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 이희석
  • 조회 수 4824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0년 12월 23일 12시 46분 등록
며칠 전, 2010년 독서를 결산하는 나만의 '올해의 책' 선정을 했었지요. 선정 기준은 '제 삶에 영향력을 미친 정도'입니다. 저는 '앎'보다는 '삶'에 미친 영향을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다윗'이라는 필명을 쓰는 블로거는 "앎의 크기가 곧 존재의 크기를 결정한다"는 말을 대문에 걸어 두었는데, 저에게는 절반 정도만 들어맞는 이야기라 생각합니다. 저는 앎과 실천 사이의 거리가 꽤 큰 사람이니까요. 그래서 저는, "실천의 크기가 존재의 크기를 결정한다"고 말하고 싶네요. 제 블로그의 어떤 글이 실천이 아닌 바람을 말하는 글이라면, 그것은 아마 실제의 제 존재보다 조금 나은 모습일 것입니다.

'올해의 책'을 선정한 포스팅 제목을 <2010년 올해의 책>이라 하지 않고, <나를 감동(感動)시킨 책들>이라고 하였습니다. 목록이 나를 감(感)하고 동(動)하게 만들었던 책들이기 때문입니다. 감동의 사전적 의미는 깊이 느껴 '마음'이 움직인다는 뜻이지만, 저는 느끼어 '몸'을 움직이게 만들었다는 의미로 썼습니다. 언어의 사회적 소통 기능을 반(反)했지만, 머리와 마음 속에 머물러 있는 지식을 손과 발로 끌어내려는 제 의도에는 잘 합(合)하는 변용입니다. 저도 참 한심한 놈입니다. 목록이 매우 주관적이다, 라고 한 마디 말하면 될 것을 이리 구구절절 변명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요컨대 제가 뽑은 목록은 올해 출간된 저서가 아니란 점에서, 많이 팔린 책이 아니란 점에서, 언론사의 목록과 전혀 다르다는 점에서 주관적이지요. ^^


올해 읽은 책 중에 나의 성장을 도왔던 10권의 책입니다. 그저 개인적인 성장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그것이 미안하여, 이 글을 읽으시는 당신이 어떤 직업을 가지셨든, 연령대가 어떠하든지 상관없이 추천드리고 싶은 책 3권을 별도로 언급합니다. 『아웃라이어』『고민하는 힘』『아름다운 마무리』입니다.  2011년에는 책에 관련한 포스팅을 좀 더 올리고 싶네요. 


아웃라이어』 말콤 글래드웰

올해 가장 재밌게 읽었던 책이다. 말콤 글래드웰의 글빨에 혀를 내둘렀고, 책이 담은 내용은 신선하면서도 깊은 통찰을 안겨 주었다. 전달력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내 가슴에 깊이 각인시켜 준 고마운 책이다. 챕터마다 훌륭한 메시지를 담아낼 수 있다면, 책 전체의 일관성에 너무 매달리지 않아도 됨을 눈으로 보았다. 자기계발 담론이 얼마나 편협한지를 깨닫게 해 주는 책이 나온 것은 성공을 연구하는 이들에게는 참 귀한 선물이라 생각한다. 스위치, 『지하철과 코코넛』과 같은 책들 말이다.

 

고슴도치와 여우』 이사야 벌린

영국의 자유주의 사상가인 이사야 벌린이 톨스토이의 역사관을 논한 책이다. 이사야 벌린은 올해 내가 읽은 가장 중요한 사상가다. 이사야 벌린의 사상은 나를 강하게 끌어들였다. 어떤 수를 쓰더라도 인과관계의 사슬을 모두 알 수는 없다는 그의 주장을 만나면서, 지금까지의 내 사유 방식에 자신감과 확신을 갖게 되었다. 한 사람의 소설가를 깊이 이해하기 위해, 사상가의 어려운 책을 읽을 사람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김영하 작가를 읽는 코드 하나는 이사야 벌린을 이해하는 것이다.

