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 다인
  • 조회 수 2625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07년 8월 22일 21시 33분 등록
천재를 이기는 방법 하니까 생각나는 글이 있습니다.
저도 소개받은 글인데요, 만화가 이현세님이 쓰신 글입니다.

아마 산골소년님이 올려주신 글과는 조금 방법일 거 같습니다.

==========================================

살다 보면 꼭 한번은 재수가 좋든지 나쁘든지 천재를 만나게 된다.
대다수 우리들은 이 천재와 경쟁하다가 상처투성이가 되든지,
아니면 자신의 길을 포기하게 된다. 그리고 평생 주눅 들어 살든지,
아니면 자신의 취미나 재능과는 상관없는 직업을 가지고 평생 못 가본 길에 대해서 동경하며 산다.


이처럼 자신의 분야에서 추월할 수 없는 천재를 만난다는 것은 끔찍하고 잔인한 일이다. 어릴 때 동네에서 그림에 대한 신동이 되고, 학교에서 만화에 대한 재능을 인정받아 만화계에 입문해서 동료들을 만났을 때, 내 재능은 도토리 키 재기라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그 중에 한두 명의 천재를 만났다.

나는 불면증에 시달릴 정도로 매일매일 날밤을 새우다시피 그림을 그리며 살았다. 내 작업실은 이층 다락방이었고 매일 두부장수 아저씨의 종소리가 들리면 남들이 잠자는 시간만큼 나는 더 살았다는 만족감으로 그제서야 쌓인 원고지를 안고 잠들곤 했다.

그러나 그 친구는 한달 내내 술만 마시고 있다가도 며칠 휘갈겨서 가져 오는 원고로 내 원고를 휴지로 만들어 버렸다. 나는 타고난 재능에 대해 원망도 해보고 이를 악물고 그 친구와 경쟁도 해 봤지만 시간이 갈수록 내 상처만 커져갔다. 만화에 대한 흥미가 없어지고 작가가 된다는 생각은 점점 멀어졌다.

내게도 주눅이 들고 상처 입은 마음으로 현실과 타협해서 사회로 나가야 될 시간이 왔다. 그러나 나는 만화에 미쳐 있었다. 새 학기가 열리면 이 천재들과 싸워서 이기는 방법을 학생들에게 꼭 강의한다. 그것은 천재들과 절대로 정면승부를 하지 말라는 것이다.


천재를 만나면 먼저 보내주는 것이 상책이다. 그러면 상처 입을 필요가 없다. 작가의 길은 장거리 마라톤이지 단거리 승부가 아니다. 천재들은 항상 먼저 가기 마련이고, 먼저 가서 뒤돌아보면 세상살이가 시시한 법이고, 그리고 어느 날 신의 벽을 만나 버린다.

인간이 절대로 넘을 수 없는 신의 벽을 만나면 천재는 좌절하고 방황하고 스스로를 파괴한다. 그리고 종내는 할 일을 잃고 멈춰서 버린다. 이처럼 천재를 먼저 보내놓고 10년이든 20년이든 자신이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하루하루를 꾸준히 걷다 보면 어느 날 멈춰버린 그 천재를 추월해서 지나가는 자신을 보게 된다.


산다는 것은 긴긴 세월에 걸쳐 하는 장거리 승부이지 절대로 단거리 승부가 아니다. 만화를 지망하는 학생들은 그림을 잘 그리고 싶어한다. 그렇다면 매일매일 스케치북을 들고 10장의 크로키를 하면 된다.

1년이면 3500장을 그리게 되고 10년이면 3만 5000장의 포즈를 잡게 된다.그 속에는 온갖 인간의 자세와 패션과 풍경이 있다. 한마디로 이 세상에서 그려보지 않은 것은 거의 없는 것이다. 거기에다 좋은 글도 쓰고 싶다면, 매일매일 일기를 쓰고 메모를 하면 된다.

가장 정직하게 내면 세계를 파고 들어가는 설득력과 온갖 상상의 아이디어와 줄거리를 갖게 된다. 자신만이 경험한 가장 진솔한 이야기는 모두에게 감동을 준다. 만화가 이두호 선생은, 항상 “만화는 엉덩이로 그린다.”라고 후배들에게 조언한다. 이 말은 언제나 내게 감동을 준다. 평생을 작가로서 생활하려면 지치지 않는 집중력과 지구력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가끔 지구력 있는 천재도 있다. 그런 천재는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축복이고 보는 것만으로도 감사하다. 그런 천재들은 너무나 많은 즐거움과 혜택을 우리에게 주고 우리들의 갈 길을 제시해 준다. 나는 그런 천재들과 동시대를 산다는 것만 해도 가슴 벅차게 행복하다. 나 같은 사람은 그저 잠들기 전에 한 장의 그림만 더 그리면 된다.


