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 김홍영
  • 조회 수 2439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9년 7월 6일 07시 02분 등록
 

위대한 나의 발견 ★ 강점혁명

마커스 버킹엄 ․ 도널드 클리프턴 지음

윤봉락 감수 | 박정숙 옮김 | 청림출판


Ⅰ. 저자에 대하여


마커스 버킹엄(Marcus Buckingham)


마커스 버킹엄은 세계적인 경영 컨설턴트이자 자기계발과 동기부여의 강연자이다. 자신이 지닌 강점을 발견하고 이를 활용하면 개인과 조직을 성공으로 이끌 수 있다는 ‘강점 혁명’의 주창자이다. 그는 갤럽에 재직하면서 유능한 관리자와 효율적인 일터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20년에 걸쳐 시행된 갤럽의 조사 프로젝트를 이끈 사람이다. 이를 기반으로 강점 발견 프로그램(StrengthFinder)을 고안했으며 이 연구를 토대로 『First, Break All the Rules』과『위대한 나의 발견, 강점 혁명』을 저술했다. 이 책들은 각각 100만 부 이상 팔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사회학 석사학위를 받고, 갤럽에서 17년간 근무했으며, 이후 자신의 컨설팅 회사를 설립했다. 마커스는 갤럽 리더십연구소의 선임 강사이며, 뉴욕 타임즈, 포춘, 패스트컴패니와 같은 매체를 통해 저술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컨설턴트로서, 저술가로서, 강사로서 직원 생산성과 리더십 및 관리라는 주제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그는 미 국무장관 리더십 및 관리 위원회의 회원이기도 하다.


도요타, 코카콜라, 야후, 디즈니 외에도 유수기업에게 강점에 기초한 경영 자문과 트레이닝, e-러닝을 제공하고 있다. 매년 세계 25만 명 이상에게 강점 혁명에 관한 강연을 하고 있으며 『뉴욕 타임스』『포천』『비즈니스위크』『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등에 깊이 있는 글을 활발히 기고하고 있다. 



도널드 클리프턴(Donald O. Clifton)


도널드 클리프턴은 1925년 2월 5일에 태어나서 2003년 9월 14일 사망하였다. 미국 심리학회에서 ‘강점 심리학의 아버지’로 불리웠으며 ‘클리프턴StrengthFinder'를 내세워 백만명이 넘는 사람들에게 그들의 재능과 강점을 발견하여 그들의 삶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그의 인생 원칙은 미션을 공유하는 것과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늘 질문하기를 좋아하였고, 수치화하고 객관화된 자료를 통하여 좀 더 효율적인 강점 개발에 큰 기여를 하였다.


갤럽 리서치 사장을 역임했고, 미국 네브래스카 대학에서 교육심리학을 가르쳤다. SRI 경영컨설팅사를 설립하여 포춘 500대 기업과 학교, 스포츠팀에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했다. ‘강점 발견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사람들이 지닌 다양한 재능을 밝힘으로써 보다 행복한 삶으로 인도해 온 ‘긍정심리학의 선구자’이다. 평생에 걸쳐서 인간의 강점을 활용하기 위한 강점심리학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저서로는 『위대한 나 의 발견-강점혁명』『당신의 물통은 얼마나 채워져 있습니까?』『크리스천 강점혁명』등이 있다.




Ⅱ. 내 마음에 무찔러 든 글귀


강점을 발휘하며 사는 사람은 행복하다.  p.7


자기 계발은 약점을 보완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다. 말을 잘 못하니 웅변학원에 다니고, 글을 잘 못 쓰니 표현력을 기르려고 한다. 가장 성과가 약한 일에 가장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는 꼴이다. 자기 계발은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집중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스스로를 차별화시키는 것이다.  p.7


벤자민 프랭클린은 활용되지 않고 낭비된 재능을 그늘에 놓인 해시계에 비유하였다. 인생의 비극은 우리가 천재적인 재능을 타고나지 못한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가지고 있는 강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 데서 오는 것이라는 말은 옳다.  p.9


