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 승완
  • 조회 수 5889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09년 7월 6일 02시 13분 등록
일체의 글 가운데서 나는 피로 쓴 것만을 사랑한다. 글을 쓰려면 피로 써라. 그러면 너는 피가 곧 넋임을 알게 될 것이다.
다른 사람의 피를 이해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나는 게으름을 피워 가며 책을 뒤적이는 자들을 미워한다.

-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중에서
= 이수영 지음, <미래를 창조하는 나>에서 재인용

이 말을 읽고 찌릿했습니다. 며칠 전, 동료 연구원인 승오와 함께 쓴 책의 원고 작업을 끝냈습니다. 이제 1주일 정도 후면 책이 나옵니다. 제게 이 책은 네 번째 책입니다. 저자에게 책은 저마다 사연이 있습니다. 돌아보면 첫 책은 책쓰기가 뭔지 모르고 썼습니다. 스승님이 곁에서 지도해주시고 동료 연구원인 세나가 제 약점을 보완해주었기에 쓸 수 있었습니다. 두 번째 책은 여러 연구원들과 서로 즐거움을 전염하고 자극을 촉발하며 썼습니다. 세 번째 책은 마음이 잘 통하는 선배와 몰입하며 거침없이 썼습니다.

세 번째 책의 제목은 <내 인생의 첫 책쓰기>입니다. 이 책을 쓰고 나서야 책쓰기가 어떤 것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알고 나니 더 이상 책을 거침없이 쓰기 어려워졌습니다. 한 문장 한 문장, 쓸 때마다 조심스러워지고 신중해졌습니다. 이상했습니다. ‘책을 점점 더 많이 쓰면 조금씩 쉬어져야 하는 거 아닌가?’ 근데 정반대였습니다. ‘왜일까?’

이제 알겠습니다. 마음이 묻고 있는 겁니다. ‘나는 피로써 글을 썼는가? 그 글이 바로 나인가? 나도 못하는 것을 쉽게 쓰는 건 아닌가? 글 속에 나의 넋이 있는가?’ 제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도 마음은 스스로에게 묻고 물었던 겁니다. 그래서 조심스러워지고 신중해졌던 것입니다. <미래를 창조하는 나>에서 이수영 선생님은 니체의 말을 이렇게 해석합니다.

“글은 안전한 사색의 공간에서 쓰는 게 아니라 처절한 삶의 경험 속에서 써야 한다. 피로 쓴 글, 영혼과 넋의 글은 단순히 고생해서 쓴 글이 아니다. 이 세계에서 가장 고유한 자로서의 자신, 그 자신을 드러내는 글을 쓰라는 말이다.”

글을 쓸수록 이 말이 옳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부님은 연구원들에게 종종 “자신의 문제를 풀어내고 해결하는 책이 좋은 책”이라고 말씀하시곤 합니다. 그런 책에는 저자 자신이 살아 있기 때문입니다. 저는 <내 인생의 첫 책쓰기>에서 “자신이 쓴 책의 첫 번째 독자는 늘 자기자신”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책을 쓰는 동안에도 마음은 제게 묻고 있었던 겁니다.

“이 책이 바로 나인가? 나로써 책을 쓰고 있는가?”
IP *.254.238.130

프로필 이미지
수희향
2009.07.07 01:27:06 *.233.20.240
"글을 쓰려면 피로 써라. 그러면 너는 피가 곧 넋임을 알게 될 것이다"
와... 정말 참 할 말이 없게 하는 문장인데요...

벌써 4번째 책이라뇨, 참으로 추카드려요~ *^^*
아직 한 권의 책도 쓰지 못한 저이지만 "아하~ 그렇겠구나. 그렇게 발전해가는구나..."라는 깨달음이 전해집니다.
어쩐지 선배의 글을 점점 더 깊어질 것 같은 예감이 드는 글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09.07.07 20:18:34 *.254.238.130
어떤 글이든 한 번 써보겠다고 생각하고 글은 쓴지 10년 정도 된 것 같아요.
한 달에 한편 쓴 적도 있고 태만하게 보낸 시간도 있었지만 그래도 꾸준히 온 것 같아요.
앞으로 10년 동안은 나다운 글을 써보겠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자신이 즐길 수 있는 것이 있다는 건, 그건 참 좋은 것 같아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1650
678 구본형의 The Boss 쿨한 동행을 읽고 정철 2009.02.15 4453
677 내 일은 내 생명입니다 [2] 승완 2009.08.17 4453
676 단 한사람을 감동시켜 운명을 바꿨다 혜숙 2009.09.03 4453
675 변환(transition)이 변화의 성공을 좌우한다 승완 2009.10.29 4453
674 “자신이 가장 잘하는 것에서 최선을 다하라” [2] [1] 승완 2009.11.30 4453
673 4. 카를 융 기억 꿈 사상(노미선) 별빛 2010.03.07 4454
672 [북리뷰 11] 역사 속의 영웅들 Heroes of History [1] 신진철 2010.05.17 4454
671 [7기 연구원-지적 Race]마흔세 살에 다시 시작하다 리뷰 [2] 장윤영 2011.03.04 4454
670 유명과 무명 사이 [2] 임수경 2011.03.06 4454
669 긍정이 걸작을 만든다 이 희수 2009.10.29 4455
668 서양철학사 Review [3] 박현주 2010.02.22 4455
667 행복이 번지는 곳 [3] 현운 2009.07.07 4456
666 꿈을 이루고자 하는 이가 던져야 할 3가지 질문 [4] 승완 2009.08.27 4456
665 재능 발견을 위한 태도, 자신의 재능에 대한 긍정적인 믿... 승완 2009.12.03 4456
664 [1주차] 구본형 THE BOSS 쿨한 동행 신아인 2009.02.16 4457
663 제국의 미래 [2] 신아인 2009.03.09 4457
662 [8기레이스 1주차 과제] - 헤로도토스의 역사 , 하영목 학이시습 2012.02.20 4457
661 9기 북 리뷰 - 강종희 - 그리스인 이야기 file [1] [1] 종종걸음 2013.02.04 4457
660 다석 마지막 강의 맑은 김인건 2010.03.24 4458
659 리뷰따라하기-10<카를융:기억 꿈 사상>-밀린숙제5 [10] 청강경수기 2010.05.14 4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