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 홍현웅
  • 조회 수 3991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8년 5월 26일 07시 36분 등록
미래의 충격
앨빈 토플러 지음, 장을병 옮김, 범우사

I. 저자에 대하여

앨빈 토플러는 금세기 가장 유명한 미래학자 중의 한사람이다. 1970년 미래의 충격을 발표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그로부터 10년 후 1980년 제3의 물결을 발표했다. 제3의 물결은 최근까지도 그 영향력을 인정받고 있다. 그리고 또 10년 후 그는 권력이동을 들고 세상을 흔들었다. 30년 동안 그가 생각하는 앞으로의 30년 50년을 지속적으로 이야기 했다. 최근 그는 부의 미래 내놓았다. 이 책은 그 내용보다 앨빈 토플러라는 이름의 명성에 날개 돋친 듯이 팔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것은 그의 연구 결과를 많은 사람들이 신뢰한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다음은 그에 대한 설명 자료다.

앨빈 토플러(Alvin Toffler, 1928년10월 3일 ~)은 미국 뉴욕 태생의 미국의 작가이자 미래학자로, 디지털 혁명, 통신 혁명, 사회 혁명, 기업 혁명과 기술적 특이성 등에 대한 저작으로 유명하다. 뉴욕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하였으며 이후에는 미국 중서부 지방에서 5년간 노동자로 산업사회의 대량생산의 현장에서 일해 본 경험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한편 그의 아내인 하이디 토플러는 대학시절 언어학을 전공하는 학생일 때 만나게 되었으며 이후 중서부지방에서 토플러가 노동자로 일하는 동안 그녀는 알루미늄 공장에서 일하면서 노동조합의 간사로 일하기도 하였다. 이때 노조의 지원을 받는 신문에서 일하게 되었으며 이후 펜실바이아 데일리지의 워싱턴 지국에서 일하게 되면서 3년 동안 미국 의회와 백악관 출입 기자를 하게 되었다. 이후 뉴욕으로 돌아와서 포춘(Fortune)지의 노동관계 컬럼니스트로 일하게 되었고 이때부터 경제와 경영 그리고 기술과 기술에 의한 영향에 대한 관심사를 넓혀갔으며 이에 대한 저술이 시작되었다. 이후 그의 관심은 사회의 변혁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는 것으로 이어졌으며 21세기 군사 무기와 기술의 발달에 의한 힘의 증가와 자본주의의 발달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활동 했다. 포춘을 따나게 되면서 IBM사의 의뢰로 사회와 조직이 어떻게 컴퓨터에의해 영향받는지에 대한 논문을 썼다. 이때 그는 컴퓨터 업계의 전설적인 대가들과 인공지능 전문가들과 교류하게 되었으며 제록스사는 제록스 연구서에 대한 기사를 의뢰하고 AT&T는 전략상 자문을 의뢰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활동은 이후 발전하는 통신기술에 대한 연구로 이어 졌으며 정부에 의한 AT&T의 해체를 이보다 십여년전에 예측하기도 했다.
1960년대 중반에 그는 <미래의 충격>을 저술하기 시작했으며 이 책으로 인해 그의 작가이자 강사로서의 경력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996년에는 톰 존슨과 함께 토플러 어소시에이츠를 설립하였으며 이 회사를 통해 그가 가진 아이디어들을 실현화하는 활동을 벌였다. 대한민국, 맥시코, 싱가폴, 오스트레일리아, 미국의 정부들과 비정부민간단체, 일반기업들을 대상으로 컨설팅 프로젝트를 수행해 오고 있다. 그는 그의 아내이자 공동저자인 하이디 토플러와 함께 활동하며 그들은 현재 미국의 로스엔젤레스에 거주하고 있다. 파이낸셜 타임즈지에 따르면 그는 "세계에서 가능 유명한 미래학자"로 불리워지고 있다.
위키백과사전 발췌


주요저서
《미래쇼크(Future Shock)》, 1970년
《에코스파즘(The Eco-Spasm Report)》, 1975년
《제3의 물결(The Third Wave)》, 1980년
《권력이동(Powershift: Knowledge, Wealth and Violence at the Edge of the 21st Century )》, 1990년
《전쟁과 반전쟁(War and Anti-War)》, 1995년
《부의 미래(Revolutionary Wealth)》, 2006년, 김중웅 옮김, 청림출판


II. 마음을 무찔러 드는 글귀

머리말
이 책은 인간이 급격한 변화에 직면했을 때 어떠한 현상이 빚어질 것인가, 그리고 인간이 어떻게 하면 미래에 적응할 수 있는가(아니면 어떠한 때에 적응할 수 없는가) 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15p

크게는 사회적으로나 아니면 인간의 개인적인 문제 또는 변화의 진도를 조절하는 일을 재빨리 배우지 않는다면, 우리는 대대적인 적응(適應) 파탄에 직면할 것임을 이 책은 강조하고 있다. 15p

미래의 충격은 먼 곳에 있는 잠재적인 위험이 아니라 벌써 많은 사람들이 점점 고통을 느끼고 있는 실재의 질병임이 분명하다는 것이다. 16p

똑같은 처지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사람들은 변화를 일으키는 데 전력을 기울임으로써 변화를 갈망하고 심지어 광분하기까지 하는 반면 다른 일부 사람들은 변화를 피하려고 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16p

이제까지 인간은 현재를 밝히기 위해 과거를 연구해 왔다. 나는 시간의 거울을 여기저기에 비춰 본 결과, 조리 있게 그려진 미래의 모습이 우리에게 오늘에 대한 값진 통찰력을 마려해 준다는 사실을 확신하기에 이르렀다. 17p

