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완
- 조회 수 8813
- 댓글 수 0
- 추천 수 0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의 편집장을 역임한 수지 웰치는 효과적인 의사결정 방법론으로 ‘10-10-10’을 제안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어떤 의사결정을 할 때 ‘10분 후-10개월 후-10년 후’를 감안하라는 것입니다. 다르게 표현하면 단기적인 관점에 집중하거나 직관적으로 혹은 감정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지 말고, 10분-10개월-10년 후 이 결정이 자신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후에 결정을 내리라는 의미입니다. 10-10-10은 총 3단계로 진행되는 데 그 핵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0-10-10 1단계 : 의사결정 할 질문 만들기
* 설명 : 모든 10-10-10의 절차는 질문으로 시작한다. 즉 모든 10-10-10은 자신의 딜레마, 위기, 문제 등을 의문문의 형태로 정리한다.
* 질문의 예 : 직장을 그만둘 것인가? 대학원에 진학해야 할까?
* 주의 사항 : 10-10-10은 잘 만들어진 질문에서 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복잡한 문제들은 크고 작은 다른 문제들과 함께 얽혀 있기 때문에 문제의 핵심을 잊고 지엽적인 문제에 빠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장 효과적인 10-10-10은 문제의 본질, 즉 자신이 진정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찾아내는 데서 시작한다.
10-10-10 2단계: 데이터 수집
* 설명 : 데이터 수집 과정은 머릿속으로 해도 되고 컴퓨터로 작업을 해도 되고 펜과 종이를 이용하거나 친구나 배우자와 대화로 풀어도 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 질문이 결정되었다면 이번 단계에서 중요한 단 한 가지는 자신이 다음 질문에 솔직하고 철저하게 대답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 질문 : 각각의 선택들이 10분 후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인가? 10개월 후에는? 10년 후에는?
* 주의 사항 : 10-10-10에서 10이라는 숫자는 상징이다. 즉, 10분은 지금 당장을 의미하고, 10개월은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 이 의사결정에 대한 초기 반응은 사라졌지만 그 결과가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는 시간대를 뜻하며, 10년은 먼 훗날로 그 모든 것이 끝난 후를 말한다. 간단히 말하면 각 숫자는 ‘단기’, ‘중기’, ‘장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10-10-10 3단계 : 분석 및 결정
* 설명 : 이 단계는 지금까지 수집한 모든 정보를 내면 깊숙이 간직해온 자신의 믿음, 목표, 꿈과 비교해보는 것이다.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이 10-10-10으로 얻는 해결책이다.
* 질문 : 지금 내게 가능한 선택들과 각각의 결과들에 대해 내가 알고 있는 것을 토대로 했을 때, 어떤 결정이 내가 원하는 삶을 만들어가는 데 도움이 되는가?
* 주의 사항 : 이 단계에서 조급하면 안 된다. 1단계에서 질문을 제대로 세우고, 2단계에서 충분한 데이터를 수집했다면 스스로를 믿고 결정을 내려야 한다. 자료와 직관, 이성과 감성으로 균형 잡힌 관점이 올바른 결정을 내려줄 것이다.
‘10-10-10’은 자신에 대해 잘 아는 사람에게 단순하고 실용적인 의사결정 도구입니다. 자신의 핵심가치와 재능, 꿈을 정립한 사람은 ‘10-10-10’을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에 대해 잘 알기 때문에 문제의 본질을 잡아낼 수 있고 데이터를 수집하기도 용이합니다. 특히, 핵심가치와 재능, 꿈이 의사결정의 기준이자 가늠좌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자료 분석과 결정도 수월합니다. 이런 사람에게 ‘10-10-10’의 효용은 ‘현미경(10분 후)-돋보기(10개월 후)- ‘망원경(10년 후)’ 이 3가지 관점을 종합하여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 10-10-10 3단계는 수지 웰치가 쓴 <텐-텐-텐(10-10-10)>의 내용을 바탕으로 요약하고 다듬었습니다.
IP *.237.95.62
10-10-10 1단계 : 의사결정 할 질문 만들기
* 설명 : 모든 10-10-10의 절차는 질문으로 시작한다. 즉 모든 10-10-10은 자신의 딜레마, 위기, 문제 등을 의문문의 형태로 정리한다.
* 질문의 예 : 직장을 그만둘 것인가? 대학원에 진학해야 할까?
* 주의 사항 : 10-10-10은 잘 만들어진 질문에서 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복잡한 문제들은 크고 작은 다른 문제들과 함께 얽혀 있기 때문에 문제의 핵심을 잊고 지엽적인 문제에 빠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장 효과적인 10-10-10은 문제의 본질, 즉 자신이 진정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찾아내는 데서 시작한다.
