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 승완
  • 조회 수 4966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09년 10월 8일 00시 24분 등록
글쓰기는 개인적인 작업입니다. 그래서 글을 쓰는 방식 역시 아주 다양합니다. 그럼에도 글쓰기에 있어 불변의 법칙이 하나 있습니다. ‘많이 읽고 많이 써야 한다’는 겁니다. 스티븐 킹은 단호하게 말합니다.

“작가가 되고 싶다면 무엇보다 두 가지 일을 반드시 해야 한다. 많이 읽고 많이 쓰는 것이다. 이 두 가지를 슬쩍 피해갈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지름길도 없다.”

‘많이 읽고 많이 쓰라’는 원칙에서 핵심은 순서입니다. 즉, 먼저 많이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읽지 않으면 쓸 수 없습니다. 글을 잘 쓰고 싶어 하면서도 책 읽을 시간은 없다고 말하는 사람 중에 글을 꾸준히 쓰는 사람을 본 적 없습니다. 그러니까 읽지 않는 사람은 쓰지도 않습니다. 이에 대해 스티븐 킹은 확실하게 못을 박습니다.

“책을 읽을 시간이 없는 사람은 글을 쓸 시간도 (그리고 연장도) 없는 사람이다. 결론은 그렇게 간단하다.” 

많은 사람들이 독서의 중요성을 자료 수집의 중요성으로 이해합니다. 물론 자료 수집도 중요하지만 독서는 그 이상의 가치가 있습니다. 글쓰기 관점에서 독서의 묘미 중 하나는 많은 책을 읽으며 여러 문체를 맛보고 그것을 거울 삼아 자신의 문체를 다듬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돌아보면 저는 오랫동안 몇 사람의 문체를 때로는 의도적으로, 어떤 때는 무의식적으로 모방해왔습니다. 제 생각에 좋은 작가의 문체를 모방하는 것은 작문 실력을 키우는 좋은 방법입니다. 스티븐 킹도 비슷한 이야기를 합니다.

“여러 문체를 받아들이는 것은 자기만의 문체를 개발하는 데 필수적인 과정이다. 그러나 저절로 되는 일은 없다. 폭넓은 독서를 하면서 끊임없이 자기 작품을 가다듬어야(그리고 갱신해야) 한다. 책을 별로 안 읽는 (더러는 전혀 안 읽는) 사람들이 글을 잘 쓰겠다면서 남들이 자기 글을 좋아할 거라고 생각하는 것은 정말 터무니없는 일이다. 그러나 나는 그런 사람들을 많이 보았다.”

많이 읽다 보면 쓰고 싶어집니다. 특히 자신의 가슴을 울리는 책을 읽다보면 ‘나도 이런 글을 써보고 싶다’는 욕망이 꿈틀됩니다. 책을 읽으며 웃고 울어본 사람만이 글을 쓰며 웃고 울 수 있고, 그렇게 쓴 글이 독자를 웃고 울게 할 수 있습니다. 누군가의 가슴에 불을 지피고 싶은 사람은 자신부터 불타올라야 합니다. 

“한번쯤 남의 글을 읽고 매료되지 못한 작가는 자기 글로 남들을 매료시킬 수도 없다.”
- 스티븐 킹 저, <유혹하는 글쓰기> 중에서  
IP *.255.183.149

프로필 이미지
수희향
2009.10.09 09:25:12 *.206.74.98
청명한 가을날 꼭 새겨두어야 할 좋은 말씀 감사^^
가끔은 사실 가장 기본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있다니까...^^:::

글고, 잘 다녀왔지...?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09.10.09 22:24:41 *.255.183.149
네, 누나. 잘 다녀왔어요.
사랑하며 살아야 한다는 생각을 많이 했어요.
프로필 이미지
피아
2009.11.03 17:12:43 *.4.189.26
답은 항상 옆에 있는데도 찾지 못하고 먼길을 헤메이다 돌아와 보면 내가 떠났던 자리에 정답은 놓여져 있는 것이 인생인것 같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2083
618 내가 뽑은 최고 글빨의 작가 [4] 이희석 2010.05.16 4512
617 나이테경영 - 오래 가려면 천천히 가라. (츠카코시 히로시... 하모니리더십 2010.12.16 4512
616 인생도처유상수 -유홍준- 나선 2011.11.29 4513
615 <예비9기 1주차 지적레이스-조현연>구본형의 그리스인이야기 [2] 에움길~ 2013.02.04 4513
614 드러커 이해하기 (1) 탈근대합리주의 현운 2009.08.01 4514
613 [7기 연구원 지원] <마흔 세살에 다시 시작하다> 북리뷰 [2] 이현정 2011.03.07 4514
612 제국의 미래 심신애 2009.03.09 4515
611 제국의 미래 [1] 정철 2009.03.09 4516
610 드러커 이해하기 (2) 사회생태학자 현운 2009.08.04 4516
609 꿈꾸는 다락방과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를 보고… [1] 미나 2010.05.10 4516
608 <9기 레이스 북리뷰 3주차-닥터 노먼 베쑨-박진희> file 라비나비 2013.02.18 4516
607 진정성과 실용적 접근의 조화 - 나의 방식으로 세상을 여... [2] 이기찬 2009.08.21 4518
606 현실과 허구, 환타지를 잘 버무려준 김려령의 "너를 봤어" 한 명석 2013.08.04 4518
605 [북리뷰 13] 난중일기 [6] 신진철 2010.05.31 4519
604 [7기 연구원지원] 공감의 시대를 읽고서 [3] [2] 박주선 2011.02.27 4519
603 나-구본형의 변화 이야기 Review [3] 최우성 2010.03.01 4520
602 리뷰따라하기-11 < 역사속의영웅들:윌듀런트 > [1] [2] 청강 경수기 2010.05.17 4521
601 나도 그처럼 - 오에 겐자부로, '나'라는 소설가 만들기 명석 2012.07.31 4521
600 고민하는 힘이 살아가는 힘! [2] 이희석 2010.03.26 4522
599 [먼별3-13] <스티브 킹의 자서전 "유혹하는 글쓰기"> 천재는... [4] 수희향 2011.01.19 4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