제1부 영속성의 종말
제1장 8백 번째의 생명대(生命代)

미래의 충격은 시간적 현상으로, 변화가 심한 가속도의 산물이다. 이것은 낡은 문화에 새로운 문화를 중첩시킴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으로, 한 사회 안에서 빚어지는 문화의 충격이다. 23p

예를 들면 인간이 출현한 이후의 지난 5만년을 대략 62년이란 생명대(生命代)로 각기 나누어 본다면 약 8백 번의 생명대가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 8백 번의 생명대 중에서 6백 50번의 생명대는 동굴에서 보냈다.
지난 70번의 생명대 동안에만 한 생명대로부터 다음 생명대로의 효과적인 커무니케이션, 곧 문자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했다. 그리고 지난 여섯 생명대 동안에만 대다수의 인간들이 인쇄된 글자를 볼 수 있었고, 또 지난 네 생명대 동안에만 정확히 시간을 잴 수 있었으며, 지난 두 생명대 동안에만 누구나 어디서든지 전기 모터를 사용할 수 있었다. 그리고 우리가 오늘날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절대 다수의 물품들은 8백 번째의 생명대인 현재에 이르러 개발되었다. 25p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의 관계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의 범위를 대폭 확대함으로써, 그리고 결정적으로는 변화의 속도를 더함으로써 우리는 돌이킬 수 없을 만큼 과거와 단절되고 있다. 우리는 낡은 사고방식, 인식 방식, 적응 방식으로부터 스스로를 단절시키고 있다. 우리는 아주 새로운 사회를 위한 무대(舞臺)를 마련해 놓고 그리고 향해 달려가고 있다. 이것이 이른바 8백 번째 생명대의 요체(要諦)이다. 그리고 이것이 인간의 적응 능력에 의문을 품는 이유이다. 이 새로운 사회에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새로운 사회의 여러 명제(命題)에 적응할 수 있는가? 적응할 수 없다면 이러한 명제들을 변경시킬 수 있는가? 28p

제2장 가속적 추진력

심지어 우리 젊은이들 중에서도 변화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 이를테면 전혀 과거를 모르기 때문에 현재가 비정상임을 알지 못하는 학생들을 발견할 수 있다. 30p

이렇게 볼 때 70년의 인생에는 아마 다섯 번에 걸친 배가 현상이 있을 것인데, 증가가 누적적이기 때문에 한 개인이 늙은이가 되면 그가 속한 사회의 생산량은 그가 태너났을 때에 비해 32배나 될 것이다. 33p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은 “지식은....... 힘이다”라고 했다. 지금이 말은 현대적인 용어로 풀이해 볼 수 있는데 우리 사회 구조에서는 “지식은 변화”라고 표현해 볼 수 있다. 그리고 가속적인 지식 습득은 기술과학의 거대한 엔진에 연료를 공급함으로써 그것이 곧 가속적인 변화를 뜻하고 있다. 40p

우리가 매래의 충격이라고 이름 붙인 것을 피해 살아 남으려면, 각 개인은 종전보다 월등한 적응력을 지니고 유능해지지 않으면 안 된다. 인간은 스스로를 안주(安住)시킬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된다. 42p

제3장 생활의 변화 속도

나이 먹은 사람들은 더 이상의 어떤 변화의 가속에 대해서도 더욱 강하게 저항하고 있는 것 같다. 연령이 보수주의와 관계가 있다고 보는 데는 확고한 수학적 근거가 있다. 왜냐하면 늙은이로서는 시간이 보다 빨리 지나가는 것으로 의식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쉰 살의 아버지가 열 다섯 살의 자기 아들에게 자가용을 가지려면 2년을 기다려야 한다고 말한다면, 이 730일이란 기간은 아버지가 살아온 세월의 단 4%에 지나지 않지만 아들의 입장에서 보면 그가 경험한 인생의 13% 이상이나 된다. 45-46p

제2부 일시성(一時性)
제4장 사물 : 소모사회(消耗社會)

빈곤한 사회에서는 수요가 먹고 사는 기능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보편적이고 불변적이다. 그러나 풍요로운 사회로 이행됨에 따라 인간의 수요는 점차 생물학적인 생존과의 관계에만 집착되지 않고 고도로 개별화(個別化)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68p

제5장 장소 : 새로운 유목민들

요컨대 초산업화 사회로 이행하는 나라들에서 볼 수 있는 미래의 인간들에게는 이동이란 하나의 생활 방식이고 과거의 속박으로부터의 해방이며 보다 풍요한 미래로의 발돋움인 것이다. 82p

제6장 인간 : 부품(部品) 인간

웨스팅하우스 사(社)의 경우 대졸 기술자의 ‘반생(半生)’이란 불과 10년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것은 바로 그가 배운 지식의 절반이 10년 안에 낡아지고 말 것임을 의미하고 있다. 102p

한 사람의 일생에서 남들과의 접촉이 많아진다는 것은 바로 관계를 맺을 뿐 아니라 단절할 수도 있고 어떤 단체에 가입할 뿐 아니라 탈퇴할 수도 있는, 그러한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적응력이 가장 많은 것으로 여겨지는 사람들은 역시 사회 안에서 가장 많은 혜택을 받고 있는 사람에 속한다. 105p

