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 현운
  • 조회 수 4577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6월 30일 11시 50분 등록

우리는 심술궂고 평판이 좋지 못한 주인공이 친절하고 너그러운 사람으로 변화하는 이야기를 좋아한다. 이런 것을 선호하는 이유는 우리가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거울을 볼 때 자기가 싫어하는 성격의 단면, 즉 우리 모습 중 바꾸고 싶은 부분을 지각한다. 이런 이야기를 좋아하는 것은 전력을 다해 노력하면 스스로 변화할 수 있고 되고 싶던 인물이 될 수 있다고 안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야기는 꿈을 꾸게 한다. 영감을 불어넣고 위로한다. 그래서 위대한 문학, 연극, 영화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이것은 진실이 아니다. 이야기일 뿐이다. 진실은 사람이 성장하면서 다른 누군가로 바뀌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당신의 개성을 바꿀 수는 없다. 진실은 이것이다. "자라면서 점점 자기다워진다."

- 마커스 버킹엄, 『강점에 집중하라』, p.45


창수(가명)를 지켜본지 3년이 지났습니다. 팀장으로서 그와 함께 많은 이야기를 나눴지요. 주제는 한결같이 '그의 자기발견과 성장'이었습니다. 때로는 그의 뿌리 깊은 상처가 주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창수를 생각해 봅니다. 그에게는 스스로를 가둬두지 않는 자유분방함이 가득하고 자신의 감정을 글과 그림으로 절묘하게 표현해내는 재능이 있습니다. 감성이 풍부하고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잘 느끼기도 하죠. 창수의 강점은 제가 알고 있는 것이 전부가 아닙니다. 저는 자신의 강점에 대해서는 자신이 가장 잘 알 수 있다는 마커스 버킹엄의 말을 믿습니다.

최근 모임에서 창수는 덕배(가명)의 치열함을 닮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자신을 더욱 성장하게 해 줄 비결은 그의 '치열함'을 닮는 것이라 믿는 듯 했습니다. 함께 있던 사람이 창수를 격려해 주었습니다. "창수 너도 언젠가 그런 열심을 발휘할 때가 올 거야"라고. 그의 진심 어린 응원이 감동적이기도 하고, 삶을 원하는 대로 컨트롤하지 못하는 자신을 못마땅해 하던 창수의 마음도 이해되어 아무런 말을 더하지는 않았습니다.

오늘 창수에게 전화를 했습니다. 그의 승리를 기원하며 이런 말들을 했지요. 창수야, 네가 덕배의 치열함을 갖는 날은 오지 않을 것이다. 너는 눈앞의 즐거움을 포기하지 못하잖아. 다이어트 결심은 맛있는 음식 앞에 무너지고, 아침까지 늘어지게 자는 것도 너의 즐거움이잖우. (수화기 너머 멋쩍게 웃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그래도 괜찮다. 너는 덕배의 치열함 없이도 승리할 수 있다. 너의 재능은 표현력과 창의성이니까 말이다. 결국 너는 네가 가진 것으로 성장할게다. 치열함이 아닌 창의성과 자유분방함으로 말이다.

창수는 그래도 성실함이 없으면 성공할 수 없잖아요, 라고 되물었습니다. 성실함이 필요한 것은 맞지만, 자기 것을 한껏 꽃피우기 위한 노력이지, 다른 이의 것을 내 것으로 만드려는 무모함이 아님을 말해주었습니다. 몇 마디를 더했습니다. 덕배처럼 자신을 몰아세우는 치열함이 없어도 괜찮다. 치열함이 없어서 성장이 더딘 것이 아니라, 두려움 때문에 네가 하고 싶은 일에 뛰어들지 못하기에 그런 게다. 너다움으로 밀고 나가시게. 우리는 점점 자기다워지는 것을 통해 행복하면서 꿈을 이룰 수 있다.

창수와의 통화는 "선생님, 그래도 그게 잘 안 믿어져요" "그래, 지금은 일하고 또 이야기 나누자"라는 말로 끝났습니다. 창수는 머지않아 『강점에 집중하라』를 읽을 것입니다. 이 책을 통해, 점점 자기다워지는 것이 변화의 정수임을, 강점에 집중하는 것이 승리의 비결임을 깊이 깨닫기를 소망해 봅니다. 저는 2001년 봄에 선생님의 책 『오늘 눈부신 하루를 위하여』에서 "변화는 점점 자기다워지는 것"이라는 배움을 얻었습니다. 조금씩 삶의 연수가 더해지면서, 공부가 조금씩 깊어지면서 예전의 배움 중에 지속적으로 도움이 되는 배움에 더욱 감사하게 됩니다.

IP *.152.224.67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2460
658 젊음의 탄생 - 이어령 나리 2009.07.14 6751
657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 [2] 홍승완 2009.07.16 16526
656 너, 외롭구나 - 무규칙이종카운슬러 김형태 나리 2009.07.17 6053
655 카오틱스 부지깽이 2009.07.19 4500
654 잠명(箴銘), 자신과 삶을 위한 지침이자 경계로 삼는 글 승완 2009.07.20 7824
653 여행은 생각의 산파 [1] 현운 2009.07.23 4717
652 앞으로 5년 동안 삶의 지침으로 삼을 잠명 세 글자 [2] 승완 2009.07.23 5006
651 부끄러움 [1] 차칸양 2009.07.23 4476
650 나의 방식으로 세상을 여는 법 [1] 병진 2009.07.24 4663
649 이국적인 것에 대하여 현운 2009.07.24 4659
648 떠나기 전의 나와 떠난 후의 나, 그리고 돌아온 나는 같... [2] 승완 2009.07.27 4542
647 단절의 시대는 기회의 보고입니다 현운 2009.07.28 4507
646 침묵, 존재를 자각케 하는 음악 [2] 승완 2009.07.30 4627
645 CEO 안철수,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 안철수 [1] 나리 2009.07.30 4590
644 드러커 이해하기 (1) 탈근대합리주의 현운 2009.08.01 4527
643 아는 만큼 느끼고, 느낀 만큼 보인다 승완 2009.08.03 5920
642 드러커 이해하기 (2) 사회생태학자 현운 2009.08.04 4545
641 난 대통령이나 정치인이 아닌 한 사람으로써 그를 좋아했다 [2] 승완 2009.08.06 4576
640 혼자 있기와 혼자 놀기, 그 자유로움의 미학 승완 2009.08.10 4477
639 드러커 이해를 돕는 입문서 현운 2009.08.11 4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