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홍승완
  • 조회 수 1900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5년 4월 23일 15시 54분 등록
“백 번 싸워 백 번 모두 이기는 것은 최상의 용병술이 아니다. 적과 싸우지 않고 적의 군대를 굴복시키는 것이 가장 최상의 용병술이다.(百戰百勝, 非善之善者也. 不戰而屈人之兵, 善之善者也.)”
- 손자병법(孫子兵法) 모공(謀攻) 편(篇) 중에서


주나라에 닭싸움을 위해 닭을 훈련시키는 사람이 있었다. 어느 날 선왕의 부탁으로 싸움닭을 한 마리 훈련시키게 되었다. 열흘쯤 지나 왕은 그 닭이 얼마큼 훈련이 되었는지 물었다. 훈련사는 “아직 멀었습니다. 그저 날뛰고 날쌘 척만 할 뿐입니다”하고 대답했다. 다시 한 열흘이 지나 왕이 다시 물었다. 훈련사는 대답했다. “아직 멀었습니다. 닭의 소리가 나거나 모양이 보이면 덤벼들려고만 합니다.” 또 열흘이 흐르고 왕이 다시 물었지만 훈련사의 대답은 비슷했다. “아직 멀었습니다. 다른 닭 가까이에 가면 상대를 노려보고 지지 않으려고만 애를 씁니다.” 그 뒤 다시 열흘이 흘러 왕이 묻자, 훈련사는 마침내 이렇게 대답했다. “이제 됐습니다. 다른 닭이 소리쳐도 꿈쩍할 낌새도 보이지 않습니다. 멀리서 보면 마치 나무로 깎아 만든 닭 같습니다. 다른 닭들이 싸우려 하지 않고 달아나 버립니다.”

위 이야기는 ‘열자(列子)’에 나오는 이야기다.

고수는 요란스럽지 않다. 말을 함에 있어 중언부언하지 않는다. 내면의 삼엄함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치열하지만 또한 고요하다. 고수는 자연스럽다. 상대와 상황을 탓하지 않는다. 때로는 그것에 맞추고 때로는 그것을 고친다. 어떤 상황에서도 고수는 균형을 잃지 않는다.

고수는 어느 날 나오지 않는다. 부단한 수련으로만 되지도 않는다. 재능이 강점이 될 때, 훈련이 지속이 될 때, 그리고 그 두 가지가 결합될 때 나온다. 결합은 더하기가 아니다. 그것은 곱하기다. 따라서 둘 중 하나라도 없으면 고수가 될 수 없다. 한 사람이 고수가 될 수 있는 분야는 많지 않다. 인간은 몇 가지 재능을 타고 나지만, 그 중 깨닫고 키우는 것은 단 하나도 어려운 일이다.

고수는 고수를 알아본다. 훌륭한 스승 밑에 훌륭한 제자가 있는 것은, 제자의 안에 이미 탁월함이 숨 쉬고 있기 때문이다. ‘끼리끼리 논다’는 말은 틀린 말이 아니다. 일류에게 배워야한다는 것은 일류를 관찰함으로써 내 안에 감춰져있는 일류를 찾을 수 있다는 뜻이다.

고수는 핵심에 직접 다가갈 수 있다. 따라서 명쾌하게 표현할 수 있다. 핵심을 찌르니 복잡할 것이 없고 복잡할 것이 없으니 어렵게 말하지 않는다. ‘진실한 말은 아름답지 않고 아름다운 말은 진실하지 않다는 노자의 말은 아마 이런 뜻일 것이다.
IP *.86.15.75

프로필 이미지
허의경
2005.04.27 09:46:28 *.79.41.223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99 부족함과 넘쳐남에 대한 단상(斷想) 신재동 2005.04.22 1859
» [5] 고수(高手) [1] 홍승완 2005.04.23 1900
3697 좋은나무는 쉽게 크지 않습니다. [4] 숲의기원 2005.04.24 2178
3696 <변화학 칼럼5> 천일야화(千一夜話) 문요한 2005.04.25 2046
3695 믿는 만큼 행동한다. 김성렬 2005.04.25 1891
3694 품질은 여유있는 자들의 행복한 비명? 오병곤 2005.04.25 2008
3693 주간칼럼5-작지만 강한 기업:어떤 성공 신화 박노진 2005.04.25 1681
3692 우유부단함에 대하여 손수일 2005.04.27 4096
3691 프로젝트를 마치며.... [3] 신재동 2005.04.28 1700
3690 곽탁타의 나무사랑이야기 [2] 숲기원 2005.04.28 2044
3689 [주간칼럼_05] 글을 쓴다는 것 이익상 2005.04.29 1745
3688 [6] 무대 위와 무대 뒤 홍승완 2005.04.29 1731
3687 <변화학 칼럼6> 타율에서 자율로의 전환 문요한 2005.05.02 2241
3686 인터넷 키워드 이야기 - '소심지수 테스트'의 내용을 본 느낌 신재동 2005.05.02 1866
3685 [6] MECE 사고의 회를 뜨자 [1] 오세나 2005.05.03 4587
3684 [7] 기적의 시작은 어디인가? 오세나 2005.05.03 1746
3683 IT 시스템 구축에서의 변화관리 오병곤 2005.05.04 3240
3682 주간칼럼6-작지만 강한 기업:글로벌 스탠더드를 꿈꾸는 이들 박노진 2005.05.06 2307
3681 지금은 프로젝트 시대 오병곤 2005.05.08 1720
3680 <변화학 칼럼7> 칭찬은 사람도 춤추게 할까? [1] 문요한 2005.05.09 1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