제7장 조직체(組織體) : 애드호크러시의 도래

기계화된 야수(野獸)에게 먹혀 버릴지도 모른다는 공포 때문에 회사원들은 술집을 찾고 학생들은 항의의 발작을 일으킨다. 111p

실상 우리는 관료 체제에 점차 도전해서 결국 그것을 대신하게 될 새로운 조직 체계의 도래(到來)를 지켜 보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미래의 조직으로서, 나는 ‘에드호크러시(Ad-hocracy, 특수 목적의 조직체)’라 부르기로 한다. 111-112p

관료 체제가 지닌 세 가지 기본 사실은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첫째로 관료적 조직체계에서 개인이란 전통적으로 분업화(分業化)된 상황에서 극히 한정된 자리만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고, 둘째로 개인이란 맨 위에서 맨 아래까지 명령 계통이 서 있는, 이른바 수직적 위계 제도(位階制度)에 얽매여 있다는 것이며, 셋째로 개인의 조직적 관계들이란 베버가 강조한 대로 영속화(永續化)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112p

어떤 조직체에 대한 개인의 관계는 그 조직체에 가입하거나 징집(徵集)되어 성원으로서의 의무를 느낄 때 시작되고, 개인이 조직을 탈퇴하거나 축출될 때, 아니면 그 조직 자체가 없어질 때 끝맺게 된다. 113p

어떤 사람과 한 조직체와의 관계는 그 사람이 그 조직체로부터 이탈할 때도, 그 조직체가 해체될 때도, 아니며 재편성을 통해서 그 조직체가 변질될 때도 단절된다. 113p

개인의 입장에서 보면 변화란 전적으로 새로운 분위기와 새로운 문제들을 안겨 주는 것이다. 조직 계획이 변동되는 것은 어느 한 구조(여기에는 의무와 해택이 함께 있는데)에 대한 개인의 관계가 단절되고 시간적으로 단축됨을 의미한다. 어떤 하나의 변화가 일어날 때마다, 개인은 스스로 방향 조정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116p

어떤 사회가 비교적 안정되고 변하지 않는 한, 그 사회가 인간에게 제기하는 문제들은 일상적(日常的)인 것이어서 예견할 수 있게 마련이다. 그러한 여건 하에서는 조직체계들이 비교적 항구적일 수가 있다. 그러나 변화가 가속될 때는 신기하고 처음 겪는 문제들이 점점 많이 제기되어 전통적 조직 형태가 새로운 조건들에 부적합하게 되고 만다. 말하자면 이러한 조직체들은 이미 대응력을 발휘할 수 없다는 것이다. 119p

또 한 가지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권력 관계에서의 혁명적 변동이 그 것이다. 큰 조직체들은 그 자체의 내부 구조를 변경시켜 일시적인 조직 단위를 만들어 내지 않을 수 없을 뿐 아니라, 그들의 전통적인 명령 계통을 유지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121p

사소한 변화들이 누적되면 의사 전달 체계가 수직적인 형태에서 수평적인 형태로 바뀌는 커다란 변혁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변혁이 의도하는 바는 의사 전달을 보다 신속하게 하자는 데 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그러나 이러한 수평적 과정은 지난날 신성시되었던 관료적 위계 질서에 일대 타격을 안겨 주는 것으로서, 곧 두뇌와 손발의 비유를 허물어 버릴는 것이 된다. 왜냐하면 수직적 명령 계통이 점차 무시됨에 따라 ‘손발’도 역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123p

조직체가 살아 나가려면 이러한 관료적인 관례(慣例)들을 타파하지 않으면 안 된다. 왜냐하면 관료적인 관례들이야말로 조직체들을 무력하게 만들고 조직체들로 하여금 변화에 무감각하고 재빨리 반응할 수 없게 만드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드렉슬 기술과학 연구소의 경제학 교수인 조지프 라파엘에 따르면, 이러한 결과로 해서 우리는 “지도자와 피지도자 사이의 경계선이 흐려지고 기술 동료들이 함께 일하는 사회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125p

베니스에 따르면 이러한 체계 속에 있는 사람들은 “직급과 역할에 따라 수직적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기술과 전문적 수련에 따라 신축성 있게 그리고 기능적으로 구분될 것이다”라는 것이다.
베니스는 계속해서 하나의 임시 작업반으로부터 다른 임시 작업반으로 오가는 이동률이 높기 때문에 “작업 집단에 덜 집착하게 될 것이다. ...... 복잡한 과제들을 위해 협동해야 할 필요가 증대되어 인간의 교제술은 점점 중요시되지만, 어떤 집단 안에서의 응집력은 상대적으로 감소될 것이다. ...... 사람들은 직업상 빠르고 밀도 있는 관계들을 발전시키는 데 숙달돼야 하고 작업 관계는 그다지 오래 지속되는 것이 아님을 마음에 새겨야 한다.”고 지적했다. 127p

제8장 정보 : 활동적 이미지

새로운 지식의 증대는 우리로 하여금 점점 더 좁은 전문 분야로 몰고 가고 아울러 현실에 대한 내면적인 이미지들을 점점 빠리 수정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갈 것임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138p

일시성 즉 인간 관계의 강제적인 단축은 단순히 외부 세계의 조건 탓만은 아니다. 그것은 역시 우리의 내적 요인들과 관계가 있다. 새로운 발견, 새로운 기술과학, 외부 세계의 새로운 사회적 장치 등은 보다 빠른 변동률로 우리의 생활을 뒤흔들어 관계의 지속 기간을 점점 짧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일상 생활의 변화 속도를 점점 빠르게 밀어붙이고 새로운 수준의 적응성을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요소들은 사회를 점차 악화시킬 사회적 질환인 미래의 충격에 대한 무대를 마련하고 있다. 158p

