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2008년 9월 28일 22시 47분 등록

어느날 문득 쌓여가는 책들을 보면서 정리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정리하는 방법에 관한 책을 사보다니 쓸데없는 짓을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잠시 했었으나 읽고나서 대 만족이다.

 

1.

궁핍했던 시절을 지냈던 덕택에 몸도 마음도 무엇을 쌓아놓는데 익숙해져 있다. 필자가 말하는 내용중에 이런 내용이 있다.

 

인간의 신체는 기아 상태를 기본으로 만들어져 있다고 한다. 본래 동물은 늘 식량을 찾아 우왕좌왕하는 존재다. 초식동물은 영양효율이 나쁜 식물을 늘 먹고 있고, 육식 동물은 도망가려는 먹이를 쫓아 뛰어 다닌다. 일단 먹잇감을 사냥하여 배를 채우고 나면 다음에 배고파 질 때까지 뒹굴거리며 논다.

 

자연 속에서는 기아가 당연하다. 그렇기 때문에 동물의 신체는 기아에 대응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우선 배가 고프다는 신호를 꼬르륵하는 소리나 위의 통증으로 확실하게 내보내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인간만이 남아도는 식량을 갖고 있다. 남아도는 식량에 둘러싸여 스스로 식사나 영양을 관리해서 절제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기아에는 대응할 수 있는 신체도 과식 상태에는 아무런 신호도 보내지 않기 때문이다. 배가 꽉 찼는데도 맛있는 것이 나오면 또 먹고 싶다. 눈으로 보고 맛있을 것 같으면 또 먹는다. 시간이 되었으니 식사한다. 와 같이 한이 없다. ? P22~23”

 

2.

작가는 인간만이 음식의 과잉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하지만 내 경험으로는 인간이 개입된 경우기는 하지만 동물들 또한 식량과잉의 문제를 앓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몇 해 전에 아이랑 지역에서 환경단체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꾸준히 참가한 적이 있다. 그때 들은 이야기다. 사람들은 흔히들 공원에서 비둘기나 오리 그리고 금붕어에게 먹이를 주고는 한다. 그런데 세심히 관찰해 보면 공원의 비둘기나 오리 금붕어 또한 비만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환경단체의 선생님께서 비둘기나 오리 금붕어에게 먹이를 주는 것이 환경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셨다. 비둘기의 경우 먹이를 주는 족족 먹어서 자기집에 일부를 저장해 놓는데 그 저장해 놓은 먹이를 먹을 겨를도 주지 않고 인간들이 계속 주기 때문에 비둘기의 집에는 쥐들이 난리라고 한다. 인간이나 짐승이나 쌓아두려는 속성은 비슷한가 보다.

 

3.

풍요로운 세상을 살게 되면서 쌓이는 것은 식량만이 아닌 것 같다. 욕망도 쌓이고 책도 쌓이고 물건도 쌓이고 도 쌓이고. 3~4년에 걸쳐 몸무게를 조절하면서 느꼈던 것이 더하는 작업보다 빼는 작업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욕망 ? 먹고 싶은 욕망, 하고 싶은 욕망, 가지고 싶은 욕망-을 뺀다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물건은 사용할 때 비로소 그 가치가 살아난다. ‘아깝다는 말로 봉인하면 결국 물건을 죽이는 꼴이 된다. 사용하는 물건은 따로 간직해 두고, 사용하지 않는 물건은 버린다. 봉인을 풀고 손을 움직이면 물건의 가치가 보이게 된다. P11”

 

라고 작가는 말하고 있다. 말만 살짝 바꾸어 보니 이런 식으로도 통한다.

 

책은 읽을 때 비로소 그 가치가 살아난다.아깝다는 생각으로 혹은 언젠가는 읽어보겠지 하는 생각으로 놓아두기만 한다면 결국 책을 죽이는 꼴이 된다. 자주 읽을만한 책은 따로 간직해 두고 읽지 않는 책은 버린다. 책을 손에 들고 읽게 되면 책들의 가치가 보이게 된다.