자신의 강점을 발견한 사람은 성공에 접근한 사람이다. 더 나아가 자신의 강점을 강화하고 활용하는 사람은 이미 성공한 사람이다.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사람, 매일 아침 일어나 그것을 할 수 있는 사람, 그 사람이 바로 성공한 사람이다.  p.9


혁명의 시작은 진정한 나의 발견  p.11


우리가 각자 선택한 분야에서 성공을 거두고, 나아가 그 과정에서 만족감을 얻고자 한다면 자신이 가진 강점의 독특한 패턴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스스로의 강점을 발견하고 기술하고 적용하고, 또한 실제로 사용하면서 늘 새롭게 다듬는 데 있어서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p.11


당신은 매일 강점을 발휘하며 살고 있는가?  p.13


당신은 매일 직장에서 가장 잘하는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습니까?  p.13


세상에서 가장 뛰어난 관리자들은 다음과 같은 올바른 가정에서 출발해서 성공을 거두고 있다. 

1. 모든 사람은 자신만의 독특한 재능을 갖고 있으며 그것은 결코 변하지 않는다.

2. 모든 사람의 가장 큰 성장 가능성은 그들이 가진 강점에 있다.   p.18


이 책에서 우리는 구성원들의 강점을 찾아내고 개발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고안하는 방법을 보여 주고자 했다.  p.19

우리는 이 책을 읽는 독자 한 사람 한 사람과 함께 출발한다. 나의 강점은 무엇인가?

나는 그 강점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나는 어떤 분야에서 일해야 하는가? 다른 수만 명의 사람들보다 내가 훨씬 잘할 수 있는 일은 어떤 것인가? 자기 자신의 강점을 찾아 개발할 수 없다면 어떻게 구성원 모두의 강점을 기반으로 한 조직을 구축할 수 있겠는가?  p.20


자신의 대표적인 다섯 가지 테마를 발견하고 그것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여러분은 자신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자신의 다섯 가지 주요 테마를 발견하고 그것을 어떻게 일과 삶에 적용할 것인가를 연구할 때에 한 가지 분명하게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 있다. 바로 “인생의 진정한 비극은 우리가 충분한 강점을 갖고 있지 않다는 데에 있지 않고, 오히려 갖고 있는 강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는 데에 있다.”는 것이다.  p.23


1부 강점을 활용하는 성공적인 삶


1장 자신 있는 삶


성공적인 삶이란 어떤 것일까? 자신의 타고난 재능을 충분히 발휘하며 살 수 있다면 우리의 삶은 얼마나 달라질 수 있을까?


여러분과 나 사이에 차이가 있다면 단지 나는 매일 아침 일어나서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는 사실입니다. 매일매일 말이죠. 이 말이 내가 여러분에게 해줄 수 있는 최선의 충고입니다.  p.34


그는 자신이 커다란 부와 명성을 거머쥘 수 있었던 것은 자신이 가진 특별한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를 정확하게 파악해낸 덕분이라고 굳게 믿고 있었다.  p.34


독자적인 투자법 때문에 워렌 버펫은 투자가로서의 성공과 인생의 행복 모두를 얻을 수 있었다. 그는 자신의 강점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았고, 그것을 적극적으로 활용했기 때문에 언제나 즐겁게 일에 몰두할 수 있었고, 그 결과 세계 일류의 투자가가 되었다.  p.36


버펫을 특별하게 만드는 것은 바로 이런 독특한 행동 방식이다. 먼저 그는 자신에게 맞는 방식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찾아냈다. 아주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찾아낼 생각조차 못하고 잇는데 말이다.  p.36


어떤 직업이든 스스로 선택한 직업에서 성공을 거둔 사람들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공통점은 바로 자신의 강점을 찾아내 자신의 일과 삶에 최대한 활용하는 능력을 지녔다는 점이다.  p.37


그들은 자신의 반복적인 행동 패턴에서 강점을 발견해내고 그것을 생산적인 진정한 강점으로 개발하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  p.39

강점이란 한 가지 일을 완벽에 가까울 만큼 일관되게 처리하는 능력이다.  p.40


강점을 한 가지 일에서 계속해서 완벽하게 행동하는 것이라고 정의 내릴 때 성공적인 삶을 위한 가장 중요한 원칙에는 다음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 강점이 되는 행동은 계속해서 그런 행동을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그 행동에 스스로 만족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두 번째, 남보다 뛰어나기 위해서 자신이 맡은 모든 역할에서 강점을 지닐 필요는 없다.