제3부 새로움
제9장 과학의 궤도(軌道)

혁명은 곧 새로움을 뜻한다. 혁명은 수많은 개인의 생활 속으로 새로움의 물결을 흘려보내고, 개인들로 하여금 익숙지 못한 제도와 처음 겪는 상황에 직면하게 만든다. 이렇듯 거대한 변화들은 우리 개인 생활에 깊숙이 스며들어 전통적 가족 구조와 성(性)에 대한 태도를 바꾸어 놓을 것이다. 이러한 변화들은 늙은이와 젊은이들 사이의 전통적인 관계도 파괴할 것이고, 돈과 성공에 관한 우리의 가치관도 뒤집어 버리고 말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들은 일과 놀이와 교육도 감지할 수 없을 만큼 변화시킬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변화들은 극적이고 훌륭하며 놀라운 과학적 진보의 맥락 속에서 이러한 모든 현상을 일으킬 것이다. 161p

화학과 화학공학이 놀라우리만큼 발전한 오늘날에도 농부들이 재배하는 것과 비견할 수 있는 단 한 가지의 식료품도 공업적으로는 생산해 내지 못하고 있음은 주목할 만한 일이라 하겠습니다. 이러한 분야나 그 밖의 많은 분야에서도 자연은 그들이 가장 탁월한 화학 기술자나 연구원, 심지어 인간보다도 훨씬 우월하다 하겠습니다. 168p

제10장 경험을 만드는 사람들

초산업화 혁명은 경제 활동의 수단과 아울러 목적에도 도전하고 있다. 초산업화 혁명은 ‘어떻게’ 생산하느냐의 문제뿐 아니라 ‘왜’ 생산하느냐의 문제도 변화시키려 함으로써 경제 활동의 목적 자체도 변질시키려 한다는 것이다. 187p

제11당 가족의 파괴

가정은 소멸하지도 새로운 황금시대로 접어들지도 않을 수 있다. 가정은 산산이 부서졌다가 아주 새로운 방법으로 재결속될 수도 있는데, 실상 이렇게 될 공산이 큰 것 같다. 202p

제4부 다양성
제12장 선택권 과잉의 기원

얄궂게도 미래의 인간은 선택의 결여가 아니라 선택의 지나친 과잉(過剩)으로 인해서 고통을 받을 수도 있다. 말하자면 미래의 인간은 바로 초산업화 사회의 독특한 문제인 선택권 과잉의 희생물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221p

미래의 기계가 인간을 로봇으로 만들고, 인간의 개성을 박탈하며, 문화적 다양성을 제거하리라고 주장한다면 그것은 상식에서 벗어난 고집 불통이랄 수밖에 없다. 초기의 대량 생산이 다소의 획일성을 초래했다고 해서, 초산업화 시대의 기계들까지 획일성을 조성하리라고는 볼 수 없다. 미래의 전반적인 추진력은 규격화, 곧 획일적인 상품들로부터 동질화된 예술, 대량 생산적 교육 및 대중문화로부터 이탈해 가고 있음이 사실이다. 우리 사회의 기술과학 발전은 변증법적 전환점에 도달하고 있다. 그리고 기술과학은 인간의 개성을 제약하기보다는 인간의 선택과 자유의 폭을 크게 넓힐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얻을 수 있는 물질적, 문화적인 품목들은 많아졌는데, 인간이 이 넓어진 선택에 대처할 만한 준비가 되어 있는가 하는 문제는 전적으로 별개의 문제이다. 왜냐하면 선택이 복잡해지고 어려워지며 비싸져서 개인을 해방시키기보다는 오히려 제약할 날이 올 것이기 때문이다. 요컨대 선택이 선택권 과인이 되고 자유가 부자유로 될 날이 올 것이다. 236p

제13장 하위 문화의 범람

제14장 생활 양식의 다양성

설사 사소한 것이라도 결정은 내리기 어려운 법이다. 결정은 우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오는 압력에 대처하기 위해 확고한 생활 양식에 의존해 있던 때보다 훨씬 사소한 문제들에 대해서도 더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우리는 불안과 압력과 고독을 느껴 움직이게 되고, 새로운 하부 집단에 제 발로 걸어 들어가거나 빨려 들어가는 것을 모른체함으로써 새로운 생활 양식을 택하기에 이른다.
그러므로 초산업화 시대로 나아감에 따라 우리는 앞 세대의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할 만큼 빠른 속도로 생활 양식을 채택했다가 버리는 사람들을 수없이 보게 된다. 왜냐하면 생활 양식 그 자체가 쓰고 버리는 품목이 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264p

"하고 싶은 일을 하라“는 말이 갑자기 널리 퍼지고 있는 것은 이러한 역사적 동향의 반영이다. 왜냐하면 사회가 단편화되거나 분화됨에 따라 보다 많은 생활 양식 유형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사회가 제시하는 생활 양식 모델이 사회에서 많이 받아들여지면 받아들여질수록, 그 사회는 각 개인이 자신의 독특한 일을 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여건이 더욱 갖추어지는 것이다. 266p

