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 승완
  • 조회 수 456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8월 31일 20시 30분 등록

천하에 가르쳐서는 안 되는 두 글자의 못된 말이 있다. ‘소일(消日)’이 그것이다. 아, 일을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말하자면, 1년 360일, 1일 96각을 이어대기에도 부족할 것이다. 농부는 새벽부터 밤까지 부지런히 애쓴다. 만일 해를 달아 맬 수만 있다면 반드시 끈으로 묶어 당기려 들 것이다. 저 사람은 대체 어떤 사람이기에 날을 없애버리지 못해 근심 걱정을 하며 장기 바둑과 공차기 놀이 등 하지 않는 일이 없단 말인가?
- 정약용, <도산사숙록(陶山私淑錄)> 중에서
= 정민 저, <다산어록청상>에서 재인용

다산이 초계문신(抄啓文臣)으로 있을 때의 일화 한 토막을 들려 드리겠습니다. ‘초계문신’은 조선 후기에 규장각에 특별히 마련된 교육 및 연구과정을 밟던 문신을 뜻합니다. 정조는 초계문신들에게 ‘논어’를 매일 3~4편씩 읽게 하고는 자신 앞에서 강의하도록 했습니다. 

그 즈음의 어느 날, 상의원(尙衣院)에서 숙직하던 정약용에게 아전 하나가 찾아와 종이 하나를 보여주며 말했습니다. “이것이 내일 강할 장(章)입니다.” 깜짝 놀란 다산이 말했습니다. “어찌 미리 얻어 볼 수 있단 말인가?” 아전은 임금께서 하교하신 일이니 걱정하지 말라고 했지만 정약용은 “비록 그렇더라도 전편을 읽는 것이 마땅하다”며 거절했습니다.

다음날 경연에서 정조가 명을 내렸습니다. “정약용은 특별히 다른 장을 강하라.” 다산은 하나도 틀리지 않고 강을 끝냈습니다. 그러자 정조가 웃으며 말했습니다. “과연 전편을 읽었구나.”

다산은 이렇게 성실했습니다. 다산의 성실함을 닮고 싶습니다. 평범한 제가 모든 일을 다산처럼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만 적어도 제가 좋아하고 잘할 수 있는 일과 소명에는 다산과 같은 성실함으로 임하고 싶습니다. 그렇다면 저도 그 일에서 만큼은 비범한 수준에 오를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IP *.238.40.118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2372
758 The Boss-쿨한동행 심신애 2009.02.16 4522
757 [5기 2차 1회] 'The Boss 쿨한 동행 ' (리뷰 진현주... 진현주 2009.02.16 4511
756 구본형의 THE BOSS [1] 좌경숙 2009.02.16 4515
755 [1주차] 구본형 THE BOSS 쿨한 동행 신아인 2009.02.16 4498
754 2차 1회- 구본형의 The BOSS 쿨한 동행 [1] 김홍영 2009.02.16 4472
753 구본형의 THE BOSS 조영재 2009.02.16 4478
752 구본형의 The Boss-쿨한 동행 [6] 오병곤 2009.02.16 4645
751 지식의 단련법_타치바나 타카시 [4] 맑은 2009.02.17 5572
750 다석 유영모 어록_두레 [1] 맑은 2009.02.20 7397
749 <생각의 탄생> - 2차 과제 [2] 나리 2009.02.21 4558
748 <5기2차2회> '생각의 탄생' 리뷰 [4] [1] 장성우 2009.02.22 4774
747 생각의 탄생 [2] 박안나 2009.02.22 5581
746 생각의 탄생 [3] [2] 이승호 2009.02.22 6384
745 생각의 탄생 - 로버트 루트번스타인·미셸 루트번스타인 [7] 류춘희 2009.02.22 6292
744 <생각의 탄생>을 읽고 [2] [2] 수희향 (박정현) 2009.02.22 5700
743 생각의 탄생을 읽고 [3] 정세희 2009.02.22 7949
742 생각의 탄생 Spark of Genius [1] 김성렬(백산) 2009.02.22 8689
741 생각의 탄생 Spark of Genius (2) [3] 김성렬(백산) 2009.02.22 6831
740 생각의 탄생 Spark of Genius (3) [3] [3] 김성렬(백산) 2009.02.22 5560
739 생각의 탄생 [4] 좌경숙 2009.02.23 5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