세 번째, 약점을 고치는 것이 아닌 강점을 극대화하는 것만으로도 뛰어난 사람이 될 수 있다.  p.42


이들은 각각 의도적으로 강점을 부각시켰기 때문에 자신의 분야에서 성공과 성취를 이룰 수 있었다. 우리는 이들이 한 것처럼 여러분들도 강점을 최대한 이용하고 약점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p.43


첫 번째 혁명적 도구는 타고난 재능과 학습을 통해 얻은 능력을 구별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다.  p.45


재능은 무의식적으로 반복되는 사고, 감정, 또는 행동이다. 당신이 어떤 재능을 갖고 있는지는 스트렝스파인더를 통해 알게 될 것이다.  p.46


강점은 재능, 지식, 기술, 이 세 가지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p.46


당신에 대해서 잘 알고 당신을 기꺼이 도와줄 지지자들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능력은 강점이다. 이런 강점을 만들기 위해서 당신은 기술과 지식을 통해 타고난 재능을 완벽하게 만들어야 한다.  p.46


강점을 기반으로 한 삶을 구축하는 데는 재능, 지식, 기술 모두 필요하지만, 이 세 가지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재능이다. 당신의 재능은 타고난 것이다. 반면 기술과 지식은 학습과 경험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p.47


따라서 진정한 강점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가장 뛰어난 재능을 발견하고 지식과 기술을 통해 그것을 다듬어 나가야 한다.  p.47


사람들은 재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지식과 기술을 연마하기보다는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모든 업무 기술과 지식을 익히려 든다.  p.48


자신의 지식, 기술, 재능을 자세히 살펴볼 것을 권한다. 먼저 각각을 구별하는 법을 배워라. 그런 후 자신의 가장 뛰어난 재능이 무엇인지 알아내고 그것을 진정한 강점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얻어라.  p.48


두 번째 혁명적 도구는 당신의 두드러진 재능을 알아내는 시스템이다. 강점이 될 만한 재능을 발견하는 한 가지 확실한 방법은 뒤로 한 발 물러나서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다.  p.48


둘 다 지식을 전달하고 기술적 차이를 좁히는 데 열중하여 학생들과 직원들이 타고난 재능을 발휘하는 데 신경쓰지 않는다.  p.49


스트렝스파인더는 당신이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지 알려 줄 것이다. 스트렝스파인더는 당신의 가장 강한 다섯 가지 테마를 알아내기 위해 디자인되었다.  p.49


가능성을 강점으로 바꾸어나가는 것은 어디까지나 당신에게 달려 있다.  p.50


세 번째 혁명적 도구는 재능을 묘사하는 공통적인 언어이다.  p.50


2장 강점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어떻게 그렇게 잘 할 수 있을까?”이든 “어떻게 그렇게 오랫동안 할 수 있었을까?”이든, 계속해서 완벽에 가깝게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들을 보면 너무 놀라워서 분석조차 불가능하게 보인다.

강점은 강점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재능이 발전하여 나타나는 것이다. 여러분은 연습과 학습을 통해 지식과 기술을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재능은 갈고 닦아야만 강점이 될 수 있다.  p.59


강점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지식은 두 가지이며, 이 두 가지는 전혀 별개의 것이다.  p.60


경험적 지식은 일을 하면서 스스로를 훈련시키고, 배우고, 습득해야 하는 것들이다. 경험적 지식은 다시 실제적인 것과 개념적인 것으로 나뉘는데, 먼저 실제적 지식에 대해서 알아보자.  p.61


어떤 경험적 지식 중에는 개념적인 것도 있다. 가장 분명한 사례로는 가치관과 자기인식을 들 수 있다. 만일 강점을 개발하려 한다면 이것들을 갈고 닦아야 한다.  p.63


사람들의 삶의 방식은 그다지 많이 변하지 않는다. 하지만 관심은 변할 수 있다.  p.63


사람이 바뀌었다고 근본적인 성격, 또는 우리가 후에 재능이라고 정의하는 것이 바뀐 게 아니란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들은 단지 재능의 방향을 더욱 긍정적인 쪽으로 돌린 것뿐이다.  p.64


