.

지금은 모르겠다. 가끔 시들을 보며 어디서 이런 고운 말들을 길러냈을까 가만히 들여다볼때가 있다. 여전히 시가 주는 여백은 감당하지 못한다. 그러나 조금씩 시에 다가가는 나를 볼때, 언젠가 시를 즐길수도 있게 되지 않을까.

긴 책들만 읽다가 짧은 글을 마주했을 때의 기쁨, 그러나 꼭 짧다고 쉽게 읽히는건 아니다. 오히려 더 힘들었다. 로버트 프로스트는 내가 중학교 때 오빠가 읊어준 '걷지 않은 길'의 한 구절 때문에 뇌리에 깊이 박힌 인상이 있었다. 내심 기대하고 보았지만...솔직히 말해 읽어도 잘 모르겠다. 다른 분들의 리뷰가 얼른 올라오기를 기다리는 심정으로 먼저 쇄기를 박는다.
영시는 특히 번역이 반을 차지한다고 생각하는 데 역자 이상옥이란 자는 영문과 교수임에도 굉장한 진부함으로 시를 망쳐놓고 있었다. 영문과 교수가 아니라, 시인이 이 시들을 옮겼다면 어땠을까? 내내 생각했다. 어쨌든 무척이나 실망했고, 무척이나 마음에 들지 않았다. 그래서 오기로 영어판으로 시를 읽었는데, 아다시피 더 이해가 가지 않았다. 내 꼭 영어를 잘해서 영어로 이해하겠다는 다짐만이 허공을 맴돌았을 뿐.

2.
걷지 않은 길

....................로버트 프로스트


노랗게 물든 숲속에 둘로 갈라진 길,
이 한 몸 한꺼번에 두 길을 갈 수 없어
섭섭히 여기며 오랫동안 서 있었네.
눈이 미치는 데까지 한 쪽 길을 바라보았네,
길이 휘어 덤불로 사라지는 곳까지.

이윽고 다른 쪽을 걸으니 역시 아름다운 길,
풀이 무성하고 인적이 덜해
마음이 그쪽으로 더 끌린 걸까.
하기야 지나다닌 흔적으로 말하자면
두 길이 거진 같았었지.

그날 아침 두 길 모두 잎이 덮여 있었는데
아직은 아무도 걸은 자국 없었지.
어쩌랴, 첫째 길은 훗날 걸을 수밖에!
하지만 길이 길로 통하는 세상이니
그 길을 걷게 될 날 기약 없었네.

멀고 먼 훗날 어딘가에서
한숨지며 오늘 일을 말하고 있으리라.
숲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는데,
인적 드문 길을 택했노라고,
그것이 모든 운명을 바꿔놓았다고


읽으며 나는 어느 길 위에 있을까 생각했다.
아마도 어느길로 갈까 생각하며 어느 길을 택해야 좋을지 몰라 우두커니 서있는 첫째 연의 세번째 행의 모습이겠지.
내가 택했던 하나의 길...그것이 모든 것을 바꿨다고.
이걸 읽으며 이곳을 생각했다. 이것이야말로
인적 드문 길을 택하려는 사람들이
한무더기 있는 곳이 아닌가!

(그래도 이 시가 번역이 나은 축에 든다. 그나마도 내가 읽은 책은 그 전판이라, 마지막이 '인적이 덜한 길을 택했었기에 오늘의 이 운명이 정해졌다고.' 라고 번역되어 있다. 나라고 더 잘하지는 못했겠지만, 최소한 그실력이면 안하는게 낫다고 사려된다.)


3.
뉴 잉글랜드 대표적 시인으로 성공적인 삶을 살다간 로버트 프로스트.
그는 서문에 "시는 환희로 시작하여 지혜로 끝난다"고 말했다.
일상생활의 사물들에게서 발견하는 느끼는 놀람, 그리고 이 발견의 환희를 자아와 주위 세계에 대한 성찰의 계기로 삼음으로써 지혜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지당하신 말씀이다. 모든 문학의 목적이 그것이 아닌던가.

시인이 발견한 세계속의 새로운 세계에 전혀 동조되지 못하고
시집을 덮는 다는 것이 슬픈 일이다.
그 안에서 나의 느낌을 전혀 퍼올리지 못한다는 것도 안타까운 일이다.

시는 나에게 있어 물을 긷기엔 너무 큰 종이 양동이가 아닌가 싶다.
아무래도....시의 한쪽에 나의 모습을 묻는걸로 만족해야겠다.
IP *.145.125.146

프로필 이미지
부지깽이
2006.09.15 09:52:53 *.116.34.218
번역이 좋은 것을 골라야지. 여러 version을 뒤적이며 좋은 것을 찾아 내는 맛도 있지. 귀자는 그럼 먼저 장영희 선생의 '생일'을 보도록 해라.
프로필 이미지
아무도안
2006.09.15 14:32:25 *.218.253.253
전에 고 김남주 시인이 감옥에서 번역하여 출간했던 번역시집 두권이 있지요.. '은박지에 새긴 사랑'과 '아침 저녁으로 읽기 위하여'였던가.. 보면서, 역시 시인이 번역해선지 참 느낌이 잘 와닿고 좋던 기억이 납니다. 좋은 번역이 많이 필요해요.
프로필 이미지
야옹이
2006.09.18 09:16:13 *.56.151.106
'장영희의 영미시산책'이라는 문구를 보고 <생일>을 구입했어요. 김점선 님의 아름답고 따스한 그림과 잘~ 어울리는 글들이.. 가득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32 성공으로 가는 의식ritual [1] 한명석 2006.09.11 2103
4431 '아내가 결혼했다' - 축구 vs 중혼 file [3] 원아이드잭 2006.09.11 2882
4430 나는 이론에서 배우지 못한다 [5] 한명석 2006.09.12 2356
4429 삶에 지친 그대에게 [3] 한명석 2006.09.12 3013
» 걷지 않은 길, 로버트 프로스트 [3] 김귀자 2006.09.15 5049
4427 내가 춤출 수 없다면 혁명이 아니다! [1] 한명석 2006.09.16 2640
4426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7] 박소정 2006.09.18 2619
4425 목민심서 [1] 정경빈 2006.09.19 3609
4424 두 글자의 철학-나의 글자여행2 [2] 도명수 2006.09.19 3409
4423 대지, 빛, 강 그리고 껍데기 - 신동엽의 시선집 정재엽 2006.09.20 2808
4422 Leader 는 Reader이다.-워렌 베니스 [1] 도명수 2006.09.20 2752
4421 그 책과 처음 만나는 肉感의 순간 한명석 2006.09.25 2371
4420 시집 2권 - 시는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1] 경빈 2006.09.29 2558
4419 미래를 읽는 힘-메가트렌드2010 도명수 2006.09.29 2635
4418 톰피터스의 -디자인 에센셜 [1] [2] 꿈꾸는간디 2006.09.29 3058
4417 눈물나게 좋은 책 [4] 한명석 2006.10.01 3950
4416 반 고흐, 영혼의 편지 // VINCENT VAN GOGH 지음, 신성림 옮김 [2] 다뎀뵤 2006.10.03 3042
4415 산 자와 죽은 자들 가리지 않고 [1] 한명석 2006.10.04 2212
4414 부동산투자는 과학이다-24 [2] 도명수 2006.10.05 3010
4413 B급 좌파 [1] 한명석 2006.10.07 2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