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 현운
  • 조회 수 4448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6월 19일 18시 01분 등록

"역사를 조금이라도 알고 있다면,
얼마나 많은 대통령들이 비슷한 선언을 해 왔고
그 선언들이 어떻게 거짓말로 드러났는지 알고 있다면,
우리는 속지 않게 될 것이다."
- 하워드 진, 『권력을 이긴 사람들』, p.217


저널리스트 '스톤'은 언론 전공 학생들로부터 한 마디의 조언을 요청 받았을 때, 단 두 단어로 이야기했다고 합니다. "정부는 거짓말한다." 이 말을 듣고, 대한민국 정부와 권력자들이 떠올랐습니다. 저는 사회 문제는 잘 모르고, 정치는 더욱 모르지만, 정부와 권력자들의 거짓말을 최근에 자주 보았기 때문입니다. 스톤이라는 저널리스트의 말을 얼마나 믿어야하는지는 알지 못하지만, 권력자들이 어떤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는 조금씩 알아가고 있습니다.

고 장자연 氏의 죽음 뒤에 가려진 진실은 끝내 묻혀 버렸습니다. 권력자들의 힘은 여전히 건재했고, 언론이 전하는 것은 권력의 힘에 굴복한 거짓말들입니다. 오늘 청와대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았더니 정부도 버젓이 거짓말을 하고 있더군요. "(이명박) 대통령께서는 그리고 청와대는 여러 의견을 정말 겸허하고 진지하게 경청하고 또 숙고하고 있습니다"라고. (<대변인 브리핑> 게시판에 2009. 6. 10에 올라온 '개각에 관한 브리핑'이라는 글)

저는 대통령님이 "정말 겸허하고 진지하게 경청하고 또 숙고"하신다는 말이 진실보다는 거짓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누군가가 제게 "정부는 거짓말한다"고 주장했기 때문이 아닙니다. (별 것 아닌 의견이지만) 제가 보고 느낀 것을 나의 머리로 생각하다 얻은 생각입니다. 대변인 브리핑의 저 말을 거짓말이라고 생각한 것은 지난해부터 정부가 보여 준 모습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제가 한국 정부에 대한 어떤 소식도 듣지 못한 채 수년간 여행하다가 오늘 입국하여, 저 브리핑을 읽었다면 말 그대로를 믿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제까지의 일을 전혀 모르니까요.

역사적 진실에 대하여 알지 못한다면 거짓말에 쉽게 속아 넘어갑니다. 하워드 진은 국민이 정부에 쉽게 속는 이유 중 하나를 역사적 시각의 결여로 생각했기에, 자신의 조국인 미국 정부가 얼마나 많은 거짓말을 해 왔는지 제대로(!) 보여 줍니다. 저는 하워드 진처럼 많이 알지 못하여 단 하나의 거짓말을 적어 봅니다.
"본인은, 본인이 공약한 새 시대를 기필코 열어놓을 것이며 본인이 발의하고 공포한 헌법을 준수할 것입니다. 그리고 정직을 생활의 신조로 살아온 하나의 자연인으로서 자신의 신조에 충실하고자 합니다." 전두환 前 대통령의 말이었습니다.

IP *.135.205.154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2140
158 8기 예비연구원(허정화) 내 인생의 시33편 file [13] 난다 2012.03.12 6244
157 [8기 지적레이스 4주차/ 정나라] 음악이 깃든 시, 33 file [10] 터닝포인트 2012.03.12 4538
156 [8기 지적레이스 4주차/ 정나라] 음악이 깃든 시- 부록: ... 터닝포인트 2012.03.12 5140
155 [8기 지적레이스 4주차/ 정나라] 음악이 깃든 시- 부록: ... [11] 터닝포인트 2012.03.12 13139
154 일곱 편의 외운시 [7] 부지깽이 2012.03.15 5313
153 나누고 싶은 時 그리고 詩 라비나비 2012.04.09 4447
152 [그림책] 적 - 누가 적인가? file 한정화 2012.05.11 5091
151 [그림책] 우리도 가끔은 하느님이예요 file 한정화 2012.05.16 4527
150 성찰보다 중요한 것 훈습-김형경, 만 가지 행동 명석 2012.05.30 7011
149 이경희, 에미는 괜찮다 명석 2012.05.30 4581
148 한 범생이법학자의 글로 푸는 욕망-김두식, 욕망해도 괜찮아 명석 2012.05.30 4465
147 쓸쓸한 생의 찬미-류시화, 나의 상처는 돌 너의 상처는 꽃 [3] 명석 2012.05.30 6153
146 니케의 미소를 보았는가/김성렬 [2] 써니 2012.07.26 4574
145 나도 그처럼 - 오에 겐자부로, '나'라는 소설가 만들기 명석 2012.07.31 4522
144 [오에 겐자부로에서 시작하는 일본문학] 수희향 2012.08.25 4747
143 [나쓰메 소세키의 <그 후>] 일본의 셰익스피어 수희향 2012.08.25 4832
142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 너무 순수해서 동화될 수 ... 수희향 2012.08.25 4882
141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 시리도록 하얀 동양의 서정성 수희향 2012.09.06 4608
140 김호기의 『시대정신과 지식인』 file [1] 이희석 2012.10.16 4632
139 늦지 않았다. – 한명석 – 북하우스 [1] yeajonghee 2012.11.06 4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