만일 인생에 변화를 주기 위해 강점을 활용하고 싶다면, 가치관을 바꿔라. 재능이 없는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얻으려고 쓸데없이 시간을 낭비하지 마라.  p.64


자기인식은 타고난 재능을 더욱 명확하게 들여다볼 수 있게 해주고, 이런 재능을 강점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돕기 때문이다.  p.64

재능을 인정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삶의 목표를 다시 세우는 것이다. 그러면 우리는 자기 자신에 대해서 더욱 잘 깨닫게 될 것이다.  p.65


재능이란 생산적으로 쓰일 수 있는 사고, 감정, 행동의 반복되는 패턴이라고 정의 내렸다.  p.70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사고, 감정, 행동의 패턴이 생산적으로 쓰일 수 있다면 재능이라고 할 수 있다.  p.71


이런 반복적인 패턴을 생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내고, 지식과 기술과 결합시켜 강점으로 변화시켰기 때문이다. 재능이란 생산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사고, 감정, 행동의 반복적인 패턴이란 사실을 잘 보여 준다.  p.72


시냅스에 대해서 알아야만 재능의 반복되는 패턴을 이해할 수 있다. 간단히 표현하자면 시냅스는 재능을 만들어낸다.  p.73


우리의 유전적 형질과 유아기 경험을 바탕으로 차단해야 할 회로와 다른 연결보다 사용하기 더 쉬운 회선을 선별한다.

그 사람의 특징을 만드는 회로가 결정되는 것이다.  p.75


만물을 이해하는 방식은 사람마다 다르다. 우리의 ‘감각’, 즉 사고 ․ 감정 ․ 행동의 반복적인 패턴은 사람마다 다른 독특한 뇌회로에 의해 야기된 것이다. 뇌회로는 어떤 자극에는 반응하고 다른 자극에는 집중하고, 다른 자극은 놓치게 만들어, 세상 만물을 분류하고 걸러내는 필터 작용을 한다.  p.77


가장 흥미로운 차이점은 민족, 인종, 성의 기능이 아니다. 업무 성취도를 높이고 자기 분야에서 성공하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자신의 뇌회로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p.80


강점이란 당신이 계속적으로 거의 완벽하게 그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나 성격을 말한다. 앞에서 재능은 가장 강력한 시냅스의 결합이 만들어낸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p.80


뇌는 가장 저항이 적은 시냅스의 결합, 다시 말해 재능을 쫓아간다.  p.81


기술은 어떤 것을 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한다. 반면 재능은 더욱 중요한 것, 즉 얼마나 뛰어나고 빈번하게 수행할 수 있는가를 결정한다.  p.82


성인이 된 후 반복학습을 통해 추가된 시냅스로는 새로운 재능을 창조해낼 수 없다. 재능은 타고나는 것이며, 잠재된 재능 없이 훈련만으로 강점을 만들어내지는 못한다. 따라서 새로운 결합을 만들기 위해 반복학습을 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p.84


재능은 자신도 모르게 저절로 발휘되며, 재능을 발휘할 때는 기분이 좋아진다. 자연은 시냅스의 가장 강력한 결합을 통해 두 신호가 양방향으로 흐르도록 인간을 창조했다. 재능은 인간을 특정한 방식으로 반응하도록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재능을 사용하면 즉각적으로 유쾌한 감정이 T1라인을 흐르도록 만든 것 같다. 이런 감정들이 부드럽게 앞뒤로 흐름과 동시에, T1라인은 반사적이고 콧노래가 절로 나올 것처럼 느껴진다. 이것이 재능을 사용할 때 느껴지는 감정이다. 자연은 재능에 귀환장치를 설치하여 사람들이 계속해서 재능을 사용하도록 유도한다.  p.85


강점을 살리며 살아가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재능, 가장 강력한 시냅스의 결합이다. 가장 뛰어난 재능을 알아내어 기술과 지식으로 갈고 닦아라. 그러면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p.86


