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2007년 7월 26일 01시 27분 등록
+ 글이 써지는대로 감상하기
책을 읽고 돌아보니, 오늘날 우리에게 집은 물질적인 의미로 가득하다. 강남에 사는지 강북에 사는지, 집은 몇 평인지, 어떤 건설사가 지었는지, 내부는 고급스러운지, 그래서 결론적으로 내 집값이 얼마라서 나중에 얼마에 팔 수 있을까, 등의 물질적인 의미로 가득하고 우리는 그 물질적인 의미를 쫓아가기에 바쁘다.

이 책에서 알려주는 흙집은 인간적인 의미로 가득하다. 집은 인간을 위해 탄생하였기 때문에 인간의 편의를 위한 각종 기술들의 집합체다. 요즘 물질적인 집들은 겉으로 드러나는 인간의 편의를 위한 기술들로 가득차 있는것 같은데, 흙집은 인간의 정신적인 안정과, 신체적인 건강과, 자연친화적인 기술로 가득차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의 시작은 지은이가 평범한 도시 생활을 하다가 어떻게 흙집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지 설명하면서, 삶에 대한 철학적인 관점에서 쓰기 시작한다. 지은이는 자기가 인간으로써 기본적으로 갖춰야될 지식인 식(먹는것), 주(집), 의(의술)를 모르고 바쁘게만 살아야 되는 현실에 회의를 느끼고 관련 지식을 공부하다가 흙집 짓기를 알게되고 실천하였다고 한다.

자연의 에너지를 받을 수 없고, 자원의 낭비가 심하고, 그것들이 버려졌을때 자연의 훼손이 심한 콘크리트 같은 꽉 막힌 공간안에 사는 우리들이 안쓰럽다고 설명하면서, 흙집은 인간과 자연이 하나되어 어울리는 자연친화적인 궁극의 목적에 충실한 훌륭한 집이라고 설명한다.

그 설명들을 읽고보니 내가 사는 집은 그야말로 콘크리트로 꽉 막혀서 답답하게 생활해야만 하는 것 같고, 내가 만약 흙집에 살 수 있다면 자연의 에너지를 가득받아 건강한 삶을 누릴수 있고, 친환경에도 기여한다는 자부심이 생길 것 같았다.

이렇게 기대를 가지고 흙집을 실제로 짓는 과정을 읽었다. 흙집을 짓는 방법을 설명하는 장에서는 실제 생활에 써먹을 수 있는 공구 사용법 등의 노가다 관련 상식으로 가득 했다. 이 상식만 눈여겨 봐도 나중에 필수적으로 노가다를 해야될때 요령있게 써먹을수 있을것 같았다. 그래서 흥미롭고 재미있게 읽었다.

다만 일주일만에 흙집짓기는 혼자서 짓는것은 불가능하고, 집짓기라는 것 자체가 나름대로 큰 규모가 있기 때문에, 여러명이 같이 지어야 가능할것 같다.

그래도 언젠가 흙내음 가득한 산골에 정말로 흙집이라는 나만의 별장을 짓고 평화롭게 살날을 꿈꿔본다.

+ 심드렁한 나의 마음을 두드리고 자리잡은 문장
[72] ..집을 짓기 전에 야외 푸세식 화장실도 만들어 놓는다. 집을 짓는 도중에 볼일을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화장실을 지을 때는 가능한 대소변을 분리해 각각 거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짓도록 한다. 그래야 냄새도 덜 난다. 등겨나 톱밥을 이용해 대변을 발효시켜 다시 밭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하며, 오줌도 똥과 별도로 분리하여 숙성시킨 후 밭 비료로 사용한다. 이런 생태 화장실은 악취가 거의 나지 않는다.

[89] ..기초는 보이지 않는다. 보이는 것은 기둥, 벽체, 지붕일 뿐이다. 보이지 않는 것이 보이는 것을 떠받친다. 보이지 않는 것이 보이는 것을 보이게 한다. 그것은 땅속의 뿌리가 나무의 둥치, 가지, 잎을 받쳐 주는 것과 같다.

[225] ..천장에 숯을 얹는다. 치유의 에너지를 흙집에 넘치게 하기 위함이다. 숯은 음이온을 무한히 방출한다. 숯에서 나오는 음이온이 방전되는 데 사천오만 년이 걸린다니 말이다.

[247] ..대체로 편안하고 좋은 기운이 모이는 구조의 지붕은 돔형 또는 초가집 형태의 지붕이다. 이러한 형태의 지붕은 주변의 산세와도 조화를 이룬다.

출처:mckdh.net
IP *.86.194.43

프로필 이미지
한희주
2007.07.28 06:18:07 *.233.200.118
흙집에 관심이 많아요.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훗날 흙집에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품고 있어요. 치유의 에너지를 넘치게 하려고 천장에 숯을 얹는다는 아이디어가 새롭군요.
한데 아무리 흙으로 짓는 집이래도 어떻게 일주일 만에 공정을 다 마칠 수 있다는 건지 좀 의아해요.
프로필 이미지
산골소년
2007.07.29 00:00:49 *.86.204.8
저도 천장에 숯을 얻는게 신선했고, 특히 자연친화적인 화장실에
관심이 갔어요~ 지금의 수세식 화장실은 물 자원 낭비가 심하고
정화조등의 처리장치가 자연적으로 좋지 않다고 하더라고요~

엄연히 흙집도 나름의 복잡한 공정이 있어서 혼자서는 정말
힘들것 같고요~ 익숙한 여러명이 공동작업을 해야 일주일에
흙집짓기가 가능할것 같습니다. 책을 보니 나름 까다롭던대요~

희주님도 나중에 꼭 흙집 별장 짓길 바래요~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32 #21 파우스트1 (이정학) 모닝 2017.08.29 2300
5031 #3 떠남과 만남(장성한) 뚱냥이 2017.04.24 2319
5030 #3 떠남과 만남 (윤정욱) 윤정욱 2017.04.23 2346
5029 #2 마흔세 살에 다시 시작하다_이수정 [2] 알로하 2017.04.17 2373
5028 #12 철학이야기 1_이수정 알로하 2017.06.26 2377
5027 #7-열정과 기질 왕참치 2014.05.26 2381
5026 [북리뷰] <강의> 다시 읽기 이선형 2011.02.14 2383
5025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 수정 중 종종 2015.01.05 2383
5024 사피엔스(2) - 명상을 통해 쓰여진 인류의 예언서 [1] 보따리아 2017.07.18 2389
5023 #12 철학이야기 1/2 (정승훈) 정승훈 2017.06.25 2390
5022 #13 철학이야기 2/2 (정승훈) 정승훈 2017.07.02 2390
5021 [5월 1주차] #2. 낯선 곳에서의 아침_박진희 file [1] 라비나비 2013.05.06 2392
5020 #37 나는 걷는다 1 (정승훈) 정승훈 2017.12.23 2392
5019 오늘 눈부신 하루를 위하여 박혜홍 2018.08.05 2392
5018 #7-2 그리스로마신화(송의섭) 송의섭 2017.05.29 2393
5017 #40 대통령의 글쓰기 (윤정욱) [1] 윤정욱 2018.01.16 2393
5016 #45 - 진로인문학(이정학) 모닝 2018.02.19 2393
5015 (No.28-1) 두번읽기/ 아니타 로딕 [영적인 비즈니스] 김영사 -서은경 file 서은경 2013.12.16 2394
5014 How to Live, 갈림길에서 삶을 묻다_구달리뷰#24 구름에달가듯이 2014.10.05 2394
5013 #28 코끼리와 벼룩_이수정 알로하 2017.10.16 2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