10-10-10 2단계: 데이터 수집
* 설명 : 데이터 수집 과정은 머릿속으로 해도 되고 컴퓨터로 작업을 해도 되고 펜과 종이를 이용하거나 친구나 배우자와 대화로 풀어도 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 질문이 결정되었다면 이번 단계에서 중요한 단 한 가지는 자신이 다음 질문에 솔직하고 철저하게 대답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 질문 : 각각의 선택들이 10분 후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인가? 10개월 후에는? 10년 후에는?
* 주의 사항 : 10-10-10에서 10이라는 숫자는 상징이다. 즉, 10분은 지금 당장을 의미하고, 10개월은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 이 의사결정에 대한 초기 반응은 사라졌지만 그 결과가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는 시간대를 뜻하며, 10년은 먼 훗날로 그 모든 것이 끝난 후를 말한다. 간단히 말하면 각 숫자는 ‘단기’, ‘중기’, ‘장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10-10-10 3단계 : 분석 및 결정
* 설명 : 이 단계는 지금까지 수집한 모든 정보를 내면 깊숙이 간직해온 자신의 믿음, 목표, 꿈과 비교해보는 것이다.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이 10-10-10으로 얻는 해결책이다.
* 질문 : 지금 내게 가능한 선택들과 각각의 결과들에 대해 내가 알고 있는 것을 토대로 했을 때, 어떤 결정이 내가 원하는 삶을 만들어가는 데 도움이 되는가?
* 주의 사항 : 이 단계에서 조급하면 안 된다. 1단계에서 질문을 제대로 세우고, 2단계에서 충분한 데이터를 수집했다면 스스로를 믿고 결정을 내려야 한다. 자료와 직관, 이성과 감성으로 균형 잡힌 관점이 올바른 결정을 내려줄 것이다.
‘10-10-10’은 자신에 대해 잘 아는 사람에게 단순하고 실용적인 의사결정 도구입니다. 자신의 핵심가치와 재능, 꿈을 정립한 사람은 ‘10-10-10’을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에 대해 잘 알기 때문에 문제의 본질을 잡아낼 수 있고 데이터를 수집하기도 용이합니다. 특히, 핵심가치와 재능, 꿈이 의사결정의 기준이자 가늠좌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자료 분석과 결정도 수월합니다. 이런 사람에게 ‘10-10-10’의 효용은 ‘현미경(10분 후)-돋보기(10개월 후)- ‘망원경(10년 후)’ 이 3가지 관점을 종합하여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 10-10-10 3단계는 수지 웰치가 쓴 <텐-텐-텐(10-10-10)>의 내용을 바탕으로 요약하고 다듬었습니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 관리자 | 2009.03.09 | 154049 |
218 | 읽지 않으면 쓸 수 없다 [3] | 승완 | 2009.10.08 | 8954 |
217 | 여행자인 내게 그는 베테랑 선생입니다 [1] | 현운 | 2009.10.06 | 10250 |
216 | 내 삶에 새로운 문 하나가 열리던 순간 [4] | 승완 | 2009.10.05 | 8776 |
215 | 인연, 나와 그대 사이에 마음길 내기 [7] | 승완 | 2009.10.01 | 9282 |
214 | 강연을 하는 나의 방식, 연습과 강점 활용 [5] | 승완 | 2009.09.28 | 9440 |
213 | 프리젠테이션을 준비할 때 꼭 던져야 하는 질문 한 가지 | 승완 | 2009.09.24 | 8671 |
212 | 독립적인 지성을 꿈꾸는 첫걸음 [1] | 현운 | 2009.09.22 | 8974 |
» | 단순하고 실용적인 의사결정 도구, 10-10-10 | 승완 | 2009.09.21 | 8813 |
210 | 나의 이상주의 뛰어넘기 [1] | 현운 | 2009.09.18 | 8752 |
209 | 좋은 질문에서 좋은 답이 나온다 [1] | 승완 | 2009.09.17 | 8787 |
208 | 통쾌함을 안겨다주는 괴테의 지성 | 현운 | 2009.09.15 | 8717 |
207 | 에너지 충전법, 전경과 배경을 전환하기 [1] [1] | 승완 | 2009.09.14 | 8794 |
206 | 독자적인 길을 개척하라 | 현운 | 2009.09.11 | 8775 |
205 | 삶이라는 악보의 쉼표, 휴식(休息) [1] | 승완 | 2009.09.10 | 9217 |
204 | 매너리즘에 빠지는 이유 | 현운 | 2009.09.08 | 8929 |
203 | 자신의 존재 확인법과 에너지 충전법을 가지고 있나요? [2] | 승완 | 2009.09.07 | 9403 |
202 | 괴테가 말하는 여행의 기술 [1] | 현운 | 2009.09.04 | 9057 |
201 | 단 한사람을 감동시켜 운명을 바꿨다 | 혜숙 | 2009.09.03 | 8764 |
200 | 마음의 구조-6개의 원형 | 한명석 | 2009.09.03 | 8920 |
199 | 자신의 역할모델을 찾아서 깊이 배워라 [2] [1] | 승완 | 2009.09.03 | 88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