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 승완
  • 조회 수 4665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9년 9월 17일 00시 22분 등록
모든 10-10-10의 절차는 질문으로 시작한다. 즉 모든 10-10-10은 자신의 딜레마, 위기, 문제 등을 의문문의 형태로 정리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 실제 해보니 10-10-10은 잘 만들어진 질문에서 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복잡한 문제들은 으레 주변의 크고 작은 다른 문제들과 함께 얽혀 있기 마련이고, 고민하다 보면 문제의 핵심을 잃고 샛길로 빠지거나 지엽적인 문제에 정신이 팔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 수지 웰치 저, <텐-텐-텐(10-10-10)> 중에서

저는 좋은 자기계발서와 실용서는 3가지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나는 통찰력 있는 핵심 메시지와 방법론이고, 두 번째는 재미있는 사례이고, 세 번째는 좋은 질문입니다. 수지 웰치가 쓴 <텐-텐-텐>은 이 세 가지 기준으로 봤을 때 꽤 괜찮은 책입니다. 

의사결정 도구로써 텐-텐-텐은 단순하고 실용적입니다. 이 방법론의 핵심은 어떤 의사결정을 할 때 ‘10분 후-10개월 후-10년 후’를 감안하라는 겁니다. 단기적인 이익이나 어려움에 함몰되지 말고 단기-중기-장기 세 관점을 살펴보고 의사결정을 하라는 뜻입니다.

이 방법론과 함께 제가 이 책을 마음에 들어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책 안에 포함된 질문들입니다. 이 책에는 단순하지만 여운이 있는 질문, 구체적이면서도 본질적인 질문들이 적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수지 웰치는 삶의 가치관을 발견하기 위한 3가지 질문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녀는 이것을 ‘가치 질문서’라고 부릅니다.

“당신의 일흔 살 생일을 맞이할 때 무엇이 당신을 울게 할 것인가?”
“내가 방에 없을 때 사람들이 나에 대해 뭐라고 말하길 바라는가?”
“당신 부모의 생활방식 중에 마음에 드는 것은 무엇이고 싫은 것은 무엇인가?”

저는 20대 중반에 제 핵심가치를 찾아서 정립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 경험에 비추어볼 때 수지 웰치의 질문은 가치관을 발견하는 데 꽤 유용합니다. 좋은 질문은 구체적이면서도 본질적입니다. 이런 질문은 자신과의 대화를 촉발하고, 새로운 관점을 제공합니다. 한 마디로 좋은 질문은 성찰을 촉진합니다.

좋은 질문에서 좋은 답이 나옵니다. 따라서 좋은 답을 찾기 위해서는 좋은 질문을 던질 줄 알아야 합니다. 
IP *.251.74.151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09.09.18 01:10:46 *.251.74.151
네, 저도 공감합니다.
스스로에게 질문 던지고, 온 몸으로 대답하기.
본질적인 질문일수록, 어려운 질문일수록
그런 질문에 스스로 직면하는 게 성숙의 한 표상이 아닐까 생각해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2110
378 [7기 레이스_2주차] 공감의 시대 file [1] 미나 2011.02.27 4704
377 4주차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 file [3] 전민정 2011.03.13 4707
376 [북리뷰 11] 역사 속의 영웅들 Heroes of History [4] 신진철 2010.05.19 4708
375 '깊은 인생'을 읽으며 황홀경에 빠지다 한 명석 2013.09.24 4708
374 <10기 레이스 3주차 북리뷰> 구본형의 마지막수업_한창훈 file [2] jieumjf 2014.02.24 4709
373 5-2리뷰 우리가 정말 알~ 삼국유사(고운기) [1] 윤인희 2010.05.10 4713
372 자신의 존재 확인법과 에너지 충전법을 가지고 있나요? [2] 승완 2009.09.07 4714
371 10기_2주차_죽음의수용소에서_정수일 file [8] 피울 2014.02.16 4714
370 [북리뷰 10] 삼국유사 [4] 신진철 2010.05.11 4715
369 제 8기 지적레이스 2주차- 깊은 인생 file [2] id: 문윤정 2012.02.26 4717
368 <프로젝트>우리 아이와 함께 읽는 4권의 책 이야기-서은경 file [1] [2] tampopo 2013.03.04 4718
367 지적 Race_신화의 힘_을 읽고 [2] 힐데가르트 2011.02.21 4719
366 [책읽기 세상읽기] 희망은 깨어있네 [1] 2010.04.12 4721
365 [7기 지원] 2주차 공감의 시대 file [2] 전민정 2011.02.28 4729
364 8기예비연구원[4주차과제-내 인생의 시집 한권]-한승욱 file [16] 똥쟁이 2012.03.11 4730
363 독립적인 지성을 꿈꾸는 첫걸음 [1] 현운 2009.09.22 4733
362 한가로운 여유 만큼이나 좋은 것들 [4] 현운 2009.08.18 4739
361 리뷰따라하기6<서양철학사> -밀린숙제3 [1] 청강 경수기 2010.04.30 4739
360 [8기예비연구원-하영목]한시미학산책 [1] [1] 학이시습 2012.03.05 4740
359 [먼별3-19] <헤르만 헤세의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예술 너... 수희향 2011.02.10 4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