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金)기원
 - 조회 수 2282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재산이 많은 사람이 그 재산을 자랑하고 있더라도, 
그 돈을 어떻게 쓰는지 알 수 있을 때까지는 그를 칭찬하지 말라.
-소크라테스-
 
 
돈은 최선의 종이요,최악의 주인이다.
-프랜시스 베이컨-
 
 
돈의 가치를 알아보고 싶거든 나가서 남에게 돈을 꾸어 달라고 요청해 보라.
 
적에게 돈을 꿔주면 그를 이기게 되고,친구에게 꿔주면 그를 잃게 된다.
-벤자민 프랭클린-
 
 
돈은 현악기와 같다. 그것을 적절히 사용할 줄 모르는 사람은 불협화음을 듣게 된다.
돈은 사랑과 같다. 이것을 잘 베풀려 하지 않는 이들을 천천히 그리고 고통스럽게 죽인다.
반면에,타인에게 이것을 베푸는 이들에게는 생명을 준다.
-칼릴 지브란-
 
 
신은 인간을 만들고,옷은 인간의 외양을 꾸민다.
그러나 인간을 마지막으로 완성하는 것은 돈이다.
-존 레이-
 
 
만인이 다 바라는 부귀가 비록 한때의 현상이라 하더라도
비천한 것으로 보아야 하고 멸시해야 한다는 것은 서글픈 일이다.
그러나 왜 이런 생각을 하게 되는가?그 대답은 간단하다.
오늘의 대다수 사람들이 자기의 부를 이루는 과정과 방법이
도덕적인 데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외수-
돈이란 물처럼흐르게하여 살아있는 것이어야한다.
요상한것은 그 돈을 벌기위해서 행하는 것은 참 힘들고 어렵지만 관심이 없는듯 놓아버리면 돈은 나를 따르고 모인다.
돈은 씨앗같이 많이 뿌리면 많이 거둘 수있다.
돈의 크기는 적을때는 크기가 의미있지만 큰 단위의 돈은 그 크기가 무의미해진다.
돈은 신이되어버렸다. 단 자본주의 세상에서
마음으로 돈을 보고싶다.
단 일원도 나에게는 소중하다. 1억처럼-기원
        
        IP *.190.172.240        
    그 돈을 어떻게 쓰는지 알 수 있을 때까지는 그를 칭찬하지 말라.
-소크라테스-
돈은 최선의 종이요,최악의 주인이다.
-프랜시스 베이컨-
돈의 가치를 알아보고 싶거든 나가서 남에게 돈을 꾸어 달라고 요청해 보라.
적에게 돈을 꿔주면 그를 이기게 되고,친구에게 꿔주면 그를 잃게 된다.
-벤자민 프랭클린-
돈은 현악기와 같다. 그것을 적절히 사용할 줄 모르는 사람은 불협화음을 듣게 된다.
돈은 사랑과 같다. 이것을 잘 베풀려 하지 않는 이들을 천천히 그리고 고통스럽게 죽인다.
반면에,타인에게 이것을 베푸는 이들에게는 생명을 준다.
-칼릴 지브란-
신은 인간을 만들고,옷은 인간의 외양을 꾸민다.
그러나 인간을 마지막으로 완성하는 것은 돈이다.
-존 레이-
만인이 다 바라는 부귀가 비록 한때의 현상이라 하더라도
비천한 것으로 보아야 하고 멸시해야 한다는 것은 서글픈 일이다.
그러나 왜 이런 생각을 하게 되는가?그 대답은 간단하다.
오늘의 대다수 사람들이 자기의 부를 이루는 과정과 방법이
도덕적인 데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외수-
돈이란 물처럼흐르게하여 살아있는 것이어야한다.
요상한것은 그 돈을 벌기위해서 행하는 것은 참 힘들고 어렵지만 관심이 없는듯 놓아버리면 돈은 나를 따르고 모인다.
돈은 씨앗같이 많이 뿌리면 많이 거둘 수있다.
돈의 크기는 적을때는 크기가 의미있지만 큰 단위의 돈은 그 크기가 무의미해진다.
돈은 신이되어버렸다. 단 자본주의 세상에서
마음으로 돈을 보고싶다.
단 일원도 나에게는 소중하다. 1억처럼-기원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469 | 편지 [4] | 구본형 | 2005.06.17 | 2641 | 
| » | 돈에대한 단상 [2] | 금(金)기원 | 2005.06.17 | 2282 | 
| 467 | 잠 [2] | 이선이 | 2005.06.16 | 2295 | 
| 466 | 충전된 휴대폰, 방전된 삶 [2] | 오병곤 | 2005.06.15 | 2533 | 
| 465 | '고치기'와 '받아들이기' [3] | 신재동 | 2005.06.14 | 2623 | 
| 464 | <변화를 위한 동화> 바다로 떠난 달봉이2 [8] | 문요한 | 2005.06.14 | 3182 | 
| 463 | <변화를 위한 동화> 바다로 떠난 달봉이1 | 문요한 | 2005.06.14 | 2223 | 
| 462 | -->[re]언제부턴가 문요한님의 글이 기다려진답니다. | 달봉이 1 | 2005.06.15 | 2364 | 
| 461 | 아이에게 과자를 권하느니 담배를 권하라! [2] | 사랑의기원 | 2005.06.13 | 3451 | 
| 460 | 스승 따라하기 | 화목의기원 | 2005.06.12 | 2364 | 
| 459 | 리움(Leeum) 관람기 [3] | 손수일 | 2005.06.10 | 2937 | 
| 458 | [11] 작은 차이 [1] | 홍승완 | 2005.06.10 | 2299 | 
| 457 | 1차산업에서 9차산업까지? | 숲기원 | 2005.06.08 | 2286 | 
| 456 | 사이버 세상에서 정체성 찾기 [1] | 신재동 | 2005.06.07 | 2301 | 
| 455 | <변화학칼럼 11> 세 친구 [3] | 문요한 | 2005.06.07 | 2356 | 
| 454 | [10] 하루 한 줄 하이쿠 [4] | 홍승완 | 2005.06.06 | 3600 | 
| 453 | 아버지의 눈물 [8] | 오병곤 | 2005.06.05 | 2537 | 
| 452 | 주간갈럼11-작지만 강한 기업 : 15년의 기다림 그리고 도약 [2] | 박노진 | 2005.06.04 | 2308 | 
| 451 | Green Dam(녹색댐)을 아시나요? | 사랑의기원 | 2005.06.04 | 2380 | 
| 450 | [9] <변화의 요소> 3-1. 생각 그리기 [1] | 오세나 | 2005.06.03 | 22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