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이익상
  • 조회 수 2405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05년 3월 28일 23시 18분 등록
우리는 무엇 때문에 자기 계발을 하는 것인가?
평소에 나는 '자기 개발(開發)'과 '자기 계발(啓發)'의 차이점이 무척 궁금했다. 그래서 우선 그 둘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자기 계발이라는 말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20세기 후반에 와서야 사용되기 시작한 말이라고 하며 자기계발에 해당하는 영어 self-development라는 단어가 영어 사전에 수록된 것도 아주 최근의 일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자기 개발과 자기계발은 과연 어떤 점에서 다른 것일까?

사전적 의미에서 두 낱말의 가장 큰 차이를 들자면 개발(開發)은 물질적인 것, 계발(啓發)은 정신적인 것과 관련해서 쓴다는 것이다. 개발의 경우 예를 들자면 경제 개발, 신도시 개발, 프로그램 개발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계발의 경우에는 창의력 계발, 상상력 계발, 민족 정신 계발 등으로 사용될 수 있겠다. 즉 자기계발은 자기의 능력 또는 가능성을 개발하는 일인 것이다. 흔히 알고 있는 눈에 보이는 능력들, 예를 들면 높은 토익 점수나 뛰어난 영업 실적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에서의 자기 개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자기 계발은 먼저 진정한 자신을 발견하는 일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진정한 자신을 발견하는 일이란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이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강점은 무엇인지 확인하는 일일 것이다. 그래서 스스로가 정한 목표를 향해 자신만의 속도와 방법으로 성과를 나타내고 그 성과를 다시 검토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는 등의 노력 끝에 진정한 자기 계발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현대인은 매일 치열한 경쟁의 장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러한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남들보다 한 발 앞서 생각하고 실행하여 가시적인 실적을 만들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오늘도 자기 계발의 힘겨운 발걸음을 내딛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듯 힘겨운 자기 계발의 과정을 거쳐서 목표를 이루게 되는 과정에서 놓쳐서는 안될 것이 있다. 바로 조직과 개인의 성공 추구 과정에 대한 사회적 책임이다.

피터 드러커는 그의 저서 '프로페셔널의 조건'에서 개인과 조직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다.
"어떤 조직이 높은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의 조직이 수행하고 있는 일이 궁극적으로 지역 사회를 비롯한 사회 전체에 공헌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믿어야만 한다. 따라서 조직의 문화는 늘 지역 사회를 초월해야 한다."
물론 기업이나 개인에게 경제적 성과는 기본적인 것이다. 오히려 경제적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기업이나 개인은 다른 어떤 부가적인 기대도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기업의 유일한 책임이 경제적 성과만이 아니듯 개인의 경우에도 개인적인 성공과 목표 달성만이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전부는 아닌 것이다.

흔히들 노블리스 오블리제라는 말을 많이 쓴다. 사전적 의미로는 높은 사회적 신분에 상응하는 도덕적 의무를 뜻하는 말이다. 개인이나 조직은 자신들의 성공에 대해 이 노블리스 오블리제 정신을 적용하여 경제적인 성과 이상의 무엇을 통해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하겠다.
IP *.74.168.128

프로필 이미지
문요한
2005.03.28 23:56:13 *.245.167.128
아하! 저도 시간내서 한번 찾아봐야지 했던 주제인데 명쾌하게 정리해주셨네요. 자기개발과 자기계발의 차이!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강미영
2005.03.29 01:38:22 *.80.165.110
강의 에서 읽었던 문구가 생각 납니다. '주자가 곤궁이 극에 이른 어려운 상황 속에서 임종을 앞두고도 대학을 장구하고 있었을 정도로 극진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당대 사회의 엘리트로서의 사명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자신이 지식인이라고 느낀다면 세상에 빛과 소금이 되려는 책임을 느껴야 합니다.. 열심히 계발하여 우리의 지식과 지성이 올바른 사회의 밑거름이 되도록 하자구요!! ^^
프로필 이미지
손수일
2005.03.29 09:51:28 *.241.103.8
"진정한 자신을 발견하는 일" - 저는 이게 참 어렵습니다. 개인의 경우, 개인적인 성공과 목표 달성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부분을 다음 기회에 들을 수 있었으면 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39 [강의 외전外傳3]불교의 관계론關係論 손수일 2005.03.28 1748
3738 [1] 수련(修鍊)의 길 [5] 홍승완 2005.03.28 1726
3737 [1] 당신의 경쟁 상대는 누구 입니까? [5] 오세나 2005.03.28 2499
3736 <변화학 칼럼1> 당신은 왜 여기에 서 있습니까? [7] 문요한 2005.03.28 2203
» [주간칼럼_01] 지식 근로자의 자기 계발과 사회적 책임 [3] 이익상 2005.03.28 2405
3734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는 것 [7] 신재동 2005.03.28 2137
3733 일을 잘하려면 [4] 오병곤 2005.03.29 2286
3732 같으면서도 다른 것 [1] 김성렬 2005.03.29 1858
3731 지성인과 지식인 장박사 2005.03.30 2051
3730 -->[re]그래도 아직은 살만한 세상 아닐까요? ^^ 강미영 2005.03.31 1600
3729 주간칼럼2 - 실패 [4] 박노진 2005.03.31 1637
3728 나무를심는 사람들("지오노" 의 원작에서... ) [6] 나무의기원 2005.04.03 4594
3727 프로세스 개선을 제대로 추진하려면 [2] 오병곤 2005.04.04 28525
3726 [2] 몰입 [4] 홍승완 2005.04.04 1869
3725 [2] 시간이 돈이 되는 시대 [2] 오세나 2005.04.04 1752
3724 <변화학 칼럼2> 살아 숨쉰다는 것 [4] 문요한 2005.04.04 1979
3723 [주간칼럼_02]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3] 이익상 2005.04.04 1786
3722 인연의 끈에서 자유로워지기 [4] 강미영 2005.04.04 1797
3721 운명이라는 것 [3] 손수일 2005.04.05 1949
3720 아이 키우기에 대한 소견 [6] 신재동 2005.04.05 1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