 

고민하는 힘』 강상중

책은 쉽고 깊다. 깊음을 쉽게 설명하는 수준은 대가의 단계다. 그것이 나를 흥분시켰고, 저자의 진정성은 나를 팬(fan)으로 만들었다. “감정 기복이 심했던 (강상중 교수의) 청춘을 수놓은 우뚝 솟은 위대한 존재인 두 사람, 막스 베버와 나쓰메 소세키를 만나는 즐거움도 있다. 모든 20대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올해 읽은 책 중에서 다시 읽고 싶은 책 1순위다.

 

by 』 마이클 더다

나는 독서가를 꿈꾸지는 않지만, 내 꿈을 이루기 위해서 성실한 독서는 필수다. 나는 나에게 적합한 훌륭한 독서가가 필요했다. 나의 독서 멘토 말이다. 3가지 자격을 갖춘 멘토여야 했다. 1) 현실을 정확히 직시하는 독서가(비현실에 사는 독서가가 많다.) 2) 넓은 세계를 품은 독서가(자기 세계에 갇힌 독서가가 많다.) 3) 깊은 내공을 지닌 독서가(내공은 얕고 독서의 기술만 익힌 독서가가 많다). 독서법 책에 자주 거론되는 이덕무는 실용지능이 떨어지니 탈락이다. 시중에 나와 있는 많은 독서법의 저자들도 내공 부족으로 탈락이다. 다행히도 올해 나의 역할 모델을 만났다. 마이클 더다!

책을 읽을 자유』 이현우

그를 읽으면 두 가지 점에서 놀란다. 1) 자신만의 글쓰기 방식을 찾았다는 점에서. 그는 방대하게 읽고 지속적으로 쓴다. 슬럼프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작가가 가져야 할 중요한 자질 중 (내외부 검열을 의식하지 않는) 자유를 터득한 듯하여 놀라웠다. 2) 엄청난 독서량에서 놀랐다. 간혹 지나치게 디테일한 점을 서술하느라 책의 핵심 내용을 소홀히 다룬 점이 아쉽지만, 그것은 옥의 티다. 그의 찬란히 빛나는 옥(독서경력과 그로 인해 다져진 내공)을 바라보면 경탄이 저절로 나온다. 와!

아름다운 마무리』 법정
수필이다
. 나는 종교인으로서의 법정 스님을 존경할 뿐만 아니라, 수필가로서도 최고의 반열에 꼽고 싶다. 스님의 수필은 아름답고 고귀하다. 세상과 인생을 바라보는 눈이 깊고, 당신의 삶이 글보다 빛나기 때문이다. 올해엔 피천득 선생의 수필집
인연』도 함께 읽었다. 인연』도 매우 높은 수준의 수필이라 생각한다. 목록이 너무 늘어나지 않으려면 둘 중에 한 권을 골라야했는데, 삶이 주는 울림에서 내게는 법정 스님의 글이 더 좋았다.

 

필살기』 구본형

책이 출간된 직후, 나는 선생의 필살기 출간기념 강연회에 참석했다. 내 앞에 앉았던 이는 졸았지만, 선생의 강연은 올해 내가 들은 최고의 강연으로 꼽겠다. 청중이 해야 할 일들을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제안하였고, 그것은 우리가 발 딛고 있는 현실을 고려한 제안이었다. 허망한 이상을 들고 외친 선동이 아니라 현실에 기반한 선동이었으니, 그것은 강연장 밖에서도 생명력 있는 제안이었다. 나 역시 삶 속에서도 선생의 제안을 실천해왔다. 문제는 사람들이 이 책을 어려워한다는 점이다. 책이 실천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변화는 어려운 것이다. 생각만이 아닌 행동이 뒤따라야 한다. 세상에는 읽기 위해서 손에 드는 것이 아니라, 변하기 위해서 손에 들어야 더욱 빛나는 책이 있다. 필살기』도 그 중의 하나다.