미래의 인간은 역사상 어느 집단보다 자기 실현을 위한 계기를 더 많이 향유할 것이다. 266p

우리는 과연 수많은 잠재적 자아들 가운데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 연속적인 자아들 가운데 어느 것이 우리의 모습으로 비칠 것인가? 우리는 가장 개인적이고 감정적인 단계에서 선택의 과잉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 것일까? 다양성과 선택 그리고 자유를 찾아 무모하게 돌진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다양성의 두려운 의미를 검토하는 일에는 아직 착수조차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다양성이 일시성(一時星)이나 새로움과 결합할 때, 사회는 역사적인 적응의 위기로 내닫고 만다. 이럴 때 우리의 환경은 너무나 단명하고 너무나 생소하며 너무나 복잡하기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적응 파탄의 위험에 직면한다. 이러한 파탄이 다름 아닌 미래의 충격인 것이다. 268p

제5부 적응력의 한계

제15장 미래의 충격 : 육체적 차원

아주 오랜 옛날 바다가 축소되자 많은 수생 동물들이 어쩔 수 없이 넓어진 해변에 버려지고 말았다. 익숙한 환경에서 쫓겨난 수생 동물들은 제가기 조금이라도 더 살아 보려고 헐떡거리면서 몸부림치다가 죽어 갔다. 양서(兩棲) 생활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는 운 좋은 소수만이 변화의 충격을 극복하고 살아 남았다. 269p

미래의 충격이란 인간 유기체의 육체적 적응 체계와 그 의사결정 과정의 과도한 부담에서 야기되는 육체적 및 심리적 고통이라고 규정해 볼 수 있다. 좀더 간단히 말하면 미래의 충격이란 과도한 자극에 대한 인간의 반응이라 하겠다. 270p

아서 박사는 다음과 같이 말을 잇고 있다. “신체의 저항력과 변화에 대한 사회의 요구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음에 틀림없다. 우리는 연속적이고 동태적(動態的)인 균형 속에 있다. ..... 여러 가지 해로운 내적, 외적 요소들이 언제나 존재해서 항상 질병을 일으키려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어떤 바이러스 균은 신체 안에 잠복해 있다가 신체의 저항력이 약해질 때만 병을 일으키고 있다. 신경 조직과 내분비 조직을 통해 전달되는 많은 변화 요구에 대해 완벽하게 대처할 수는 없지만, 신체의 저항 체계가 보편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275p

새로운 - 지각될 수 있는 새로움 - 은 신체 내부, 특히 신경 조직 안에서 폭발적인 활동을 촉발시킨다. 정향 반응은 우리의 외부에서 빚어지는 사건의 비율에 따라 우리 내부에서 섬광 전구처럼 터지고 있다. 인간과 환경은 함께 흔들리면서 상호 작용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다. 279p

인간은 결국 원점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인간은 변화를 수용하는 능력에 한계가 있는 생물체다. 이렇게 능력에 부치는 일이 강요되었을 때 미래의 충격이라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283p

제16장 미래의 충격 : 심리적 차원

우리는 대단히 많은 선택을 하도록 강요당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우리는 서서히 발전하던 사회에서 필요했던 것보다 휠씬 빠른 속도로 정보를 처리하도록 강요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의심할 여지없이 적어도 우리 가운데 일부는 인식적 자극의 과잉 상태에 빠져 있다. 이러한 현상이 기술 사회에서의 정신 건강에 어떤 결과를 초래할 것 인가는 앞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294p

윌리 제임스의 말에 따르면, “담배에 불을 붙이고 물 한잔을 마시는 등의 사소한 일을 할 때마다 심사숙고하는 사람보다 더 가련한 사람은 없다.”는 것이다. 우리의 행동을 폭넓게 계획할 수 없다면, 우리는 사소한 일에 너무나 많은 양의 정보 처리 능력을 낭비하게 되기 때문이다. 295p

미래의 충격의 희생자임을 알지도 못하는 이들 거부자는 자기 손으로 자신의 무덤을 파고 있는 것과 같다. 이들의 대응 형태는, 결국 이들이 적응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을 때 처리할 수 있는 문제로부터 하나씩 차례로 다루기보다는 하나의 커다란 생활상의 위기라는 형태로 나타날 가능성을 크게 하는 것이다. 297p

미래의 충격에 대한 세 번째의 공통된 반응은, 전에는 효율적이었지만 이제는 무관하게 부적절한 것이 되어 버린 습관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행위이다. 298p

사회의 합리성은 그 안에 살고 있는 개인들의 합리성을 전제로 하고 있고 개인의 합리성은 신체 조건과 함께 환경의 연속성과 질서 그리고 규칙 등에 의존하고 있다. 이것은 바로 변화의 속도나 복잡성과 인간의 결정 능력 사이에 어느 정도의 상관 관계가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변화의 속도, 새로운 요소의 비중, 선택의 범위 등을 무턱대고 증가시킨다는 것은 이성이 작용할 수 있는 전제 조건이 갖추어진 환경을 마구 뒤흔들어 놓는 결과가 된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사람들에게 미래의 충격을 안겨 주는 셈이다. 304p

제6부 생존을 위한 전략

제17장 내일에의 대처

궁극적으로 변화를 조절하려면 우리는 그 미래를 예견해야만 한다. 그러나 한 사람의 개인적인 미래가 어느 정도 예견될 수 있다는 견해는 옛날부터 내려오는 통속적인 편견과 상치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이 미래는 알수 없는 것이라고 깊이 믿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앞에 가로 놓여 있는 일부 변화, 특히 어느 정도 크고 구조적인 변화에 대한 가능성을 예측해 볼 수 있는 것이 사실이고, 개인적인 안정대를 설계하는 데 이러한 지식을 활용할 방법까지 있는 것이다. 312p

