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 현운
  • 조회 수 4416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10월 23일 23시 56분 등록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의 신간이다. 책에서 발견한 '복합성'은 나의 관심을 끄는 개념이었다. 개체나 조직의 규모가 크다고 해서 복합성이 커지는 것은 아니다. 코끼리는 생물학적으로 쥐보다 더 복합적이지 않다. 저자는 구소련과 미국을 예로 들어 복합성을 이루는 두 가지 요소를 설명한다. 구소련은 엄청나게 거대한 국가였지만 복합적인 사회가 아니었다. "획일적인 중앙집권 방식과 이데올로기가 개인의 자발성과 다양성을 억압했고, 분화가 불충분해지자 내부에서 폭발"되었다. 반면, 미국은 "고도로 분화되어 있어서 오히려 정반대 방면에서 복합성이 위협"받는다.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통합이다. 공통의 가치관과 행동 규범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복합성은 분화와 통합이 균형을 이루는 것이다. 분화는 특수화되는 것이고, 세분화되는 과정이다. 생물의 분화는 구조와 기능이 특수화되는 과정이고, 조직의 분화는 전체를 이루는 각 부분들이 독특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 쪽으로 나누어지는 과정이다. 이것은 단순함에서 복잡함으로, 동질에서 이질로 변화되어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분화는 복합성의 전부가 아니다. 여러 요소들이 합쳐져 하나의 전체를 이루지 못하면 그것은 복합성을 이루지 못한다. 분화에 통합에 깃들여져야 복합성이 된다. 미하이 칙센트미하이도 복합성과 복잡성을 명확히 구분했다.


복합성의 의미는 오해하기 쉽다. 예를 들어 복합성은 '복잡하다'는 말과 동의어로 볼 때가 많다. 그러나 보통 무엇인가를 복잡하다고 할 때, 그 말은 그것이 알아내기 어렵고 예측할 수 없고 혼란스럽다는 뜻이다. 이는 사실 분화는 되어 있으나 통합은 잘 되지 않은 것, 그러므로 복합성이 떨어지는 것의 특징이다. 복합적인 시스템은 혼란스럽지 않다. 각 부분들이 아무리 다양하다 하더라도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자기진화를 위한 몰입의 재발견』, 한국경제신문, p.232


일상생활에서 복합성을 인식해 가는 것은 유익한 일이다. 복합적인 음식은 재료의 색깔이 살아 있으면서도 조화롭고 새로운 맛을 지닌다. 복합적인 공동체는 구성원의 재능과 개성이 살아 있으면서도 하나의 가치로 결속되어 있다. 복합적인 사람은 삶의 다양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내면서도 일관성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복합성은 성장과 성숙을 가늠하는 하나의 표지다. 최고와 최대는 아름다운 삶의 목표로는 부족하다. 나는 최고, 최대보다는 영원과 의미, 기쁨과 공헌을 추구한다. '복잡성'이라는 개념에서 내가 해야 할 일 몇 가지를 찾을 것 같다. 400페이지가 넘는 두꺼운 책을 다시 펼쳐드는 이유다.

IP *.135.205.176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1141
658 유명과 무명 사이 [2] 임수경 2011.03.06 4426
657 [8기레이스 1주차 과제] - 헤로도토스의 역사 , 하영목 학이시습 2012.02.20 4426
656 9기 북리뷰 1주차-그리스인 이야기-용경식 file 엘모99 2013.02.04 4426
655 어떤 물건을 구입하는 것보다 어떤 경험을 하는 것이 더 ... [2] 승완 2009.11.23 4427
654 1 신화와 인생 신진철 2010.02.15 4427
653 새로운 롤 모델, 마이클 더다 이희석 2010.10.26 4428
652 한 범생이법학자의 글로 푸는 욕망-김두식, 욕망해도 괜찮아 명석 2012.05.30 4428
651 9기 레이스 2주차 : 법의 정신 - 이효은 file 꽃마리 2013.02.11 4428
650 구본형의 The Boss 쿨한 동행을 읽고 정철 2009.02.15 4429
649 행복이 번지는 곳 [3] 현운 2009.07.07 4429
648 꿈을 이루고자 하는 이가 던져야 할 3가지 질문 [4] 승완 2009.08.27 4429
647 퇴계 선생의 마음공부법 『함양과 체찰』 이희석 2010.07.28 4430
646 서양철학사 Review [3] 박현주 2010.02.22 4431
645 나를 수다쟁이로 만든 『아웃라이어』 [6] 이희석 2010.05.07 4431
644 리뷰따라하기-10<카를융:기억 꿈 사상>-밀린숙제5 [10] 청강경수기 2010.05.14 4431
643 <북리뷰>금융대국 중국의 탄생 [2] 구름을벗어난달 2010.07.12 4432
642 4. 기억 꿈 사상 박미옥 2010.03.06 4433
641 혼자 있기와 혼자 놀기, 그 자유로움의 미학 승완 2009.08.10 4434
640 자신의 역할모델을 찾아서 깊이 배워라 [2] [1] 승완 2009.09.03 4435
639 <북리뷰>아파트 신화의 덫에 걸린 사람들 -『하우스푸어』 구름을벗어난달 2011.02.01 4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