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 구본형
  • 조회 수 480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6월 5일 10시 56분 등록

지금 강을 건너고 있는 사람의 함성 -추천사  

 나는 의문을 가지고 있다. 왜 대부분의 자기계발서는 이미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것일까 ? 어째서 삶이라는 가장 다이나믹한 경기를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실황 중계로 즐기는 대신 마치 5:2로 승리한 게임을 녹화하여 재방송 보듯 되돌려 보고 있는 것일까 ? 결말을 알고 있는 게임은 재미 없다. 인생은 늘 격랑이 이는 강물을 건너는 사람의 현재처럼 생생한 것이고 죽기 전까지 반전은 있게 마련이다. 나는 이미 성공하여 박제가 된 인생에는 관심이 없다.

좋은 자기 계발서는 그 안에 저자 자신의 끝나지 않는 삶의 활력과 긴장이 팽팽해야 한다. 나는 소설가에게 소설 속의 주인공 같은 삶을 실제로 살아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꾸민 이야기로 이 세상을 흥분시키는 것이 문학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떤 한 사람이 '세상은 이렇게 사는 것이야' 라고 주장한다면 나는 그 사람에게 그렇게 사는 모습을 보여주기를 기대한다. 그것이 진짜이기 때문이다. 이 글을 쓰는 동안 장영희 선생이 작고했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다. 중증장애로 걷지 못했던 그녀는 나이가 들어 거기에 더해 암으로 투병해야했다. 다른 사람들에게 아무렇지도 않은 하루를 그녀는 아파했고, 힘들어 했다. 병은 아픈 것이다. 너무도 아픈 것이어서 하이네의 시처럼 '고통없이 빠르게 사라져 가는 죽음' 을 원했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녀는 악착같이 하루하루 살아 냈다. 그리고 그렇게 살았기 때문에 조금씩 하루하루 선해졌다고 말한다. 우연히 내가 그녀와 교정에서 마주쳤을 때 그녀는 매우 맑고 큰 눈을 하고 있었다. 그렇게 살아서 그런 모양이다. 자기 계발서는 그런 것이다. 여기저기서 분칠한 유명인사들의 과장된 삶의 편린들을 뜯어 붙여 어설픈 성공의 법칙을 떠벌리는 가짜여서는 안되는 것이다.

이 책은 한 직장인의 서른 살 이야기다. 그가 아직 성공한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그의 삶에서 배울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영원히 엄마의 치맛자락을 잡고 따라가는 어린아이가 인생이라는 밥을 엄마가 먹여 줄 것을 기대하는 것과 같다. 어머니의 인생이 아이의 인생이 아니듯이 성공한 유명 인사의 삶이 내 인생은 아닌 것이다. 오히려 자신의 길을 찾아 떠나온 길에서 만난 성난 계류를 건너고 있는 내 또래의 한 인생, 아직 안전한 지대에 이르지 못했고, 얻은 것이 없는 나와 비슷한 처지의 한 삶이 힘찬 함성과 고함을 지르며 제 길을 걸어가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이 더 나를 깨어나게 하는 것이라고 믿는다.

나는 이 책을 읽고 독자들이 고민하기를 바란다. 저자가 서른의 나이에 탐색하고 찾아 내려고 애쓴 여기까지의 노력에 자신의 진짜 고민과 통찰을 더해 스스로 자신의 삶을 찾아가기를 바란다.

IP *.160.33.149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2140
158 [먼별3-28] <이부영의 "그림자"> 무의식 세계로의 첫걸음: ... [5] 수희향 2011.03.09 5596
157 [7기지원] 1주.신화의 힘 / 조셉캠벨, 빌 모이어스 file [3] [4] 강훈 2011.02.20 5597
156 10기 구본형의 마지막 수업 _김선형 file [2] 찰나 2014.02.24 5644
155 몰입의 즐거움 [2] 나리 2009.06.11 5652
154 <리뷰> 『먼나라 이웃나라13-중국1』-먼나라 거쳐 이웃나라로 ... 구름을벗어난달 2011.04.02 5657
153 나는 걷는 법, 달리는 법, 도약하는 법과 춤추는 법을 배... [10] 승완 2009.07.09 5667
152 독립성을 얻고자 하는 이들에게 - 에머슨의 『Self-Relian... [1] 현운 2009.11.24 5678
151 [7기도전] <신화의 힘> 저자에 대하여 file [5] 양경수(양갱) 2011.02.19 5679
150 <생각의 탄생>을 읽고 [2] [2] 수희향 (박정현) 2009.02.22 5693
149 <9기 레이스 5주차 프로젝트-조현연> 전투적 책읽기 [3] 에움길~ 2013.03.04 5694
148 10기 4주차_괴테와의 대화_김선형 file 찰나 2014.03.03 5707
147 책을 읽으며 나우리 2008.10.22 5710
146 두려움 넘어서기 『도전하라 한번도 실패하지 않은 것처럼』 현운 2009.06.16 5723
145 그리스 비극을 읽는 기본지식 연지원 2013.09.16 5728
144 [그림책] 보이지 않는 소장품 - 등장인물의 소장품에 대한... file 한정화 2011.10.06 5737
143 [9기 레이스 북리뷰 1차 _ 그리스인 이야기(김대수)] file [1] 땠쑤 2013.02.03 5745
142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인디언의 방식으로 세상을 사... [1] 푸른바람 2009.01.28 5751
141 10기 북리뷰 <죽음의 수용소에서> 김정은 file [4] 앨리스 2014.02.17 5759
140 [제8기레이스-3주차 한시미학산책]이길수 [1] [3] 길수 2012.03.05 5765
139 10기 레이스 <구본형의 마지막 수업> 김정은 file [2] 앨리스 2014.02.24 57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