재능은 평범한 일상에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p.86



2부 자신만의 강점을 찾아라


3장 스트렝스파인더


무의식적인 반응은 재능의 원천을 보여 주는 가장 유력한 수단이지만, 그 이외에도 염두에 두어야 할 세 가지 수단이 더 있다. 이 세 가지는 동경, 학습속도, 만족감이다.  p.95


누구나 오랫동안 동경의 대상을 간직하고 살아간다. 동경은 뇌회로 중에서도 두드러진 강력한 회로가 일으키는 자연현상이다. 따라서 아무리 극한 상황에 처해 있더라도, 이런 강력한 회로를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관심을 보여 달라는 내면의 외침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자신의 재능을 발견하기 원한다면, 그런 외침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p.97


동경하는 것을 강점으로 개발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p.97


새로운 직업, 새로운 도전, 새로운 환경 무엇 때문이든 새로운 기술을 배울 때, 뇌는 마치 모든 전구의 스위치가 한꺼번에 켜지는 것처럼 환해진다. 당신도 이와 유사한 경험을 했을지도 모른다. 그러한 기술은 새롭게 열린 뇌회로를 통해 놀라운 속도로 전달되며 일반적인 학습단계를 거치지 않는다.  p.99


가장 강력한 시냅스와 관련된 재능을 발휘할 때는 기분이 좋아진다. 따라서 어떤 활동을 할 때 기분이 좋아진다면, 재능을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p.99


자발적인 반응, 동경, 빠른 학습속도, 만족감은 당신의 재능을 발견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된다.  p.101


스트렝스파인더 프로파일은 당신의 통찰력을 날카롭게 만들기 위해 고안되었다. 그것은 여러 가지 질문을 제시하고, 당신의 답변내용을 통해 가장 주요한 행동 패턴을 알아낸 후, 진정한 강점이 될 가능성이 가장 큰 부분을 발견하도록 도와준다.  p.103


일단 프로파일을 완성한다면, 즉시 다섯 가지 가장 두드러진 재능의 유형, 즉 당신만의 테마를 얻게 될 것이다.  p.106


두 가지 답변 모두 강한 반응이 나타나지 않거나, 둘 다 당신에게 맞는 것이라면, 둘 다 당신의 가장 뛰어난 재능을 나타내는 실마리가 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럴 때는 ‘중립’이 적절한 반응이다.  p.107


가장 강력한 테마는 항상 세상을 걸러 주고 어떤 반복되는 방식으로 반응하게 한다.  p.108


4장 강점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공감(Empathy)


사람들은 어떻게 표현해야 하지 몰라 씨름하지만, 당신은 적절한 단어는 물론 적절한 말투까지도 찾아내는 것 같다. 당신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뿐 아니라 자기 스스로에게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표현할 수 있게 도와준다. 사람들이 정서적으로 풍부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모든 이유들로 인해 사람들은 당신에게 매혹된다.  p.117


사고(Intellection)


가령 문제를 풀거나, 사상을 발전시키거나, 또는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려고 할 수 있다. 정확히 어디에 집중하고 있는지는 당신이 어떤 다른 강점들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사고라는 테마 그 자체는 당신이 무엇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는지 말해 주지 않는다. 단지 당신이 생각하기를 좋아한다는 것을 나타낼 뿐이다.

어떤 면에서 당신은 자기 자신의 가장 좋은 친구이기도 하다. 자신에게 질문을 던지고 내면의 대화를 통해 스스로에게 답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당신이 어디로 향하든지, 이 정신 활동은 당신과 늘 함께 하는 삶의 일부이다.  p.137


연결성(Connectedness) 


모든 일은 이유가 있어서 일어난다. 당신이 이것을 확신하는 것은 마음속 깊이 우리 모두가 연결되어 있음을 알기 때문이다.

