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 이희석
  • 조회 수 4926
  • 댓글 수 7
  • 추천 수 0
2010년 3월 24일 13시 05분 등록
저는 삶을 잘 경영하는 것에 관심이 많습니다. 이 관심을 파고들어 자기경영의 전문가가 되고 싶답니다. 스스로를 잘 경영하면 삶도 아름다워지겠지요. 언젠가는 삶을 아름답게 조각하는 자기경영예술가가 되고 싶습니다. 자기경영예술가를 꿈꾸는 제게 필요한 것은 '성장'입니다. 그리고 성장을 이루어 줄 배움과 실천도 필요합니다. 저의 배움은 독서로부터 시작합니다. 배운 것을 삶의 현장에서 실험하고 나면 하나를 학습하게 됩니다. 피터 센게의 말처럼 생각과 행동을 통합해가는 과정을 끊임없이 반복해 가는 중이지요.

"학습은 시간이 걸리는 과정이고 생각과 행동을 통합하는 과정이다." - 피터 센게



성장을 열망하다보니, 그리고 나의 성장이 독서로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알고 난 이후부터는 좋은 텍스트를 골라 읽으려고 노력합니다. 자기경영예술가에게 좋은 텍스트란 실용서, 인문, 사회과학 등의 분류를 뛰어넘습니다. 한 사람의 인생 안에 이 모든 것이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제게는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을 인생 철학이 필요하고, 살아온 날들과는 다른 새로운 삶을 꿈꿀 수 있는 상상력이 필요합니다. 돈이라는 수단에 휘둘리지 않고 지혜롭게 활용할 실물 감각도 필요합니다. 철학서, 예술서, 경제서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훌륭한 인생을 위해서는 이처럼 통합적인 자기 경영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아는 사람들은 모든 분야의 책에서 실제적인 도움을 얻습니다.

통합적인 관점을 갖지는 못했더라도, 한 분야 내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이뤄낸 저술은 훌륭합니다. 어떤 철학 저술이 철학 이론을 발전시켰다면, 일상을 외면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매도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콜럼버스에게 왜 아메리카 대륙은 발견하지 못했냐고 따질 순 없으니까요. 그러나 우리는 학자가 아닌 생활인이기에 좀 더 실용적인 저서가 필요합니다. 실용서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자기계발서인데, 문제는 자기계발서 중에는 통합적이지도 못하고, 깊이가 부족한 책이 많다는 점입니다.

저에게 필요한 책은 실용적인 질문을 던지고, 통합적인 시각과 인문사회 지식으로 답해 주는 책입니다. 강상중 교수님의 『고민하는 힘』은 그런 책입니다. 삶을 살며 부딪치는 질문을 9가지로 정리하여, 그에 대하여 고민한 흔적을 담은 책입니다. 나는 누구인가?. 돈이 세계의 전부인가?, 무엇을 위해 일을 하는가? 등의 누구나 고민해 볼 만한 질문을 다루었기에 실용적입니다. 질문에 대한 고민과 해결책은 저자의 깊은 지식에서 나온 것이라 설득력이 강합니다. 답변은 세 사람의 합작품이기도 하지요. 막스 베버와 나쓰메 소세키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은 저자가 책의 곳곳에 두 사람의 말을 인용하기 때문입니다.

나쓰메 소세키는 일본을 대표하는 국민작가이고, 막스 베버는 저의 대학 시절 사회학 수업에서, 고전사회학의 대가 중 한 사람이라 배웠던 인물입니다. 인문학과 사회과학에서 한 사람씩 자신의 지식을 들려 주는 셈이지요. 책을 읽다 보면, 서로 다른 분야의 대가들에게서 공통점을 여러 번 발견하게 됩니다. 당연한 일입니다. 학문 간 분류는 학문을 하기 위해 편의상 그어 놓은 경계선이지, 생각의 넘나듦을 단절시키자는 분단선이 아니니까요.

이 책에서 다룬 9가지의 질문이 뭐가 실용적이냐고 묻는 분이 계실까 봐 한 마디를 더하겠습니다. 인생과 사람, 세상을 바라보는 삶의 시각, 즉 세계관은 누구나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세계관은 무의식 속에 있어서 자신의 세계관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 채 살아갑니다. 세계관을 볼 수는 없지만, 세계관에 의해서 세상을 바라봅니다. 세계관은 중요합니다. 세계관이 바뀌면 하는 행동이 바뀌고 하는 행동이 바뀌면 얻는 결과가 달라지니까요. 세계관의 실천적 성격입니다. 『고민하는 힘』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세계관이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돌아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원대한 꿈을 품은 당신이라면,
자신의 세계관을 들여다 보아 체계적으로 정립해 나가시기 바랍니다.