자신의 미래를 얼핏 살펴 볼 수도 있고, ‘시간과 감정의 예측’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을 주기적으로 마련하여 앞에 가로 놓인 전체적인 변화의 수준도 산출해 낼 수 있다. 시간과 감정의 예측이란 생활의 여러 가지 주요 측면에 투입되는 시간과 정서적 에너지의 비율을 산출해 내려는 시도이다. 그것은 또 시간과 정서적 에너지가 수년간에 걸쳐 어떻게 변할 것인가를 알아보려는 시도이다. 313p

현재의 생활 변화 가운데 상담으로 도움을 줄 수 없는 것들이 많을 뿐아니라, 앞으로 새로운 요소가 더 많아지면 사람들은 완전히 새로운 종류의 개인적 위기에 휩쓸리게 될 것이다. 318p

제18장 미래 시제의 교육

미래의 충격을 피할 수 있으려면 우리는 초산업화 시대에 알맞은 교육 제도를 만들어 내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새로운 교육제도를 만들어 내려면 우리는 과거보다 미래에서의 우리의 목적과 방법을 탐구하지 않으면 안된다. 328p

내일의 기술과학은 소심하게 명령에 따르는 사람들이나, 먹고 살려면 웃사람에게 맹목적으로 복종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다. 미래에는 비판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고, 새로운 환경을 잘 해쳐 나갈 수 있으며, 급변하는 현실에서 새로운 관계를 재빨리 찾아낼 수 있는 사람들이 필요한 것이다. 내일의 기술과학이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스노우의 훌륭한 표현대로 “골수에까지 미래를 간직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331p

개인이 자기의 직장이나 거주지, 사회관계 등을 끊임없이 변경시키는 사회는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큰 이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미래의 학교는 단순한 지식만이 아니라 이것을 조작하는 방법까지 가르치지 않으면 안 된다. 학생들은 낡은 생각을 어떻게 버리고, 언제 어떻게 그것을 바꿀 것인가도 배워야 한다. 요컨대 학생들은 배우는 방법을 배우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340p

적응이란 연속적 선택을 뜻하고 있다. 개인은 수많은 선택지 가운데 자기의 가치관과 가장 잘 조화되는 하나를 선정한다. 선택해야 할 일이 많아짐에 따라, 지신의 가치관(그것이 무엇이든)을 명확히 파악하고 있지 않은 사람은 점차 무력해진다. 그러나 가치관의 문제가 보다 중요해지고 있는데도, 현재의 우리 학교들은 그것을 해결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려 하지 않고 있다. 수백만에 달하는 젊은이들이 유도되지 않은 미사일처럼 이리저리 날뛰면서, 미래로 향한 험한 길을 걷고 있다는 것도 하등 이상할 것이 없다. 342p

더욱 나쁜 사실은 학생들 스스로의 가치관과 선생이나 동료들의 가치관을 분석하도록 권장하는 일이 없다는 사실이다. 수많은 사람들은 교육 제도를 거쳐 나가면서 자신의 가치 체계 속에서 모순을 발견하거나 스스로의 생활 목표에 대해 심사 숙고하거나 심지어 이러한 문제들을 어른들이나 동료들과 허심 탄회하게 논의하도록 충고를 받는 일이 한 번도 없다. 343p

어떠한 특정 진행 정보보다도 더 중요한 것으 예측하는 습성이다. 앞을 내다볼 수 있도록 조건 지어진 이 능력은 적응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상 성공적인 대응의 비결 가운데 하나는 그 사람의 미래 의식이다. 344p

어린 아이들에게는 다른 실습도 가능하다. 개개인의 미래적 역할 이미지를 길러 내려면, 학생들에게 ‘미래 자서전’을 쓰도록 해서 그들로 하여금 미래의 5년이나 10년, 또는 20년 동안의 자신을 그려 볼게 할 수도 있다. 350p

교육은 미래의 시제로 옮겨 가지 않으면 안 된다. 351p

제19장 기술과학의 조절

우리는 또한 새로운 과학기술을 바보스럽고 이기적인 목적에 곧잘 활용하고 있음도 부인할 수 없는 엄연한 사실이다. 우리는 눈앞의 경제적 이득을 얻어내려고 기술과학을 서둘러 이용했던 탓에, 우리의 환경을 물리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위험한 상태에 몰아놓고 말았다. 352p

영국의 저명한 사회과학자인 제프리 비커즈 경은 이 문제에 관해서 다음과 같이 명쾌하게 지적하고 있다. “변화는 가속적으로 증대되지만, 그것에 대한 반응에는 상응할 만한 가속화가 일어나지 않고 있다. 그 결과 우리는 통제가 상실되는 바로 그 문턱에 와 있다. 366p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은 과거의 비합리주의로 되돌아가는 것도 아니고, 변화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일도 아니며, 절망이나 허무주의도 아니다. 오히려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은 강력하고 새로운 전략이다. 앞으로 밝혀질 여러 가지 이유로 해서, 필자는 이러한 전력을 ‘사회적 미래주의’라고 규정해 본다. 우리가 이러한 전략을 익히게 되면 변화를 관리하는 새로운 수준의 능력을 획득할 수 있으리라고 확신한다. 우리는 이때까지 활용해 온 어떤 계획보다도 더욱 인간적이고 더욱 장기적이며 더욱 민주적인 형태의 계획을 마련할 수 있다. 우리는 기술주의를 초월할 수 있다. 370p

과거나 마찬가지로 오늘날에도, 기성 사회라는 것은 새로운 생각을 실행해 보려는 몽상가는 물론 그것을 확산하려는 사람에 대해서도 커다란 중압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상론자들을 배척해서는 안 된다. 설사 그들을 존경까지는 하지 않더라도, 그들의 실험 정신을 받아들이고 비용을 부담해 격려함으로써 그러한 실험 정신의 이점을 살려 나가야 할 것이다. 384p

