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세나
- 조회 수 2140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잘 살아보세, 우리도 한번 잘 살아보세’
이 노래를 기억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지금 들으면 추억의 한자락 이지만 불과 몇십년전 우리의 혹은 부모님의 주먹을 불끈 쥐게 만들던 노래였다. 지금은 어떤가?
요즘의 초등학생들에게 6.25전쟁때 쌀이없어 배고팠던 이야기를 하면 왜 라면이나 빵을 먹지 않느냐고 반문한다고 한다. 지금은 전대미문의 풍요의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다. 배부른 돼지와 배고픈 소크라테스의 예를 들지 않더라도, 물질적인 풍요는 정신적인 풍요의 마취제 역할을 충실히 해내고 있는 것이다. 아프리카뿐만 아니라 어디에서도 우리는 두 가지 차원의 굶주림을 지니고 있다. 생존을 위한 금전적인 것에 대한 저차원의 굶주림이 해결되어도, 고차원의 굶주림, 즉 ‘왜?’에 대한 질문의 대답, 즉 삶의 목적에 대한 고차원의 굶주림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우리는 더 먹을수록 더 배고파지고 있는 것이다.
먹어도 배고프고 허전한 사람들은 자신에게 이러한 질문을 던져보는 것은 어떨까?
진정한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한번 해보자는 마음으로 도전해본 것이 언제인가?
내가 이 일을 시작했을 때의 첫 마음은 무엇이었는가?
긴장이 풀어져 느슨해진 순간은 언제인가?
혹시, 본전생각에 자유롭지 못한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나’로 돌아가는 것이다. 세상의 기준에 맞춘 상대적인 빈곤감에서 벗어나 겉치레를 멈추고 자신의 찾는 것이다. ‘나’에 대해서 끊임없이 관심을 가지고 세상의 기준과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나 자신의 내부를 들여다 보는 것이다. 자신이 진정 만족을 느끼는 것을 찾아 그것에 할당하는 시간을 과감히 늘려가는 것이다.
한번 해보는 것이다. “I am still hungry” 거스 히딩크 전 국가대표 축구팀 감독말을 모두 기억할 것이다. 16강을 이뤄낸 후 했던 이 이야기는 4강의 저력으로 이끌어 주었다. 결과를 알고 도전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우리는 역사에 살 수 없고 매번 역사를 써 나가야 한다. 두려움을 이기고 한번 해 보는 것이다. ‘비움’의 정신이 있다면 잃을것이 없는 것이다.
첫 마음을 잃치 않는 것이다. 어떤 일이던 첫날을 기억하는가? 첫 등교, 첫 출근, 개업일, 결혼식, 새해 첫날 등등의 첫날에 가졌던 마음을 잃치 않는것이다. 이스라엘의 유월절은 그들이 에굽에서 탈출한 날을 기념하는 것이다. 첫 마음을 잃치 않기위해 나만의 기록이나 의식을 해보는 것이다.
긴장을 늦추지 않는 것이다. 마라톤에서 가장 위험한 순간은 결승선에 가까워 ‘이제는 이겼다’고 생각할때라고 한다. 긴장을 늦추지 않으려면 쉽게 만족해서는 않된다. 아놀드 토인비의 지적처럼 역사를 이끌어자는 창조적 소수들의 오류는 ‘휴브리스(Hubris)’즉 ‘자만’, ‘오만’이다. 과거의 것을 읽고 미래의 이야기를 하며 현재의 삶을 살아야 할 것이다. 자신이 읽고 이야기하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이 될 것이다. 과거의 영광에 갖혀 눌러 앉는다면 여전히 책속의 사람이 될 수 박에 없다. 한국기업의 평균수명을 생각해보면 이것은 비단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본전 생각에서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안철수 연구소의 안철수 소장은 의학박사라는 안정된 자리를 박차고 컴퓨터를 고치는 백신을 개발해 내었다. 사람을 고치는 의사는 많지만 검퓨터를 고치는 의사는 없었기 때문이다. 이제까지의 본전 생각 때문에 창조적인 기회를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기회비용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연구원 처음 시작할때의 ‘밀리언 달러 베이비’의 메기의 말을 떠올리며 이 글을 마치고자 한다. 우리도 한번 내 인생의 챔피언이되어 진정 ‘잘’ 살아보아야 하지 않겠는가?
