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 승완
  • 조회 수 861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11월 2일 00시 04분 등록
지난 번 올린 글(‘변환(transition)이 변화의 성공을 좌우한다’)에서 변화와 변환(transition)은 다른 개념임을 언급했습니다. 즉, 변화가 상황적이고 유형적인 변화라면 변환은 내부에서 일어나는 심리적이고 무형적인 것입니다. 그리고 사람과 관련된 모든 변화는 변환을 수반한다고 말했습니다.

변화와 변환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변화가 변환을 이끌 때도 있고, 변환이 변화를 이끄는 경우도 있습니다. 변화가 일어나는 순서에는 정해진 법칙이 없지만 <내 삶에 변화가 찾아올 때>의 저자인 윌리엄 브리지스에 따르면 변환에는 일정한 패턴이 존재합니다. 그는 변환은 ‘끝-중립지대-새로운 시작’으로 진행된다고 말합니다. 

“변환의 첫 번째 단계가 ‘끝’이라면, 삶의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기 이전의 ‘상실과 공허감’의 시기는 두 번째 단계이며, 그 다음 ‘새로운 시작’이 세 번째 단계이다.”

변환에서 중요한 단계는 첫 번째와 두 번째입니다. 세 번째 단계인 ‘새로운 시작’이 가장 중요할 것 같지만 ‘끝’과 ‘중립지대’를 어떻게 거치는 가에 따라 ‘새로운 시작’의 성패가 결정됩니다. 오늘은 변환의 첫 번째 단계인 ‘끝’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 글에서는 ‘중립지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변화(변환)에 대해 뭔가 새로운 것을 시작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브리지스는 변화는 ‘시작’이 아니라 ‘끝’에서 출발한다고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이직이라는 변화의 시작은 새로운 직장이 아니라 이전 직장에서의 퇴사이고, 결혼은 부부생활의 시작이 아니라 독신생활의 끝에서 출발합니다. 

“미래를 위해 나아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끝을 맺어야 한다. 끝은 청소의 과정이다. 끝은 때때로 아무 의미도 없는 것처럼 뜻밖의 방식으로 우리에게 나타나기 때문에 우리는 가능한 한 빨리 그 너머로 뛰어넘으려고 서두른다. 하지만 끝을 완전히 맺지 않고서는 그 어느 것도 새로이 뿌리 내리지 못한다.”

‘끝’은 일종의 죽음입니다. 모든 것의 종결을 의미하는 죽음이 아닌 새로운 시작을 위한 죽음입니다. 이 죽음의 의미는 미르치아 엘리아데의 다음과 같은 말에 잘 드러나 있습니다. 

“통과의례에서 죽음을 최종적인 것으로 바라보는 의례나 신화는 어디에도 없다. 통과의례에서의 죽음은 곧 다른 존재 양식으로의 전환을 위한 필수조건으로, 새로운 탄생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시험이다. 즉 그것은 새로운 삶의 시작인 것이다.”

‘끝’은 간단한 단계가 아닙니다. 사람은 변화의 시기에 과거의 틀을 그대로 유지하고 싶어 합니다. 과거의 방식이나 습관은 익숙한 것이고, 익숙한 것은 편안합니다. 그래서 변화를 시도하는 사람은 미래에 앞서 과거부터, 새것에 앞서 옛것부터 매듭을 지어야 합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변화를 모색하는 이들을 위한 첫 번째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한 계절의 과실을 포기하지 않고는 다음 계절에 꽃을 피울 수 없다.”
- 윌리엄 브리지스 저, <내 삶에 변화가 찾아올 때> 중에서
IP *.255.183.6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154012
818 북리뷰4주차-기억 꿈 사상 file 이은주 2010.03.08 6441
817 <북리뷰>한국판 잃어버린 10년이 온다-『2020 부의전쟁 in ... 구름을벗어난달 2011.01.17 6847
816 다산이 걸어간 '사람의 길' -『뜬 세상의 아름다움』 현운 2009.10.30 7277
815 [먼별3-19] <헤르만 헤세의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예술 너... 수희향 2011.02.10 7444
814 [먼별3-21] <자크 아탈리의 "살아남기 위하여"> 미래사회 7... 수희향 2011.02.16 7496
813 <북리뷰>풍경 너머로 흔들리는 부성의 부재-『내 젊은 날의... 구름을벗어난달 2011.02.01 7529
812 [그림책] 우리도 가끔은 하느님이예요 file 한정화 2012.05.16 7602
811 신화와 인생 북 리뷰 file narara 2010.02.15 7620
810 8기 예비 연구원 (1) 헤로도토스의 역사 : 진성희 file 샐리올리브 2012.02.19 7738
809 서른 살 직장인, 책읽기를 배우다 나리 2009.08.12 7834
808 [7기 연구원지원]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을 읽고서 file 박주선 2011.03.14 7916
807 10기 2차 레이스 4주차-괴테와의 대화(이은심) file 왕참치 2014.03.03 8377
806 [먼별3-33] <이부영의 "아니마와 아니무스"> 남성안의 여성성... 수희향 2011.03.23 8394
805 숲에게 길을 묻다 부지깽이 2009.06.02 8468
804 16. 소크라테스의 죽음에서 얻는 삶의 지혜 관리자 2011.12.01 8487
803 책을 읽으며 나우리 2008.10.22 8499
802 [북] 왜 일하는가? 대답할 수 있는가? 하모니리더십 2010.11.24 8516
801 억압받는 자들이 가야 할 길.. [위건부두로 가는 길] -조... 날고픈돼지 2011.02.07 8532
800 그리스 비극을 읽는 기본지식 연지원 2013.09.16 8548
799 "신화와 인생"-6기 후보자 김창환 야콘 2010.02.15 8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