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 현운
  • 조회 수 4556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6월 30일 11시 50분 등록

우리는 심술궂고 평판이 좋지 못한 주인공이 친절하고 너그러운 사람으로 변화하는 이야기를 좋아한다. 이런 것을 선호하는 이유는 우리가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거울을 볼 때 자기가 싫어하는 성격의 단면, 즉 우리 모습 중 바꾸고 싶은 부분을 지각한다. 이런 이야기를 좋아하는 것은 전력을 다해 노력하면 스스로 변화할 수 있고 되고 싶던 인물이 될 수 있다고 안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야기는 꿈을 꾸게 한다. 영감을 불어넣고 위로한다. 그래서 위대한 문학, 연극, 영화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이것은 진실이 아니다. 이야기일 뿐이다. 진실은 사람이 성장하면서 다른 누군가로 바뀌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당신의 개성을 바꿀 수는 없다. 진실은 이것이다. "자라면서 점점 자기다워진다."

- 마커스 버킹엄, 『강점에 집중하라』, p.45


창수(가명)를 지켜본지 3년이 지났습니다. 팀장으로서 그와 함께 많은 이야기를 나눴지요. 주제는 한결같이 '그의 자기발견과 성장'이었습니다. 때로는 그의 뿌리 깊은 상처가 주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창수를 생각해 봅니다. 그에게는 스스로를 가둬두지 않는 자유분방함이 가득하고 자신의 감정을 글과 그림으로 절묘하게 표현해내는 재능이 있습니다. 감성이 풍부하고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잘 느끼기도 하죠. 창수의 강점은 제가 알고 있는 것이 전부가 아닙니다. 저는 자신의 강점에 대해서는 자신이 가장 잘 알 수 있다는 마커스 버킹엄의 말을 믿습니다.

최근 모임에서 창수는 덕배(가명)의 치열함을 닮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자신을 더욱 성장하게 해 줄 비결은 그의 '치열함'을 닮는 것이라 믿는 듯 했습니다. 함께 있던 사람이 창수를 격려해 주었습니다. "창수 너도 언젠가 그런 열심을 발휘할 때가 올 거야"라고. 그의 진심 어린 응원이 감동적이기도 하고, 삶을 원하는 대로 컨트롤하지 못하는 자신을 못마땅해 하던 창수의 마음도 이해되어 아무런 말을 더하지는 않았습니다.

오늘 창수에게 전화를 했습니다. 그의 승리를 기원하며 이런 말들을 했지요. 창수야, 네가 덕배의 치열함을 갖는 날은 오지 않을 것이다. 너는 눈앞의 즐거움을 포기하지 못하잖아. 다이어트 결심은 맛있는 음식 앞에 무너지고, 아침까지 늘어지게 자는 것도 너의 즐거움이잖우. (수화기 너머 멋쩍게 웃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그래도 괜찮다. 너는 덕배의 치열함 없이도 승리할 수 있다. 너의 재능은 표현력과 창의성이니까 말이다. 결국 너는 네가 가진 것으로 성장할게다. 치열함이 아닌 창의성과 자유분방함으로 말이다.

창수는 그래도 성실함이 없으면 성공할 수 없잖아요, 라고 되물었습니다. 성실함이 필요한 것은 맞지만, 자기 것을 한껏 꽃피우기 위한 노력이지, 다른 이의 것을 내 것으로 만드려는 무모함이 아님을 말해주었습니다. 몇 마디를 더했습니다. 덕배처럼 자신을 몰아세우는 치열함이 없어도 괜찮다. 치열함이 없어서 성장이 더딘 것이 아니라, 두려움 때문에 네가 하고 싶은 일에 뛰어들지 못하기에 그런 게다. 너다움으로 밀고 나가시게. 우리는 점점 자기다워지는 것을 통해 행복하면서 꿈을 이룰 수 있다.

창수와의 통화는 "선생님, 그래도 그게 잘 안 믿어져요" "그래, 지금은 일하고 또 이야기 나누자"라는 말로 끝났습니다. 창수는 머지않아 『강점에 집중하라』를 읽을 것입니다. 이 책을 통해, 점점 자기다워지는 것이 변화의 정수임을, 강점에 집중하는 것이 승리의 비결임을 깊이 깨닫기를 소망해 봅니다. 저는 2001년 봄에 선생님의 책 『오늘 눈부신 하루를 위하여』에서 "변화는 점점 자기다워지는 것"이라는 배움을 얻었습니다. 조금씩 삶의 연수가 더해지면서, 공부가 조금씩 깊어지면서 예전의 배움 중에 지속적으로 도움이 되는 배움에 더욱 감사하게 됩니다.

IP *.152.224.67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2141
158 [먼별3-28] <이부영의 "그림자"> 무의식 세계로의 첫걸음: ... [5] 수희향 2011.03.09 5596
157 [7기지원] 1주.신화의 힘 / 조셉캠벨, 빌 모이어스 file [3] [4] 강훈 2011.02.20 5597
156 10기 구본형의 마지막 수업 _김선형 file [2] 찰나 2014.02.24 5644
155 몰입의 즐거움 [2] 나리 2009.06.11 5652
154 <리뷰> 『먼나라 이웃나라13-중국1』-먼나라 거쳐 이웃나라로 ... 구름을벗어난달 2011.04.02 5657
153 나는 걷는 법, 달리는 법, 도약하는 법과 춤추는 법을 배... [10] 승완 2009.07.09 5667
152 독립성을 얻고자 하는 이들에게 - 에머슨의 『Self-Relian... [1] 현운 2009.11.24 5678
151 [7기도전] <신화의 힘> 저자에 대하여 file [5] 양경수(양갱) 2011.02.19 5679
150 <생각의 탄생>을 읽고 [2] [2] 수희향 (박정현) 2009.02.22 5693
149 <9기 레이스 5주차 프로젝트-조현연> 전투적 책읽기 [3] 에움길~ 2013.03.04 5694
148 10기 4주차_괴테와의 대화_김선형 file 찰나 2014.03.03 5708
147 책을 읽으며 나우리 2008.10.22 5710
146 두려움 넘어서기 『도전하라 한번도 실패하지 않은 것처럼』 현운 2009.06.16 5724
145 그리스 비극을 읽는 기본지식 연지원 2013.09.16 5728
144 [그림책] 보이지 않는 소장품 - 등장인물의 소장품에 대한... file 한정화 2011.10.06 5737
143 [9기 레이스 북리뷰 1차 _ 그리스인 이야기(김대수)] file [1] 땠쑤 2013.02.03 5745
142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인디언의 방식으로 세상을 사... [1] 푸른바람 2009.01.28 5751
141 10기 북리뷰 <죽음의 수용소에서> 김정은 file [4] 앨리스 2014.02.17 5759
140 [제8기레이스-3주차 한시미학산책]이길수 [1] [3] 길수 2012.03.05 5765
139 10기 레이스 <구본형의 마지막 수업> 김정은 file [2] 앨리스 2014.02.24 57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