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승완
- 조회 수 19167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
너도 그렇다
- 나태주, ‘풀꽃’
=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엮음, <시야, 너는 참 아름답구나!>에서 재인용
제가 유일하게 외우는 시입니다. 글로 예쁘게 써서 붙여 두고 오래 보고 싶은 시입니다. 그리하여 마음속에 소중하게 담고 싶은 시입니다.
“이렇게 보아야 하는데.
자세히 보고 오래 보아야 하는데.
나 자신을 볼 때조차 이러기 어렵다.
그래서 나를 모르고, 남을 모르고,
세상을 모른 채 끌려가듯 달려간다.
사람도, 책도, 시도,
무엇이든 자세히 보고 오래 보아야 하는데.”
‘풀꽃’을 읽고 적은 감상입니다. 루트번스타인 부부는 저서 <생각의 탄생>에서 “모든 지식은 관찰에서 시작된다”고 말하면서 ‘수동적인 보기’와 ‘적극적인 관찰’이 완전히 다른 것임을 강조합니다. 적극적인 관찰자는 온 몸으로 봅니다. 그래서 세속적인 것에서 장엄함을 발견하고 모든 사물에 깃들어 있는 놀랍고도 의미심장한 아름다움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런 사람에게는 관찰력이 통찰력입니다.
시인이 말한 자세히 오래 본다는 것은 온 몸으로 보는 것과 일맥상통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렇게 보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자세히 보려면 시간이 필요하고 오래 보려면 참을 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시간과 인내 앞에 관심(關心)이 자리 잡아야 합니다. 마음이 있어야 눈이 커지고, 마음이 가야 시간을 쏟으며, 마음을 정해야 오래 갑니다. 사람 사귐, 책읽기, 글쓰기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시집 <시야, 너는 참 아름답구나!>에 있는 시들은 참 좋습니다. 싱싱합니다.
아마 우리가 좋아하는 시를 우리가 골라서 그런 가 봅니다.
모두가 오래 보고 자세히 보아서 온 몸으로 느낀 시들이어서 그런 가 봅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 관리자 | 2009.03.09 | 154104 |
658 | 젊음의 탄생 - 이어령 | 나리 | 2009.07.14 | 9028 |
» |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 [2] | 홍승완 | 2009.07.16 | 19167 |
656 | 너, 외롭구나 - 무규칙이종카운슬러 김형태 | 나리 | 2009.07.17 | 8719 |
655 | 카오틱스 | 부지깽이 | 2009.07.19 | 8693 |
654 | 잠명(箴銘), 자신과 삶을 위한 지침이자 경계로 삼는 글 | 승완 | 2009.07.20 | 9993 |
653 | 여행은 생각의 산파 [1] | 현운 | 2009.07.23 | 8788 |
652 | 앞으로 5년 동안 삶의 지침으로 삼을 잠명 세 글자 [2] | 승완 | 2009.07.23 | 8866 |
651 | 부끄러움 [1] | 차칸양 | 2009.07.23 | 9223 |
650 | 나의 방식으로 세상을 여는 법 [1] | 병진 | 2009.07.24 | 8791 |
649 | 이국적인 것에 대하여 | 현운 | 2009.07.24 | 8701 |
648 | 떠나기 전의 나와 떠난 후의 나, 그리고 돌아온 나는 같... [2] | 승완 | 2009.07.27 | 8749 |
647 | 단절의 시대는 기회의 보고입니다 | 현운 | 2009.07.28 | 9252 |
646 | 침묵, 존재를 자각케 하는 음악 [2] | 승완 | 2009.07.30 | 8785 |
645 | CEO 안철수,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 안철수 [1] | 나리 | 2009.07.30 | 8977 |
644 | 드러커 이해하기 (1) 탈근대합리주의 | 현운 | 2009.08.01 | 8640 |
643 | 아는 만큼 느끼고, 느낀 만큼 보인다 | 승완 | 2009.08.03 | 8650 |
642 | 드러커 이해하기 (2) 사회생태학자 | 현운 | 2009.08.04 | 8581 |
641 | 난 대통령이나 정치인이 아닌 한 사람으로써 그를 좋아했다 [2] | 승완 | 2009.08.06 | 9408 |
640 | 혼자 있기와 혼자 놀기, 그 자유로움의 미학 | 승완 | 2009.08.10 | 8917 |
639 | 드러커 이해를 돕는 입문서 | 현운 | 2009.08.11 | 8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