 

오랫동안 쌓아두었던 책들을 정리했다. 열심히 공부했던 자취가 남아있는 그러나 졸업하고 몇번 본 기억을 빼고는 자리만 차지하고 있던 전공책들을 비롯하여 첨단분야를 하는 덕택에 이미 오래된 정보가 되어 버린 컴퓨터 관련서적들을 정리했다. 그동안도 몇 차례 정리한 적이 있지만 이토록 대대적으로 정리해 버린 적이 없었다. 그리고 아깝다고 나두었던 책들도 다시 읽을 가치가 있는가 하는 질문을 던지고 바로 긍정의 대답이 나오지 않는 책은 무조건 버린다는 원칙으로 책을 정리하였다. 올해 들어 읽었던 책들을 두번 읽어보면서 많은 것을 얻었다. 그래서 오히려 책을 분류하기가 더 쉬웠는지 모른다. 다시 한 번 더 읽을만 한 책이 아닌 경우는 무조건 정리대상에 올렸다.

 

4.


이제 물건 뿐만 아니라 욕망을 빼는 작업을 해야 할 시기인 것 같다. 이것도 하고 싶고 저것도 하고 싶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는답시고 노력을 했지만 아직도 버리지 못함이 문제인 것 같다. 이 가을에 버리는 것을 통하여 진정으로 소중한 것들을 찾을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IP *.220.176.254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08.10.04 04:06:47 *.131.127.69
'먹고 싶은 욕망, 하고 싶은 욕망, 가지고 싶은 욕망 을 줄인다'는 것과
'물건은 사용할 때 비로소 그 가치가 살아난다'는 말에 공감합니다.

버린다는 말이 곧 잃는다는 말은 아니라
더 명확히 한다는 생각의 결과라는 생각도 해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
2008.10.13 14:32:36 *.169.188.48
백산님.

늦었지만 답글 감사드립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153967
818 북리뷰4주차-기억 꿈 사상 file 이은주 2010.03.08 6436
817 <북리뷰>한국판 잃어버린 10년이 온다-『2020 부의전쟁 in ... 구름을벗어난달 2011.01.17 6842
816 다산이 걸어간 '사람의 길' -『뜬 세상의 아름다움』 현운 2009.10.30 7270
815 [먼별3-19] <헤르만 헤세의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예술 너... 수희향 2011.02.10 7440
814 [먼별3-21] <자크 아탈리의 "살아남기 위하여"> 미래사회 7... 수희향 2011.02.16 7490
813 <북리뷰>풍경 너머로 흔들리는 부성의 부재-『내 젊은 날의... 구름을벗어난달 2011.02.01 7524
812 [그림책] 우리도 가끔은 하느님이예요 file 한정화 2012.05.16 7598
811 신화와 인생 북 리뷰 file narara 2010.02.15 7617
810 8기 예비 연구원 (1) 헤로도토스의 역사 : 진성희 file 샐리올리브 2012.02.19 7730
809 서른 살 직장인, 책읽기를 배우다 나리 2009.08.12 7827
808 [7기 연구원지원]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을 읽고서 file 박주선 2011.03.14 7911
807 10기 2차 레이스 4주차-괴테와의 대화(이은심) file 왕참치 2014.03.03 8374
806 [먼별3-33] <이부영의 "아니마와 아니무스"> 남성안의 여성성... 수희향 2011.03.23 8390
805 숲에게 길을 묻다 부지깽이 2009.06.02 8466
804 16. 소크라테스의 죽음에서 얻는 삶의 지혜 관리자 2011.12.01 8483
803 책을 읽으며 나우리 2008.10.22 8490
802 [북] 왜 일하는가? 대답할 수 있는가? 하모니리더십 2010.11.24 8510
801 억압받는 자들이 가야 할 길.. [위건부두로 가는 길] -조... 날고픈돼지 2011.02.07 8524
800 그리스 비극을 읽는 기본지식 연지원 2013.09.16 8543
799 "신화와 인생"-6기 후보자 김창환 야콘 2010.02.15 8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