이러한 책임에 대한 의식이 당신의 가치 체계를 형성한다. 당신은 사려 깊고, 배려할 줄 알며, 수용적이다. 인류가 하나임을 확신하는 당신은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 간의 다리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믿음의 내용은 성장 환경과 문화에 따라 다르겠지만, 당신의 믿음은 강하다. 이 믿음은 삶의 신비 앞에서 당신과 당신의 친구들을 지탱하게 해준다.  p.145


전략(Strategic)


전략 테마는 당신이 혼돈에서 벗어나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최선의 길을 찾을 수 있게 해준다. 이것은 독특한 사고방식이며, 세상 전반에 대한 특별한 시각이다. 이 시각으로 당신은 다른 사람들 눈에는 복잡하게만 보이는 것으로부터 일정한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p.153


최상주의자(Maximizer)


당신의 기준은 평균이 아니라 최상이다. 당신은 스스로의 것이든 다른 사람의 것이든, 강점에 이끌린다. 마치 진주를 찾는 잠수부처럼, 당신은 강점을 찾고 강점을 나타내는 표시들, 예를 들어 타고난 우월성, 빨리 배우는 능력, 단계들을 거치지 않고도 터득된 기량의 흔적들을 살핀다.

일단 이 강점을 발견한 이상, 당신은 이것을 키우고 갈고 닦아 최상의 것으로 만들어야 할 필요를 느낀다. 당신은 진주가 반짝일 때까지 닦는다.

당신은 부족한 점을 한탄하며 인생을 보내고 싶어 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스스로 타고난 재능을 적극 이용하기를 바란다.  p.169


3부 기업에서 강점을 활용하는 방법


왜 많은 사람들이 강점을 개발하기보다는 약점을 고치기 위해 애쓰는 것일까? 그 이유는 수없이 많겠지만 우리는 세 가지 두려움에서부터 나온다고 생각한다. 약점에 대한 두려움, 실패에 대한 두려움, 진정한 자아에 대한 두려움이 그것이다.  p.184


우리는 다섯 가지 테마를 통해서 세상에 대한 당신의 본능적인 반응-당신이 어쩔 수 없이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세속적이지도, 평범하지도, 분명하지도 않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고 싶다. 반대로, 세상에 대한 당신의 본능적 반응은 특별하다. 그 때문에 당신은 다른 사람들과 다른 것이다. 자신만의 테마가 당신을 특별하게 만든다.  p.193


스트렝스파인더의 목적은 지속적이고 완벽에 가까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뛰어나면서도 자아실현이 가능한 성과 말이다.  p.194


어떤 강점들이 발휘되고 있었고, 성취감과 만족감이 들기 위해서 그 강점들이 어떤 식으로 결합되었는지 알아야만 한다. 즉 의식적으로 역량을 쌓을 필요가 있다. 재능의 원천이 된, 가장 뛰어난 다섯 가지 테마를 의식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p.194


한 가지 테마에서 다른 테마로 약간 변경하거나 특정한 한 가지 분야에서 지식을 조금 더 깊게 아는 것이 이류에서 일류로 넘어가는 데 필요한 전부임을 갑자기 깨닫게 될지도 모른다.  p.195

진정한 강점이 될 수 있도록 한 가지 테마만을 갈고 닦는 일은 당신의 자아인식과 재치를 시험할 것이다. 따라서 다섯 가지 모두를 갈고 닦는 일은 평생을 걸쳐 해야 할 것이다.  p.196


스트렝스파인더의 목적은 당신에게 남보다 뛰어난 생각, 감정, 행동 패턴을 발견하는 것이다.  p.197


새로운 테마를 개발할 수는 없지만, 새로운 강점을 개발할 수는 있다는 말이다.  p.209


가장 우세한 다섯 가지 테마에 집중한다면 실제로는 더욱 강한, 신념이 확고한, 개방적인 사람이 될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다른 테마를 가진 사람들에게 더욱 감사하게 될 것이다.  p.211


“너의 삶을 살았느냐?”  p.212


다섯 가지 테마에 초점을 맞추면 진정한 자신을 배울 수 있다. 삶이란 살면서 만들어가는 것이 아님을 깨닫게 될 것이다. 성공과 업적은 우연히 굴러드는 것이 아니란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테마는 당신의 모든 선택에 영향을 준다. 테마는 성공과 업적에 대해 설명해 준다. 또한 이런 종류의 자기인식은 자기확신으로 발전한다. “당신은 당신의 삶을 살고 있는가?”라는 어려운 질문에 어떤 직업을 선택하든 무슨 종류의 일을 하든 다섯 가지 주요 테마를 적용하고, 개선하고, 갈고 닦는다면 자신의 진정한 삶을 살고 있다고 대답할 수 있다. 자신에게 준비된 삶을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자기 자신에 대해서 깨닫게 된다면 마음의 문이 열려 호기심이 왕성해질 것이다.  p.213


