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2011년 2월 15일 08시 16분 등록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알랭 드 보통 지음 | 정영목 옮김
청미래 2007.08.01
펑점


이 책은 소설이 아니다. 그렇다고 철학서적이나 심리학서적도 아니다. 철학과 심리가 흐르는 한편의 러브스토리라고나 해야할까? 직접 경험하지 않고도 절대 쓸 수 없는 그런 사랑의 감성을 보통아저씨(알랭 드 보통의 제가 붙여준 한국별명)의 지성으로 그 감성의 수십가래로 퍼지는 흐름을 철저히 글이라는 매체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을 읽다보면 마치 눈으로는 글을 읽고 있지만 마치 내가 보통아저씨의 머리와 가슴에 내 영혼이 함께 기거하는 듯한 일체감을 느끼게 하는 묘한 매력을 느낀다. 마치 이 책을 쓸려고 일부러 사랑을 해본 건 아니겠지라는 의심이 들 정도로 사소한 상황의 그 짧은 순간에 흐르는 긴 감성의 흐름을 수십장에 걸쳐 풀어내는 그는 감성을 지성으로 표현하는 천재임에 틀림없다. 참 감사할 일은 이런 천재작가가 적은 글을 내가 이해할 수 있다는 것, 그 자체로 너무 행복한 일이다. 역시 정말 똑똑한 사람은 결코 어렵게 설명하거나 꼬아서 이야기하지 않는다. 책한장한장 종이의 냄새와 함께 글씨가 나와 하나가 되어버린다.

 

보통아저씨의 사랑은 이별로 결론이 났지만, 이 사랑을 통하여 더 강해진 자아와 새로운 사랑을 위해 성숙한 모습으로 함께 성장한 것 같다. 이별은 항상 고통스러운 일, 평생 아물지 않을 것 같은 사랑의 상처도 시간이라는 우주가 흘러가는 자연앞에서는 또 다른 자아를 형성하도록 하는 계기가 될 뿐이다. 결코 아름답게만 묘사하지도 않았고 그렇다고 결코 냉소적으로만 묘사하지 않은 이루지 못한 사랑을 했던 청년과 아가씨의 러브스토리이다.

 

그러나 동시에 철학서이자 심리학 서적을 본 듯한 착각을 일으키는 퓨전, 새로운 영역의 책인듯 하다. 수필도 아니고 소설도 아니고 자서전도 아니고 전공서적도 아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심리적으로 분석적으로 끌고나간 이 책의 구성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그의 마무리에는 결코 사랑이란 분석적인 심리학으로 판단할 수 없는 불합리와 부조리, 부조화를 내포하고 있는 사랑 그 자체라는 것을 강조한다.

요약 :
http://cafe.naver.com/harmonyleadership/670

 

 

IP *.242.137.9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2148
618 자신의 존재 확인법과 에너지 충전법을 가지고 있나요? [2] 승완 2009.09.07 4718
617 매너리즘에 빠지는 이유 현운 2009.09.08 4583
616 삶이라는 악보의 쉼표, 휴식(休息) [1] 승완 2009.09.10 5076
615 독자적인 길을 개척하라 현운 2009.09.11 4451
614 에너지 충전법, 전경과 배경을 전환하기 [1] [1] 승완 2009.09.14 4851
613 통쾌함을 안겨다주는 괴테의 지성 현운 2009.09.15 4760
612 좋은 질문에서 좋은 답이 나온다 [1] 승완 2009.09.17 4668
611 나의 이상주의 뛰어넘기 [1] 현운 2009.09.18 4842
610 단순하고 실용적인 의사결정 도구, 10-10-10 승완 2009.09.21 4465
609 독립적인 지성을 꿈꾸는 첫걸음 [1] 현운 2009.09.22 4735
608 프리젠테이션을 준비할 때 꼭 던져야 하는 질문 한 가지 승완 2009.09.24 4443
607 강연을 하는 나의 방식, 연습과 강점 활용 [5] 승완 2009.09.28 4838
606 인연, 나와 그대 사이에 마음길 내기 [7] 승완 2009.10.01 4702
605 내 삶에 새로운 문 하나가 열리던 순간 [4] 승완 2009.10.05 4605
604 여행자인 내게 그는 베테랑 선생입니다 [1] 현운 2009.10.06 5013
603 읽지 않으면 쓸 수 없다 [3] 승완 2009.10.08 4970
602 산티아고가 책을 던져버린 이유 - 『연금술사』 현운 2009.10.10 4480
601 비극 속에서의 낙관(Optimism) [2] [2] 승완 2009.10.12 4569
600 나는 앓는다, 고로 생각한다 -『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 현운 2009.10.13 4473
599 최소한 지금은 살아있고 싶어 -생애의 발견 한명석 2009.10.14 44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