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 승완
  • 조회 수 4444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11월 2일 00시 04분 등록
지난 번 올린 글(‘변환(transition)이 변화의 성공을 좌우한다’)에서 변화와 변환(transition)은 다른 개념임을 언급했습니다. 즉, 변화가 상황적이고 유형적인 변화라면 변환은 내부에서 일어나는 심리적이고 무형적인 것입니다. 그리고 사람과 관련된 모든 변화는 변환을 수반한다고 말했습니다.

변화와 변환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변화가 변환을 이끌 때도 있고, 변환이 변화를 이끄는 경우도 있습니다. 변화가 일어나는 순서에는 정해진 법칙이 없지만 <내 삶에 변화가 찾아올 때>의 저자인 윌리엄 브리지스에 따르면 변환에는 일정한 패턴이 존재합니다. 그는 변환은 ‘끝-중립지대-새로운 시작’으로 진행된다고 말합니다. 

“변환의 첫 번째 단계가 ‘끝’이라면, 삶의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기 이전의 ‘상실과 공허감’의 시기는 두 번째 단계이며, 그 다음 ‘새로운 시작’이 세 번째 단계이다.”

변환에서 중요한 단계는 첫 번째와 두 번째입니다. 세 번째 단계인 ‘새로운 시작’이 가장 중요할 것 같지만 ‘끝’과 ‘중립지대’를 어떻게 거치는 가에 따라 ‘새로운 시작’의 성패가 결정됩니다. 오늘은 변환의 첫 번째 단계인 ‘끝’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 글에서는 ‘중립지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변화(변환)에 대해 뭔가 새로운 것을 시작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브리지스는 변화는 ‘시작’이 아니라 ‘끝’에서 출발한다고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이직이라는 변화의 시작은 새로운 직장이 아니라 이전 직장에서의 퇴사이고, 결혼은 부부생활의 시작이 아니라 독신생활의 끝에서 출발합니다. 

“미래를 위해 나아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끝을 맺어야 한다. 끝은 청소의 과정이다. 끝은 때때로 아무 의미도 없는 것처럼 뜻밖의 방식으로 우리에게 나타나기 때문에 우리는 가능한 한 빨리 그 너머로 뛰어넘으려고 서두른다. 하지만 끝을 완전히 맺지 않고서는 그 어느 것도 새로이 뿌리 내리지 못한다.”

‘끝’은 일종의 죽음입니다. 모든 것의 종결을 의미하는 죽음이 아닌 새로운 시작을 위한 죽음입니다. 이 죽음의 의미는 미르치아 엘리아데의 다음과 같은 말에 잘 드러나 있습니다. 

“통과의례에서 죽음을 최종적인 것으로 바라보는 의례나 신화는 어디에도 없다. 통과의례에서의 죽음은 곧 다른 존재 양식으로의 전환을 위한 필수조건으로, 새로운 탄생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시험이다. 즉 그것은 새로운 삶의 시작인 것이다.”

‘끝’은 간단한 단계가 아닙니다. 사람은 변화의 시기에 과거의 틀을 그대로 유지하고 싶어 합니다. 과거의 방식이나 습관은 익숙한 것이고, 익숙한 것은 편안합니다. 그래서 변화를 시도하는 사람은 미래에 앞서 과거부터, 새것에 앞서 옛것부터 매듭을 지어야 합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변화를 모색하는 이들을 위한 첫 번째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한 계절의 과실을 포기하지 않고는 다음 계절에 꽃을 피울 수 없다.”
- 윌리엄 브리지스 저, <내 삶에 변화가 찾아올 때> 중에서
IP *.255.183.6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1876
678 목표의 올바름은 선(善), 그 목표에 이르는 과정의 올바름... [4] 승완 2009.06.15 5262
677 세라핀과 좀머씨 [3] 나리 2009.06.15 4615
676 두려움 넘어서기 『도전하라 한번도 실패하지 않은 것처럼』 현운 2009.06.16 5717
675 사람들에게 자신을 비추어보라(鑒於人) [1] 승완 2009.06.18 5480
674 역사를 아는 지식의 유익 현운 2009.06.19 4425
673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나는 완벽한 삶을 산 것 같다 [7] 승완 2009.06.22 4480
672 우리는 기적을 꿈꿀 수 있습니다! 현운 2009.06.23 4404
671 삶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는 캠벨의 독서법 [7] 승완 2009.06.25 4566
670 나의 강점 선언문 만들기 [4] 현운 2009.06.26 5858
669 다름의 아름다움 - 나와 다른 당신이 왜 소중한가.. 고즈... [2] idgie 2009.06.28 4576
668 세상에 하나뿐인 나만을 위한 교육 과정을 만들어라 승완 2009.06.29 4431
667 변화의 정수, 승리의 비결 현운 2009.06.30 4542
666 따뜻한 햇살을 머금고 흐르는 강물 같은 책 승완 2009.07.02 4797
665 30대의 철학하기 : 철학자 그 '놈' [2] 현운 2009.07.03 4785
664 글을 쓰려면 피로 써라 [2] 승완 2009.07.06 5904
663 행복이 번지는 곳 [3] 현운 2009.07.07 4473
662 나는 걷는 법, 달리는 법, 도약하는 법과 춤추는 법을 배... [10] 승완 2009.07.09 5656
661 생각이 많은 사람 VS 생각이 깊은 사람 [1] 현운 2009.07.12 20583
660 그대 어깨 위에 무지개가 뜨기를. [2] 홍승완 2009.07.13 5308
659 인생의 겨울을 보내고 있는 이들에게 [1] 현운 2009.07.14 4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