“ 문제는 복싱이 제가 할 수 있는 가장 좋아하는 일이라는 거예요. 제가 복싱을 하기에 너무 나이가 많다면 전 가진 게 아무것도 없는 셈이죠. 절 올바로 가르쳐 주시면 전 챔피언이 될 것입니다.”
-------------------------------------------------------------------
* 모든 노동자의 42퍼센트는 하루가 끝나면 '기진맥진'하게 느낀다.
* 69퍼센트는 좀더 편안한 삶을 살기를 원한다.
* 부모들이 아이들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30년 전보다 40퍼센트 줄어들었다.
* 최근 20년 동안, 1인당 소비 증가는 45퍼센트에 이르지만, 사회 건강 지수에 나타난 삶의 질은 51퍼센트 감소했다.
* 20년 전, '훌륭한 삶'을 달성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 젊은이는 41퍼센트였으나 지금은 21퍼센트에 불과하다.
찰스 핸디의 ‘헝그리 정신- 문제는 돈이 아니라 정신의 빈곤이다’의 내용이다. 공감이 가는 내용이다.
IP *.94.1.23
이 노래를 기억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지금 들으면 추억의 한자락 이지만 불과 몇십년전 우리의 혹은 부모님의 주먹을 불끈 쥐게 만들던 노래였다. 지금은 어떤가?
요즘의 초등학생들에게 6.25전쟁때 쌀이없어 배고팠던 이야기를 하면 왜 라면이나 빵을 먹지 않느냐고 반문한다고 한다. 지금은 전대미문의 풍요의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다. 배부른 돼지와 배고픈 소크라테스의 예를 들지 않더라도, 물질적인 풍요는 정신적인 풍요의 마취제 역할을 충실히 해내고 있는 것이다. 아프리카뿐만 아니라 어디에서도 우리는 두 가지 차원의 굶주림을 지니고 있다. 생존을 위한 금전적인 것에 대한 저차원의 굶주림이 해결되어도, 고차원의 굶주림, 즉 ‘왜?’에 대한 질문의 대답, 즉 삶의 목적에 대한 고차원의 굶주림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우리는 더 먹을수록 더 배고파지고 있는 것이다.
먹어도 배고프고 허전한 사람들은 자신에게 이러한 질문을 던져보는 것은 어떨까?
진정한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한번 해보자는 마음으로 도전해본 것이 언제인가?
내가 이 일을 시작했을 때의 첫 마음은 무엇이었는가?
긴장이 풀어져 느슨해진 순간은 언제인가?
혹시, 본전생각에 자유롭지 못한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나’로 돌아가는 것이다. 세상의 기준에 맞춘 상대적인 빈곤감에서 벗어나 겉치레를 멈추고 자신의 찾는 것이다. ‘나’에 대해서 끊임없이 관심을 가지고 세상의 기준과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나 자신의 내부를 들여다 보는 것이다. 자신이 진정 만족을 느끼는 것을 찾아 그것에 할당하는 시간을 과감히 늘려가는 것이다.
한번 해보는 것이다. “I am still hungry” 거스 히딩크 전 국가대표 축구팀 감독말을 모두 기억할 것이다. 16강을 이뤄낸 후 했던 이 이야기는 4강의 저력으로 이끌어 주었다. 결과를 알고 도전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우리는 역사에 살 수 없고 매번 역사를 써 나가야 한다. 두려움을 이기고 한번 해 보는 것이다. ‘비움’의 정신이 있다면 잃을것이 없는 것이다.
첫 마음을 잃치 않는 것이다. 어떤 일이던 첫날을 기억하는가? 첫 등교, 첫 출근, 개업일, 결혼식, 새해 첫날 등등의 첫날에 가졌던 마음을 잃치 않는것이다. 이스라엘의 유월절은 그들이 에굽에서 탈출한 날을 기념하는 것이다. 첫 마음을 잃치 않기위해 나만의 기록이나 의식을 해보는 것이다.