민주적 정치 형태가 서양에서 출현한 것은 몇몇 천재들이 그것을 밀고 나간 까닭도 아니고 인간이 ‘자유를 갈망하는 본능’을 드러낸 까닭도 아니다. 사회적인 분화와 보다 빠른 제도로 나아가려는 역사적 압력이 사회적으로 민감한 피드백을 요망했기 때문에 민주적 정치형태가 출현했던 것이다. 390p

변화를 다스리려면 중요한 장기 사회 목표를 분명히 할 필요도 있지만, 아울러 이러한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도 민주화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야말로 기술 사회에서 앞으로 이루어야 할 정치 혁명, 즉 민중 민주주의의 새로운 확인을 뜻하는 데 지나지 않는다. 392p

고도 기술 국가는 자기반성을 해보아야 할 적절한 시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자기반성은 단순히 경제적 측면만이 아니라 사회적 측면의 ‘발전 목표’도 넓히고 규정하는 공개적인 자기 검토여야 한다. 서기 2000년을 목적에 두고 새로운 인간 발전 단계의 문턱에 서 있는 우리는 미래를 향해 맹목적으로 줄달음치고 있다. 과연 우리는 가고 싶은 곳으로 가고 있는가? 우리가 이러한 의문에 실질적인 해답을 구하려 한다면 어떤 현상이 나타날까? 392p

III. 내가 저자라면

이 책은 1970년에 발행된 책이다. 내가 읽은 책은 1986년에 번역된 것으로 그 당시 우리나라의 사회상에 비추어 봐도 아직 1970년이 과거가 아니었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시점을 과거로 일부분 돌려놓았다. 연구의 대부분이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사이의 미국사회를 중심으로 그려졌기 때문이다. 이 책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미국사회에 닥칠 미래의 충격에 대한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인 전 세계적인 반향을 일으킨 대는 이유가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미국이란 나라의 특수성 때문이다. 1970년대 당시 전 세계 경제의 30% 이상을 차지할 만큼 미국이란 나라는 초강대국이었다. 물로 지금도 그 규모가 약간 차이가 있을지 모르지만 미국은 그 나라이름 앞에 항상 초짜가 붙어 다닌다. 이러한 나라에서 1970년을 전후해서 어떠한 일들이 일어났을까? 그리고 저자는 미국이란 나라의 미래를 어떻게 진단한 것일까? 또한 앞으로 그러한 충격을 어떻게 완화 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저자는 수많은 사람들과의 인터뷰와 자료를 참조했다. 그리고 그 자료는 많은 부분 객관적이었다. 저자는 개인적인 생각보다도 많은 전문가들의 견해를 종합하면서 결론을 도출해내는 방법을 택했다. 이러한 방법은 제3의 물결과 권력이동, 부의 미래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통계와 여러 사람들의 견해 그리고 오랜 시간에 걸친 자료의 걸름 작업이 돋보이는 것이 그의 저서다. 미래의 충격 또한 그 시절 파편화된 학자들의 걱정이나 조언 그리고 학술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면서 그들의 생각을 정리하였다.

과연 38년 전 저자가 예상했던 미래의 모습과 지금의 모습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많은 부분은 그 궤도 안에 들어온다고 보여 진다. 그러나 그 모습은 갑작스럽게 나타난 것이 아니었다. 과거와 현제 그리고 미래로 이어지는 궤도의 오차 범위 안에 들어오는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것이라고 보여 진다. 물론 이러한 예측은 대단한 시도이며 오랫동안 저자의 엄청난 노력의 결과물이다. 미국의 그 시대 사람들에게는 대단히 소중한 자료가 되었음에 틀림없다.

1.영속성의 종말 - 2.일시성 - 3.새로움 - 4.다양성 - 5.적응력의 한계 - 6.생존을 위한 전략
이것이 이 책의 흐름이다.
대량생산으로 대변되는 1950년-60년대의 사회가 더 이상 그렇게 흘러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영속성의 종말이다. 이러한 1.영속성의 종말은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여러 가지 징후들이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고 2.일시성에서 이야기 한다. 이러한 것은 3. 새로움으로 다가온다. 과학은 이것을 현실로 만들어내고 있다. 그리고 가족에 대한 개념도 점점 바뀌고 있다. 핵가족이 그것이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는 문화의 변화를 가져온다. 바로 4.다양성에서 그동안 획일화된 문화가 점점 다양화 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히피문화 그것을 저자는 하위문화라고 이야기하면서 이러한 하위문화가 범람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생활양식이 다양화 되는 것은 당연한 행보다.
5. 적응력의 한계에서는 미래의 충격으로 육체적 차원과 심리적 차원으로 나눠 이야기 하고 있다. 변화속도의 빠르기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타날 것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문화의 변화처럼 전혀 다른 상황을 접했을 때와 같은 증상도 나타나는데 그것을 심리적 차원에서 이야기했다. 어쨌든 미래는 이전과 많은 부분에서 달라지는데 그 변화의 속도가 그동안 느껴왔던 것과 많은 차이가 날것이라는 것이다.
6. 생존을 위한 전략에서 저자는 미래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 한다. 크게 교육, 기술과학, 사회적 미래주의의 전략으로 이야기했다. 교육은 그동안 획일화된 교육을 어떻게 변화되는 미래에 맞춰 나갈 것인가에 대한 깊은 고민이 묻어난다. 역사가 말해주듯 교육의 문제는 어느 사회에서나 가장 중요한 이슈였다. 저자도 이부분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다. 그러나 뾰족한 대안은 찾아볼 수 없었다.