세계관을 변화시키는 것은 효과가 즉각적이지 않을 순 있지만, 우리의 삶을 바꿀 강력한 힘을 지녔습니다. 세계관의 변화는 강력한 자기경영인 셈입니다. 작은 발전을 이루고 싶다면 행동을 바꾸면 되고, 더욱 큰 발전을 이루고 싶다면 세계관을 바꾸어야 합니다. 이런 이야기들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고민하는 힘』을 읽어보시기 권합니다. 쉬우면서도 깊이 있는 책입니다. 쉬움과 깊이를 동시에 얻는 것, 제가 꿈꾸는 글쓰기이기도 하네요. 그래서 저자가 부러운 책입니다. 

[오늘 소개드린 책] 강상중, 『고민하는 힘』, 사계절, p.184 
다음 글에서는 책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한 리뷰를 올리겠습니다.

IP *.135.205.56

프로필 이미지
맑은
2010.03.24 13:18:53 *.201.203.82
저도 이 책 보았습니다. 성장의 핵심은, '부딪힘'인 것 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이희석
2010.03.31 15:16:04 *.98.61.188
성장의 핵심은 부딪힘이다.
이 말씀에 몇 가지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좋은 말씀 계속 들려 주시기를 기대해 봅니다. ^^
프로필 이미지
수희향
2010.03.24 14:33:09 *.70.143.236
아! 이 책 읽었구나!
독서 리스트에 올려놓은 책이었는데^^
리뷰 기대된당.

일은 잘 처리되었는지..
무튼 언제, 어느때고 밥 잘 챙겨묵고 홧팅..^^
프로필 이미지
현운
2010.03.31 15:17:58 *.98.61.188
리뷰도 읽어 주셨겠지요? ^^
손에서 놓기가 아쉬운 책이었습니다. 
결국,  강상중 교수님의 다른 책을 주문했지요.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0.03.24 14:55:53 *.67.223.107
그 강상중 선생, 참  대단한 사람이더군요.
매우 솔직하게 쓰고있는 자기 이야기가  참 마음에 들어요.

요새 나온 "청춘을 읽는다"는 5권의 책에 관한 이야기이던데....
이 책을 읽으며 현운 이희석을 잠시 생각했어요. 
프로필 이미지
맑은
2010.03.24 15:51:36 *.111.205.55
강상중님 신간입니까? '청춘을 읽는다' 알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현운
2010.03.31 15:20:21 *.98.61.188
범해 선생님.
어찌 이리 기분 좋은 말씀을 전해 주십니까. ^^
좋은 의미로 저를 떠올리셨으리라고 생각하며 기분 좋게 웃고 있습니다.

저는 자주 범해 선생님을 생각합니다.
그러면서도 안부 전화 한 번 드리지 못하는 제 성정이 못마땅하네요.
오늘은 그냥 전화 한 번 드리려구요. 목소리 한 번 듣고 또 열심히 살겠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1497
378 [책읽기 세상읽기] 희망은 깨어있네 [1] 2010.04.12 4656
377 위로의 달인이 전하는 인생수업 [2] 이희석 2010.04.07 4509
376 4-1리뷰 신화의 힘 조셉 캠벨 [1] 윤인희 2010.04.05 5065
375 북리뷰5 신화의힘 The Power of Myth [1] 신진철 2010.04.05 4833
374 [책읽기 세상읽기] 나무야 나무야 [2] 2010.04.02 4928
373 '타이탄' 보다. 맑은 2010.04.02 4426
372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을 읽고 [4] 2010.04.01 4618
371 이 책은 알람시계이기를! [2] 이희석 2010.03.30 4666
370 고민하는 힘이 살아가는 힘! [2] 이희석 2010.03.26 4492
369 다석 마지막 강의 맑은 김인건 2010.03.24 4453
» 『고민하는 힘』- 강상중 [7] 이희석 2010.03.24 4926
367 '셔터 아일랜드'를 보다. [4] 맑은 김인건 2010.03.23 4465
366 [책읽기 세상읽기] 학문의 즐거움 [1] 2010.03.22 5277
365 다시올립니다 <4 카를융 기억꿈사상> [4] 신진철 2010.03.09 6089
364 광장으로 나와서 말씀해보세요.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3] 김혜영 2010.03.08 4517
363 < 카를 융 기억 꿈 사상 > 김연주 2010.03.08 4403
362 미션 4 카를 융 '기억 꿈 사상'-김창환 야콘 2010.03.08 4412
361 기억,꿈,사상 Review [1] 박현주 2010.03.08 4874
360 네번째 북리뷰_기억 꿈 사상 김혜영 2010.03.08 4436
359 4. 카를융, 기억, 꿈, 사상_저자, 구성 맑은 김인건 2010.03.08 4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