긴장을 늦추지 않는 것이다. 마라톤에서 가장 위험한 순간은 결승선에 가까워 ‘이제는 이겼다’고 생각할때라고 한다. 긴장을 늦추지 않으려면 쉽게 만족해서는 않된다. 아놀드 토인비의 지적처럼 역사를 이끌어자는 창조적 소수들의 오류는 ‘휴브리스(Hubris)’즉 ‘자만’, ‘오만’이다. 과거의 것을 읽고 미래의 이야기를 하며 현재의 삶을 살아야 할 것이다. 자신이 읽고 이야기하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이 될 것이다. 과거의 영광에 갖혀 눌러 앉는다면 여전히 책속의 사람이 될 수 박에 없다. 한국기업의 평균수명을 생각해보면 이것은 비단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본전 생각에서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안철수 연구소의 안철수 소장은 의학박사라는 안정된 자리를 박차고 컴퓨터를 고치는 백신을 개발해 내었다. 사람을 고치는 의사는 많지만 검퓨터를 고치는 의사는 없었기 때문이다. 이제까지의 본전 생각 때문에 창조적인 기회를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기회비용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연구원 처음 시작할때의 ‘밀리언 달러 베이비’의 메기의 말을 떠올리며 이 글을 마치고자 한다. 우리도 한번 내 인생의 챔피언이되어 진정 ‘잘’ 살아보아야 하지 않겠는가?
“ 문제는 복싱이 제가 할 수 있는 가장 좋아하는 일이라는 거예요. 제가 복싱을 하기에 너무 나이가 많다면 전 가진 게 아무것도 없는 셈이죠. 절 올바로 가르쳐 주시면 전 챔피언이 될 것입니다.”
-------------------------------------------------------------------
* 모든 노동자의 42퍼센트는 하루가 끝나면 '기진맥진'하게 느낀다.
* 69퍼센트는 좀더 편안한 삶을 살기를 원한다.
* 부모들이 아이들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30년 전보다 40퍼센트 줄어들었다.
* 최근 20년 동안, 1인당 소비 증가는 45퍼센트에 이르지만, 사회 건강 지수에 나타난 삶의 질은 51퍼센트 감소했다.
* 20년 전, '훌륭한 삶'을 달성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 젊은이는 41퍼센트였으나 지금은 21퍼센트에 불과하다.
찰스 핸디의 ‘헝그리 정신- 문제는 돈이 아니라 정신의 빈곤이다’의 내용이다. 공감이 가는 내용이다.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49 | 재치있는 인생살기. | 달님. | 2005.06.03 | 2096 |
448 | 잡담 [2] | 손수일 | 2005.06.03 | 1924 |
447 | <변화학 칼럼10> 거꾸로 말을 타고 달리는 사람들 [5] | 문요한 | 2005.05.31 | 2649 |
446 | My 온라인 뉴스 스크랩 이야기 [3] | 신재동 | 2005.05.30 | 2109 |
445 | 자신을 기만하는 사람 | 김성렬 | 2005.05.28 | 2062 |
444 | 공감 [1] | 손수일 | 2005.05.27 | 2069 |
443 | 주간칼럼10-어느 노벨상 과학자 이야기 [1] | 박노진 | 2005.05.25 | 2022 |
442 | 컴퓨터 & 재미 | 신재동 | 2005.05.24 | 1996 |
441 | <변화학 칼럼9> 함부로 껴안지 말라! [1] | 문요한 | 2005.05.24 | 2249 |
440 | 주간칼럼9-비즈니스와 재미가 만나는 곳 | 박노진 | 2005.05.23 | 1857 |
439 | 리더의 조건 [1] | 오병곤 | 2005.05.23 | 2092 |
438 | [9] 보아도 보지 못한 것 [1] | 홍승완 | 2005.05.21 | 2108 |
437 | 예술, 별건가요? 누구라도 작가가 될 수 있답니다 | 박노진 | 2005.05.20 | 2517 |
436 | 오늘을 잡아라 [3] | 손수일 | 2005.05.19 | 2146 |
435 | 서른 여섯 자화상 | 신재동 | 2005.05.18 | 2394 |
» | [8] 헝그리 정신 [2] | 오세나 | 2005.05.18 | 2140 |
433 | 마라톤 일기 [2] | 박노진 | 2005.05.17 | 1991 |
432 | <변화학 칼럼8> 알을 품고 돌아가라! | 문요한 | 2005.05.16 | 2340 |
431 | 연탄 한 장 [2] | 오병곤 | 2005.05.16 | 2530 |
430 | [8] 시작 [1] | 홍승완 | 2005.05.15 | 25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