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 승완
  • 조회 수 4513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11월 5일 00시 01분 등록
이번 글에서는 <내 삶에 변화가 찾아올 때>의 저자인 윌리엄 브리지스가 말하는 변환의 3단계 중 두 번째 단계인 ‘중립지대’를 살펴보겠습니다. 중립지대는 일종의 과도기로써, ‘끝’과 ‘시작’의 중간에 위치합니다. 브리지스는 중립지대를 ‘공허함과 상실의 시기’로 표현합니다. 

“(변환에는) 먼저 끝이 있고, 그 후에 시작이 있다. 그리고 그 중간에 매우 중요한 공허함과 상실의 시기, 혹은 휴지기(休止期)가 있다.”

대부분의 경우 뭔가를 끝낸다는 것은 상실감과 혼란스러움을 유발합니다. 직업과 자기계발, 건강 혹은 관계와 관련된 중요한 변화일수록 중립지대에서 겪는 혼란과 상실감은 커집니다. 결혼을 준비하는 커플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많은 커플들이 결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갈등하고 다툽니다. 독신생활을 끝내고 부부가 되는 과정에서 말로는 설명하기 미묘한 혼란감을 경험합니다. 결혼을 위한 심리적 재배치(변환)가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고 사소한 일이 갈등의 방아쇠 역할을 합니다. 커플은 결혼 준비 중에 겪게 되는 갈등과 다툼을 통해 결혼이라는 큰 변화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모두를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이런 과정이 바로 중립지대입니다. 이 시기를 충실하게 보낸 커플은 원활한 부부생활을 시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새로운 시작, 즉 변화를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브리지스에 따르면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 중립지대라는 카오스를 거쳐야 합니다.
“카오스는 혼란이 아니라 새롭고 진정한 시작으로 다시 복귀하기 위한 순수한 에너지의 초기상태다.” 이러한 에너지를 바탕으로 우리는 새로운 자아상을 정립하고 방향을 설정하는 것과 같은 내적 과업을 수행합니다. 이 과정이 수월하게 진행되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그렇다면 중립지대를 거부하거나 건너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이에 대해 브리지스는 다음과 같이 강조합니다.

“중립지대를 거부하면 현실에 대한 인식과 목적을 깊이 깨달을 기회를 잃어버리고 마는 것이다. (…) 사과나무가 자라기 위해서는 한 겨울의 추위를 견뎌내야 하듯, 우리는 중립지대를 절실히 필요로 한다.”

변환의 마지막 단계인 ‘새로운 시작’은 새로운 삶의 첫 걸음을 의미합니다. 결혼식에서 신랑신부는 자신들이 부부가 되었음을 선언합니다. 이제 그들에게 과거와는 다른 삶이 펼쳐지게 됩니다. 중립지대를 충실히 보냈다면 이제는 스스로를 믿어야 합니다. 중립지대에서 배운 통찰력과 태도를 일상에 적용해야 합니다. 내적 과업을 완수한 사람은 새로운 방향을 향해 첫 걸음을 내딛고, 새로운 행동을 시작합니다. 과거와 분명하게 결별하고 중립지대를 충실히 보냈다면 새로운 시작은 기회이자 축복이 될 겁니다. 

윌리엄 브리지스가 말하는 변환의 세 단계는 이렇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끝’은 과거와 옛것과의 ‘이별’이자 일종의 ‘죽음’입니다. ‘중립지대’는 과거의 정체성과 삶을 묻는 ‘매장’이자 새로운 삶을 준비하는 ‘휴지기’입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시작’은 죽음에서 삶으로의 ‘부활’이자 지하에서 지상으로의 ‘복귀’입니다.
IP *.255.183.6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1761
238 그저 입을 다물고 싶을 때 - 『결정적 순간의 대화』 [1] 현운 2009.11.10 4907
237 소로우, 그의 삶은 자연 그 자체였다 승완 2009.11.09 4425
» 중립지대, 변화를 위한 내적 과업을 수행하는 시기 승완 2009.11.05 4513
235 다산이 독서가에게 던지는 3가지 조언 - 『뜬 세상의 아... [1] 현운 2009.11.03 4523
234 한 계절의 과실을 포기하지 않고는 다음 계절에 꽃을 피울... 승완 2009.11.02 4435
233 다산이 걸어간 '사람의 길' -『뜬 세상의 아름다움』 현운 2009.10.30 4381
232 긍정이 걸작을 만든다 이 희수 2009.10.29 4466
231 변환(transition)이 변화의 성공을 좌우한다 승완 2009.10.29 4467
230 불안을 이해하고 넘어서기 - 알랭 드 보통의 『불안』 [1] 현운 2009.10.27 4613
229 소명 = 내면의 기쁨 X 세상의 요구 승완 2009.10.26 4566
228 성장의 표지 하나를 얻다 -『몰입의 재발견』 현운 2009.10.23 4465
227 강점과 약점을 함께 수용해야 완전해진다 [4] 승완 2009.10.22 4781
226 미래 인재의 6가지 조건 - 『새로운 미래가 온다』 [1] 현운 2009.10.20 4608
225 삶의 겨울, 혹독하지만 자신을 더 분명히 볼 수 있는 기... [3] 승완 2009.10.19 4457
224 변화의 시대를 살아가는 지식 -『비이성의 시대』 [2] 현운 2009.10.16 4561
223 “그대 삶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2] 승완 2009.10.15 4456
222 최소한 지금은 살아있고 싶어 -생애의 발견 한명석 2009.10.14 4418
221 나는 앓는다, 고로 생각한다 -『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 현운 2009.10.13 4436
220 비극 속에서의 낙관(Optimism) [2] [2] 승완 2009.10.12 4530
219 산티아고가 책을 던져버린 이유 - 『연금술사』 현운 2009.10.10 4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