자신의 복잡한 테마에 대해서 전문가가 되면 될수록, 다른 사람의 테마도 더욱 잘 알아보고 소중히 여기게 된다. 이와 반대로, 자기 테마의 가치를 모른다면, 다른 사람의 테마에도 그런 태도를 보이게 된다.  p.214


뛰어난 실행을 방해하는 것은 무엇이든 약점이 될 수 있다.  p.215


일단 뛰어난 실행에 실제로 방해가 되는 부족한 점, 즉 진정한 약점을 알게 되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그러한 약점이 기술과 관련된 것인지, 지식과 관련된 것인지, 재능과 관련된 것인지 알아봐야 한다.  p.217


직원의 재능을 생산적이고 강력한 강점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능력,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관리자의 덕목이다.  p.241


"배우들로부터 좋은 연기를 끌어내는 비결이라면 그저 배우 한 사람 한 사람의 성격을 아는 것, 그리고 그들의 연기 태도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뿐입니다. 그들과 대화를 나눌 때는 그 사람에게 맞는 언어로 말해야 합니다."  p.244


재능 있는 직원들을 계속 곁에 두고, 모두가 업무를 더욱 훌륭하게 성취하도록 만들고 싶다면 관리자는 그들 개개인이 얼마나 독특한지를 인식하고 이러한 독특함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내야 한다.  p.245


<긍정성>을 지녔다는 것은 유머 있고 활기가 넘쳐 주변 사람들이 더욱 즐겁게 일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256




Ⅲ. 내가 저자라면


모든 사람은 멋진 내일의 삶을 꿈꾸며 살아간다. 때론 불 밤을 지새우며 일하기도 하고, 자신의 부족한 약점을 채우기 위해서 피나는 노력을 기울기도 한다. 그런데 과연 그렇게 피나는 노력을 하고 자신의 약점을 극복만 한다면, 미래에 성공된 삶을 보장 받을 수 있을까?


저자인 마커스 버킹엄과 도널드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하며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성공적인 삶이란 어떤 것일까?

당신은 매일 강점을 발휘하며 살고 있는가?

자신의 타고난 재능을 충분히 발휘하며 산다면 우리의 삶은 얼마나 달라질 수 있을까?

진정 자신의 삶을 살고 있는가?


강점을 살리며 살아가는 것은 자신에게 가장 뛰어난 재능을 알아내어 기술과 지식으로 갈고 닦아 강점으로 만들고 자신의 강점을 자신의 일과 삶에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다. 그러면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어떤 직업이든 스스로 선택한 직업에서 성공을 거둔 사람들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공통점은 바로 바로 자신의 강점을 찾아내 자신의 일과 삶에 최대한 활용하는 능력을 지녔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책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추천사 : 강점을 발휘하여 사는 사람은 행복하다

서문 : 혁명의 시작은 진정한 나의 발견


1부 강점을 활용하는 성공적인 삶

1장 자신 있는 삶

2장 강점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2부 자신만의 강점을 찾아라

3장 스트렝스파인더

4장 34가지 강점


3부 기업에서 강점을 활용하는 방법

5장 스트렝스파인더에 대한 질문 사항

6장 강점에 따라 직원을 관리하는 방법

7장 강점을 기반으로 한 조직 구축

부록|스트렝스파인더에 관한 기술적 보고서


이 책의 강점을 살펴보면 다음 같다.

첫 째, 하나의 주제에 관해 일관되어 있고 책의 내용 또한 간결하고 군더더기가 없어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저자들은 여론조사기관인 갤럽에서 일하면서 지난 30년간 각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200만명을 인터뷰하고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진행하고 있다. 책 내용 또한 줄곧 자신의 재능을 발견하고 그것을 강점으로 발전시키며, 또한 자신의 약점을 어떻게 최소한의 노력으로 커버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내용으로 일관되어 있다. 그래서 그런지 책 내용은 간결하고 군더더기가 없어 보인다. 설득력과 간결성 때문에 읽기 쉬우면서 핵심의 파악도 용이했다.