아쉬운 너무나 아쉬운
아무래도 1970년대 미국의 상황에서 고령화에 대한 충격은 큰 이슈가 아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이 고령화에 대한 충격은 현 시점에서는 대단히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앨빈 토플러의 책에서는 고령화에 대한 부분을 찾아보기 힘들다. 미래의 충격뿐만 아니라 그의 다른 저서에서도 고령화에 대한 이야기는 심도 있게 다루고 있지 않다. 그는 기술과학의 발달이 가져오게 될 현상에 관심이 많은 듯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과학은 결국 정책적인 문제여서 그 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할 관료의 문제로 귀결된다. 기술이 어떠한 형태로 나아가게 될 것인가에 따라 사회의 변화 따라간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을 운영하는 집단에서는 매우 필요한 정보가 되겠지만 개인의 미래에는 단비가 되어주지 못하는 것 같다. 관심은 가질 수 있지만 내가 그것에 영향력을 미칠 수는 없기 때문이다.

38년 전의 책을 읽으면서 현제의 시점을 바라보았다. 앨빈 토플러라는 미래학자의 혜안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러한 상황을 만들어 가는 사람들 또한 대단하다. 범위가 큰 정책적인 틀거리에서 개개인이 실행할 수 있는 힌트를 얼마나 얻어낼 수 있을까? 그러나 조직적인 면이나 사회의 흐름을 읽는 관점에서 앨빈 토플러의 책은 가치가 있다.

저자는 책의 마지막에서 이렇게 이야기했다.
“이 책이 변화를 통제해 진화의 방향을 이끌어 가려는 사람에게 필요한 의식을 조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면, 이 책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것이리라.” 400p

현 시점에서 바라본다면 저자가 좀더 중요하게 다루어야 했을 부분은 과학기술의 발달이 가져올 사회적인 측면보다는 세계화, 고령화 그리고 교육에 대해 좀더 심도 있게 다루었으면 하는 아쉬움을 조금 가져본다. 물론 이것은 부질없는 생각이다. 그의 그 다음 저서에서 많은 부분이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래의 충격을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그래서 어쩌란 말인가? 이러한 물음에 대해 저자는 명쾌한 답을 해주지 못했다. 상황이 이러니 잘 준비해야 한다는 것으로 책이 마무리 된다. 좀더 구체적인 대안이 아쉽다.

느낀점
누구에게나 미래의 모습은 궁금한 것이리라. 그것이 어떻게 나에게 다가 올지 누구도 알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더더욱 그러하다. 미래의 충격 앨빈 토플러가 이야기한 그 변화의 한가운데를 지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는 또 다른 미래의 충격을 걱정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나 자신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 가족은 물로 내가 속해있는 모든 집단을 넘어 우리나라 그리고 전 세계가 제 각각이 고민하고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우리가 만들어갈 사회의 미래에 대해 좀더 고민해보는 유익한 시간이었다.
IP *.117.4.35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
2008.05.26 18:44:57 *.248.50.34
현웅아.

잘 있지 이번주에는 돌아올 수 있기를 바란다.

사부님에게 들었다. 책이 없어서 선상 도서관을 찾아 헤맸다고..

고생이 많다.

그리고 배울점이 많구나.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92 [51] <신의가면1-원시신화> 저자 & 저자라면 수희향 2010.04.17 3191
1491 북리뷰9.< 사기열전,史記列傳 > 사마천 司馬遷 [6] 이선형 2010.05.02 3192
1490 사부님의 회초리 달게 받겠습니다 id: 문윤정 2012.04.19 3193
1489 [20] 위대한 승리 - 잭 웰치 [2] 거암 2008.09.08 3195
1488 쉼표 북 하나 – 피로사회 file 재키 제동 2012.04.02 3195
1487 #24.(북리뷰) 호모노마드 유목하는 인간(자크아탈리) [1] 땟쑤나무 2013.11.18 3195
1486 9. 사기열전_저자, 구성 [2] 맑은 김인건 2010.05.03 3196
1485 35.<행복한 논어읽기> 양병무 [3] 박미옥 2010.11.22 3196
1484 데카메론- 보카치오 [1] [1] id: 깔리여신 2012.06.04 3197
1483 4-6. 가족세우기를 통한 교실혁명 콩두 2015.07.06 3198
1482 '피터드러커 북클럽'- '피터드러커 자서전'을 읽고 [4] 정재엽 2006.04.20 3199
1481 (15) 다산문선 - 정약용 [2] 時田 김도윤 2007.06.25 3199
1480 핸드메이드 라이프 - 윌리엄 코퍼스웨이트 혜향 2010.03.23 3199
1479 [리뷰027]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신동엽 香山 신종윤 2007.10.29 3200
1478 북 No.43 - 쓰지 신이치 '슬로 라이프' file [3] 재키 제동 2012.02.21 3200
1477 [리뷰] <장자>_오강남 편(현암사) 양갱 2012.02.27 3200
1476 그리스인 이야기 1,2 - 앙드레 보나르 세린 2012.07.02 3200
1475 45. 파우스트, 괴테, 민음사 철학하는 인사쟁이 2012.03.13 3202
1474 20.새로운 미래가 온다. 다니엘핑크 강훈 2011.09.12 3204
1473 #28 열하일기_상 박지원씀 리상호옮김 [1] 서연 2012.11.13 3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