해 지기 전에 딱 한 걸음만 더 걷다보면 어느 날 내 자신이 바라던 모습과 만나게 될 것이다. 그것이 정상이든, 산중턱이든 내가 원하는 것은내가 바라던 만큼만 있으면 되는 것이다.



< 2005년 2월 만화가 이현세 >

IP *.102.141.213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07.08.23 03:50:10 *.131.127.53
나는 내가 배운 단 하나의 진실을 내 자식에게 물려줄 것이다.

' 원하는데 잘 안되면 될 때까지 하면 된다.'

그래서 나는 그 말을 신봉한다.
" 못해서 안 하는게 아니라 안해서 못하는 거다."

그리고, 인내심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이 알고 있는 모든 것을 원하는 것 하나로 연결해
두면 된다.

밥을 먹고 잠을 자고 숨을 쉬는 것까지...

프로필 이미지
산골소년
2007.08.23 11:38:30 *.148.90.156
와~ 감동입니다~
이현세님 정말 멋진분이군요~ 저분의 말씀을 깊이 새겨들어야 겠습니다.
참고글 고맙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종윤
2007.08.23 18:13:46 *.227.22.57
젠장... 마음이 덜컥해버렸다. 아직 사무실인데 자꾸만 눈물이 나려고 한다. 그래... 그래...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07.08.23 20:30:37 *.70.72.121
다인아, 좋은 글을 발견해 내는 것 훌륭한 작가가 할 수 있는 일이고 해야 하는 미덕이 아닐까. 사부님께서 우리 다인을 크게 길러내셨네. 또 우리 다인이 참 옹골찬 어른으로 살아가네. 네가 발췌한 글로 인해 언니야가 울고 있다. 네가 대견해서... 사랑해, 다인아. 사랑해요. 변.경.연 사람들 또 사람들 말이에요.
프로필 이미지
한정화
2007.08.24 00:39:52 *.72.153.12
아, 잠 못자게 만드는 글이네.
우짜라고?
프로필 이미지
최영훈
2007.08.24 13:19:35 *.99.242.60
연구원을 적용해도 좋을듯 하네요.
훌륭한 연구원보다는 꾸준한 연구원이 되자는 각오가
새롭게 활활 타오르네요.
좋은 글 고맙다..다인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2 아름다운 혁명 공익비즈니스 [3] 자로 2007.08.27 2634
1011 CEO 안철수,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안철수 [2] 海瀞 오윤 2007.08.27 2565
1010 [독서21]영적인 비즈니스/ Anita Roddick [1] 素田최영훈 2007.09.03 2519
1009 [21]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 안철수 [2] 써니 2007.08.27 2447
1008 [리뷰020] 영적인 비즈니스, 아니타 로딕 [3] 香山 신종윤 2007.08.27 2600
1007 (20) CEO 안철수, 영혼이 있는 승부 [2] 時田 김도윤 2007.08.27 2435
1006 (21)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 안철수 [3] 박승오 2007.08.27 2846
1005 (021)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 안철수 [1] 校瀞 한정화 2007.08.27 2437
1004 [영적인 비즈니스] 모르는 게 약임을 증명한 사람 [1] 余海 송창용 2007.08.27 2475
1003 칼리피오리나.힘든선택들 [2] 우제 2007.08.28 2520
1002 영혼이 있는 승부 : 안철수 素賢소현 2007.08.27 2456
1001 [021]『영혼이 있는 승부』를 읽고 file [1] 현운 이희석 2007.08.27 2636
1000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 안철수 好瀞 민선 2007.08.27 2518
999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안철수 [2] 香仁 이은남 2007.08.26 2490
» -->[re]천재를 이기는 방법 2 [6] 다인 2007.08.22 2625
997 -->[re]너무 늦기 전에 [2] 다인 2007.08.24 2802
996 삼미 슈퍼 스타즈 마지막 팬클럽 [7] 김귀자 2007.08.24 2893
995 꽃에게 길을 묻다 [2] 한명석 2007.08.22 2955
994 영혼이 있는 승부-CEO안철수 [6] 도명수 2007.08.22 2496
993 이기는 습관을 읽고 (천재를 이기는 방법-1) 산골소년 2007.08.21 7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