 

김영하의 단편소설들

읽는 내내 감탄했다. 작가는 세상을 하나의 단면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오히려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표현해 두었다. 어설프게 해석하려 들기보다, 정확하게 그려내려고 노력한 듯하다. 작가는, 설명할 수 없는 것이기에 서술했다. 작가가 그려낸 세상이 종종 이해되지 않는다고 생각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것이 진짜다. 우리는 사건의 인과 관계를 온전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한 개인이 세상을 모두 이해하고 있다는 생각은 착각이다. 우리는 고작 어느 한 부분을 이해할 수 있을 뿐이다. 세상을 명쾌하게 설명하는 것은 물리학이 아니다. 사회학도 아니고, 문학과 예술도 아니다. 그것에다가 운과 신의 섭리까지 전부 통합한 관점이라야 세상을 명쾌하게 설명할 수 있다. 김영하의 소설들은 그런 통합을 시도하는 듯하다. 김영하의 어떤 단편이 모호하고 이상한가? 우리가 사는 세상도 그렇지 아니한가.

IP *.117.195.69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0.12.23 13:39:54 *.236.3.241
좋은 책 소개 감사합니다. 희석 선배 리뷰 보고 얼마 전에 '고슴도치와 여우' 와 '북 by 북'을 구매했습니다.(아직 읽지는 못했습니다 ^^)  그리고 통화할 일이 있어 전화드렸는데 연결이 안 되네요. 끝자리 8999 전화번호가 혹 바뀌었나요?
프로필 이미지
2011.01.17 19:57:53 *.102.145.79
좋은 추천 도서 감사합니다. 한 권 한 권이 알알이 와서 박히는 책들입니다. 2011년이지만 못 읽은 책들 기꺼이 찾아 읽겠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2147
358 [북] 멋지게 한말씀 - KISS 스피치 원칙 하모니리더십 2010.11.16 4466
357 [북]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 나탈리 골드버그 - 인생... [1] 하모니 리더십 2010.11.19 4976
356 <북리뷰>부의 제국 록펠러 [1] 구름을벗어난달 2010.11.19 5037
355 리뷰11-4 주역강의, 서대원 지음 인희 2010.11.21 4486
354 <북리뷰>눈먼 시계공 구름을벗어난달 2010.11.23 4472
353 [북] 왜 일하는가? 대답할 수 있는가? 하모니리더십 2010.11.24 4468
352 [북] 회사가 나를 미치게 할 때 알아야 할 31가지 - 구... [1] 하모니리더십 2010.11.25 5346
351 [북] 지식의 쇠퇴, 오마에 겐이치 [글] 경제적 영토를... [1] [1] 하모니리더십 2010.12.02 4505
350 리뷰12-1 : 국화와 칼 인희 2010.12.06 4569
349 시대의 스승을 그리며... [3] 자로 2010.12.06 6677
348 <북리뷰>정의란 무엇인가 구름을벗어난달 2010.12.06 4470
347 살아남기 위하여 (Survivre Aux Crises) - 자크 아탈리 [1] 하모니리더십 2010.12.09 4762
346 나이테경영 - 오래 가려면 천천히 가라. (츠카코시 히로시... 하모니리더십 2010.12.16 4516
345 [먼별3-2] <1인기업가들의 필독서: 찰스핸디의 "코끼리와 벼... [1] 수희향 2010.12.20 4784
344 [먼별3-3] <천복에서 천직으로-조셉 자보르스키의 "리더란 무... 수희향 2010.12.21 4466
343 [먼별3-4] <데이비드 호킨스의 "의식혁명"> [2] 수희향 2010.12.22 6048
» 2010년 나를 감동시킨 책들 [2] 이희석 2010.12.23 4824
341 [먼별3-7] <독일문학의 구도자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 수희향 2010.12.28 4934
340 '올해의 책'에 관한 3가지 단상 이희석 2010.12.29 4468
339 리뷰12-4 코리아니티, 구본형 인희 2010.12.29 4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