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2009년 6월 2일 22시 00분 등록

게릴라 마케팅, 제이 콘래드 레빈슨, 박희라역, 비즈니스북스, 2009, 4월
(월간중앙)

한 작은 서점 주인이 있었다. 불행하게도 그는 두 개의 대형 서점 사이에 끼어있었다. 어느날 왼쪽의 대형서점이 '창립기념 파격 세일 50%할인' 이라는 거대한 플래카드를 걸었다. 그 다음 날 오른 쪽의 대형서점이 더 커다란 플래카드를 걸었다. '폭탄세일 60%활인' 이라고 말이다. 그의 서점 입구 보다 더 커다란 양쪽의 플래카드 사이에서 작은 그의 서점은 더욱 초라해 보였다. 이 서점 주인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 그 다음날 그는 직접 만든 플래카드를 내다 걸었다. 간단히 '입구'라고만 써서 말이다. 이 사례는 이 책의 상징적 장면이다.

주제는 분명하다. 그러니까 게릴라 마케팅이란 규모가 작고 돈도 없는 아주 작은 기업이 자신을 세상에 들어내기 위한 기술이다. 대기업과 달리 작은 기업은 자신을 알리는데 많은 돈을 쓸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세상에 긍정적으로 알려야한다. 저자는 작은 기업이지만 자금 부족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마케팅 도구를 결합할 것을 주문한다. 또 핵심 아이디어를 임팩트있게 어필하고 스피드와 유연성으로 경쟁해 줄 것을 조언하고 있다. 소기업이 창의적 마케팅을 전개하는 법, 마케팅비용을 절감하는 법, 그리고 현장에서 쓸 수 있는 마케팅 매체와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언급하고 있다. 그동안 자신을 알리는 데 어려움을 겪었던 수많은 소기업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주제를 다룬다. 그래서 이 책은 대단히 많이 팔렸다. 나 역시 관심을 가지고 읽었다.

책을 읽으며 틀림없이 몇 개의 빛나는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부터 철석같이 믿고 있었던 마케팅 진실이 사실은 왜곡된 사실이라는 것을 깨닫는 시간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런가하면 비슷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여러 기업들 사이에서 어떻게 차별적 방식으로 자신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지에 대한 힌트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당신이 척추교정사라고 하자. 전화번호부에 광고를 내고 싶은 데, 이미 서너 페이지에 걸쳐 다른 척추교정사들의 광고로 빽빽하다. 어떻게 여기에 별로 돈들이지 않고 눈에 띄는 결정적 광고를 하나 할 수 있을까 ? 한 게릴러 척추교정사가 검은 색 바탕에 도드라지는 노랑색으로 다음과 같이 광고를 게재했다. "척추교정사를 선택하는 법에 대한 무료전화 컨설팅, 전화 113-45678" 아마 이 척추교정사는 사자의 몫을 가진 비즈니스를 얻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두꺼운 책 전체가 다 멋진 아이디어와 기발한 착상으로 가득 찬 것은 아니다. 지루한 설이 반복되기도 하고 뻔한 이야기들이 대단한 것처럼 소개되기도 한다. 아마 1984년 처음 씌여진 책을 보완해온 과정에서 생겨난 세월의 격차인 듯하다. 특히 거슬리는 것은 저자가 이 책에서 자신을 함께 팔아야 한다는 것을 지나치게 중요한 일로 생각한 것 같다. 59권의 저서를 쓴 훌륭한 작가라는 것을 선전하기 위해 안달이 나 보였다. 그래서 그런지 진정성이 중요하다고 누누이 강조하고 있지만 나는 그의 진정성을 의심하게 되었다. 소비자가 절대 바보가 아니듯이 독자도 절대 바보가 아니다. 이 정도의 아쉬움을 제외하면 소기업 마케팅에 대하여 이만한 책을 쉽게 구하기 어려워 보인다.

IP *.160.33.149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2364
138 [책울림]하악하악 - 이외수 [3] 햇빛처럼 2009.01.07 5796
137 [제8기레이스-3주차 한시미학산책]이길수 [1] [3] 길수 2012.03.05 5827
136 소걀 린포체의 『죽음으로부터 배우는 삶의 지혜』 [2] 이희석 2013.01.01 5843
135 아웃라이어 - 말콤 글래드웰 [2] 나리 2009.08.13 5871
134 [8기 레이스 - 3주차 독후감] 정민 '한시미학산책' file [1] [4] 이준혁 2012.03.05 5876
133 [그림책] 마음을 그리는 페인트공 file [1] 한정화 2011.08.03 5877
132 혼자 놀기 ? 자신과 대면하여 자신을 알아 가는 과정 [3] 신재동 2008.12.01 5884
131 엄마를 부탁해 - 신경숙 [2] 김미영 2008.12.07 5893
130 나의 강점 선언문 만들기 [4] 현운 2009.06.26 5897
129 [8기 예비 연구원] 서른 세편의 詩 -장재용- [7] 장재용 2012.03.12 5901
128 [외식경영] 세팅 더 테이블(1) [6] 향인 이은남 2010.04.14 5908
127 아는 만큼 느끼고, 느낀 만큼 보인다 승완 2009.08.03 5915
126 [8기 예비 3주차 최세린] 한시 미학 산책, 정민 file [2] 세린 2012.03.05 5916
125 글을 쓰려면 피로 써라 [2] 승완 2009.07.06 5942
124 프로페셔널의 조건 - 지식의 개념과 지식의 전문성- [4] 백산 2009.01.18 5973
123 리뷰11-2 : 아리스토텔레스의 레토릭; 설득의 변론기술(전영우... [1] 인희 2010.11.07 5990
122 [그림책] 장벽 : 피터 시스의 철의 장막 시절의 그림 ... file 한정화 2011.07.22 5996
121 [7기리뷰] 공감의 시대_제레미 리프킨 file [1] 양경수 2011.02.27 6004
120 선의 황금시대 오경웅 [3] [2] 좌경숙 2009.03.01 6018
119 너, 외롭구나 - 무규칙이종카운슬러 김형태 나리 2009.07.17 6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