둘 째, 자신의 강점의 테마를 발견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www.StrengthsFinder.com)를 통해 240여 문항의 설문도 제공하고 있는 것 또한 책에 대한 중요성과 몰입을 높이고 있다. 물론 한국어로 번역된 설문문항을 통해 한국인도 손쉽게 설문에 응할 수 있도록 배려한 점도 맘에 든다.

셋 째, 저자들은 강점 개발을 단순하게 개인의 역할로 한정하지 않고 34가지 테마 하나하나에 대해 ‘강점 개발’을 이용하여 직원들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안하고 있는 것 또한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세 가지의 강점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서 발견되는 아쉬운 점은 강점을 발견하고 강점을 개발하여 일과 삶에 활용을 강조하면서 주로 조직에서 어떻게 사용되어야 하는 가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강점의 발견과 계발은 청소년들에게도 매우 관심 있는 중요한 영역이 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저자들은 청소년기에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가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또한 프리 에이전트 시대에 많은 1인 기업가들이 활동하고 있는데 직장인이 아닌 1인 기업가로서 강점의 발견과 계발에 관한 풍부한 사례가 너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행복한 삶이란 자신의 타고난 재능, 더 나아가 자신의 강점을 유감없이 발휘하는 삶이라는저자들의 주장에 공감한다. 이 책을 통해 ‘진정한 실업은, 지금 봉급을 받을 수 있는 일자리를 가지지 못한 것이 아니라, 미래의 부를 가져다 줄 자신의 재능을 자본화하지 못하는  것’이라는 구본형 소장님이 하신 말씀을 더 잘 이해하게 되었다.



IP *.10.109.131

프로필 이미지
수희향
2009.07.08 10:36:31 *.233.20.237
나도 그 생각했는데... 직장이나 관리뿐만이 아니라 좀 더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도 있겠다고...
네가 한 생각이 무언지 궁금하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52 나를 명품으로 만들어라 file [2] 예원 2009.07.14 3149
1951 당신의 파라슈트는 어떤 색깔입니까?-동도원 [2] [3] 曉仁 김홍영 2009.07.14 2847
1950 [14]나를 명품으로 만들어라 file 정야 2009.07.14 3588
1949 나를 명품으로 만들어라 - 리처드 볼스 [3] 희산 2009.07.14 3013
1948 나를 명품으로 만들어라 [2] 백산 2009.07.14 3027
1947 나를 명품으로 만들어라_리처드 N. 볼스 [2] 숙인 2009.07.13 3368
1946 나를 명품으로 만들어라 [3] 書元 이승호 2009.07.13 3512
1945 [15] 당신의 파라슈트는 어떤 색깔입니까? -동도원 [1] [2] 범해 좌경숙 2009.07.13 3076
1944 [14] <강점혁명> [6] 수희향 2009.07.06 3210
1943 위대한 나의 발견, 강점 혁명 [1] 혜향 2009.07.06 2820
1942 위대한 나의 발견★강점 혁명 file [1] [3] 예원 2009.07.06 3655
1941 위대한 나의 발견 - 강점혁명 [1] 혁산 2009.07.06 2737
» 위대한 나의 발견-강점혁명 [1] 김홍영 2009.07.06 2439
1939 [13]위대한 나의 발견, 강점 혁명 정야 2009.07.06 2417
1938 [14] 위대한 나의 발견*강점혁명- 청림출판사 범해 좌경숙 2009.07.06 18709
1937 위대한 나의 발견*강점 혁명 書元 이승호 2009.07.06 5349
1936 위대한 나의 발견, 강점 혁명 [1] 희산 2009.07.06 2352
1935 위대한 나의 발견, 강점혁명; Now, Discover Your Strengths 백산 2009.07.05 2878
1934 위대한 나의 발견, 강점 혁명 숙인 2009.07.05 2560
1933 [13] 살아야한다. 나는 살아야한다.-21세기 북스 [1] 범해 좌경숙 2009.06.29 2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