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金)기원
- 조회 수 2101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재산이 많은 사람이 그 재산을 자랑하고 있더라도,
그 돈을 어떻게 쓰는지 알 수 있을 때까지는 그를 칭찬하지 말라.
-소크라테스-
돈은 최선의 종이요,최악의 주인이다.
-프랜시스 베이컨-
돈의 가치를 알아보고 싶거든 나가서 남에게 돈을 꾸어 달라고 요청해 보라.
적에게 돈을 꿔주면 그를 이기게 되고,친구에게 꿔주면 그를 잃게 된다.
-벤자민 프랭클린-
돈은 현악기와 같다. 그것을 적절히 사용할 줄 모르는 사람은 불협화음을 듣게 된다.
돈은 사랑과 같다. 이것을 잘 베풀려 하지 않는 이들을 천천히 그리고 고통스럽게 죽인다.
반면에,타인에게 이것을 베푸는 이들에게는 생명을 준다.
-칼릴 지브란-
신은 인간을 만들고,옷은 인간의 외양을 꾸민다.
그러나 인간을 마지막으로 완성하는 것은 돈이다.
-존 레이-
만인이 다 바라는 부귀가 비록 한때의 현상이라 하더라도
비천한 것으로 보아야 하고 멸시해야 한다는 것은 서글픈 일이다.
그러나 왜 이런 생각을 하게 되는가?그 대답은 간단하다.
오늘의 대다수 사람들이 자기의 부를 이루는 과정과 방법이
도덕적인 데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외수-
돈이란 물처럼흐르게하여 살아있는 것이어야한다.
요상한것은 그 돈을 벌기위해서 행하는 것은 참 힘들고 어렵지만 관심이 없는듯 놓아버리면 돈은 나를 따르고 모인다.
돈은 씨앗같이 많이 뿌리면 많이 거둘 수있다.
돈의 크기는 적을때는 크기가 의미있지만 큰 단위의 돈은 그 크기가 무의미해진다.
돈은 신이되어버렸다. 단 자본주의 세상에서
마음으로 돈을 보고싶다.
단 일원도 나에게는 소중하다. 1억처럼-기원
IP *.190.172.240
그 돈을 어떻게 쓰는지 알 수 있을 때까지는 그를 칭찬하지 말라.
-소크라테스-
돈은 최선의 종이요,최악의 주인이다.
-프랜시스 베이컨-
돈의 가치를 알아보고 싶거든 나가서 남에게 돈을 꾸어 달라고 요청해 보라.
적에게 돈을 꿔주면 그를 이기게 되고,친구에게 꿔주면 그를 잃게 된다.
-벤자민 프랭클린-
돈은 현악기와 같다. 그것을 적절히 사용할 줄 모르는 사람은 불협화음을 듣게 된다.
돈은 사랑과 같다. 이것을 잘 베풀려 하지 않는 이들을 천천히 그리고 고통스럽게 죽인다.
반면에,타인에게 이것을 베푸는 이들에게는 생명을 준다.
-칼릴 지브란-
신은 인간을 만들고,옷은 인간의 외양을 꾸민다.
그러나 인간을 마지막으로 완성하는 것은 돈이다.
-존 레이-
만인이 다 바라는 부귀가 비록 한때의 현상이라 하더라도
비천한 것으로 보아야 하고 멸시해야 한다는 것은 서글픈 일이다.
그러나 왜 이런 생각을 하게 되는가?그 대답은 간단하다.
오늘의 대다수 사람들이 자기의 부를 이루는 과정과 방법이
도덕적인 데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외수-
돈이란 물처럼흐르게하여 살아있는 것이어야한다.
요상한것은 그 돈을 벌기위해서 행하는 것은 참 힘들고 어렵지만 관심이 없는듯 놓아버리면 돈은 나를 따르고 모인다.
돈은 씨앗같이 많이 뿌리면 많이 거둘 수있다.
돈의 크기는 적을때는 크기가 의미있지만 큰 단위의 돈은 그 크기가 무의미해진다.
돈은 신이되어버렸다. 단 자본주의 세상에서
마음으로 돈을 보고싶다.
단 일원도 나에게는 소중하다. 1억처럼-기원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649 | <변화를 위한 동화> 바다로 떠난 달봉이1 | 문요한 | 2005.06.14 | 2063 |
3648 | <변화를 위한 동화> 바다로 떠난 달봉이2 [8] | 문요한 | 2005.06.14 | 2972 |
3647 | '고치기'와 '받아들이기' [3] | 신재동 | 2005.06.14 | 2441 |
3646 | 충전된 휴대폰, 방전된 삶 [2] | 오병곤 | 2005.06.15 | 2401 |
3645 | -->[re]언제부턴가 문요한님의 글이 기다려진답니다. | 달봉이 1 | 2005.06.15 | 2093 |
3644 | 잠 [2] | 이선이 | 2005.06.16 | 2070 |
» | 돈에대한 단상 [2] | 금(金)기원 | 2005.06.17 | 2101 |
3642 | 편지 [4] | 구본형 | 2005.06.17 | 2454 |
3641 | 아이들.. [5] | 김미영 | 2005.06.18 | 1970 |
3640 | 윤동주와 성찰(省察)에 관하여 [2] | 오병곤 | 2005.06.19 | 2217 |
3639 | 자연처럼 | 자연의기원 | 2005.06.20 | 1993 |
3638 | <변화학 칼럼 12> 나에게 입 맞추다 | 문요한 | 2005.06.22 | 2049 |
3637 | 사랑하는 사람에게 마음이 담긴 글을 쓰고 싶다 [3] | 신재동 | 2005.06.22 | 2332 |
3636 | 그들, 시원한 사람들 [3] | 구본형 | 2005.06.24 | 2526 |
3635 | 일본적 감상주의에 대한 단상(斷想) [3] | 손수일 | 2005.06.25 | 3665 |
3634 | 주간칼럼 12-시스템으로 움직이는 작지만 강한 기업 [1] | 박노진 | 2005.06.26 | 2079 |
3633 | 일이 놀이처럼 재미 있으려면 [1] | 오병곤 | 2005.06.26 | 2238 |
3632 | 장면 [4] | 홍승완 | 2005.06.26 | 2125 |
3631 | [12] 공부 [10] | 홍승완 | 2005.06.26 | 2149 |
3630 | 내 비망록에는 [2] | 구본형 | 2005.06.27 | 24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