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승완
- 조회 수 2157
- 댓글 수 5
- 추천 수 0
언젠가 새벽이었다. 서울 신사동의 한 극장에서 ‘꽃 피는 봄이 오면’을 보았다. 영화를 보고 나와 이제는 기억이 가물한 그녀와 함께 길을 걸었다. 우리 위에는 커다란 보름달이 떠 있었다. 그런 달을 언제 마지막으로 보았는지 기억이 없지만, 참 오랜 만에 본 것이었다. 그 달을 보며 우린 많이 걸었다.
나에게 좋은 영화였다. 감독의 역량이 조금 부족한 감도 들었지만, 최민식의 연기와 시나리오만으로도 좋은 영화였다. 적어도 내게는 말이다. 영화를 보는 내내 나는 구체적인 공감에 사로 잡혔다. 최민식의 연기가 내게는 연기가 아니었다. 최민식의 연기를 보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그는 이미 연기를 넘어 섰다. 프로라는 말이나 대가라는 경지는 적절한 표현이 아니다. 그가 곧 연기고 연기가 곧 그일 뿐이다. 그는 떠나고 연기가 남아 그것으로 말한다.”
‘꽃피는 봄이 오면’에는 이현우라는 이름을 가진 꿈은 있지만 이루지 못하고 사랑이 떠나는 것을 소주로 달래는 먹고 살기에 급급한 생활인이 나온다. 그리고 광업으로 먹고 사는 사람들과 그들의 자식이 다니는 도계 중학교가 나온다. 그 학교에는 인원이 겨우 맞는 밴드부가 있다. 존폐의 위기에 처 한 밴드부에 이현우라는 지도교사가 온다. 어려운 생활인과 밴드부의 만남이다.
밴드부는 우여곡절과 남다른 노력의 결과로 전국대회에 출전하게 된다. 전국대회에 참가함으로써 밴드부는 해체를 면하게 되고 아이들은 음악을 계속 할 수 있게 된다. 이현우는 음악과 생활의 의미를 다시금 새기면서 엄마와 사랑이 있는 서울로 올라오게 된다.
꽃피는 봄에 생긴 일이다.
나는 단거리 육상선수가 1초에 100m를 완주하는 것이 기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불치병에 걸린 환자가 어느 날 완쾌되는 것이 기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기적이 불가능을 이루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으며, ‘불가능은 아무것도 아니다’라는 말에도 동의하지 않는다.
도계 중학교 밴드부가 전국대회에 참가하여 연주하는 것을 나는 기적이라고 생각한다. 컨설턴트가 꿈인 젊은이가 지방대를 나와 열심히 노력하여 컨설턴트가 되는 것이 내게는 기적이다. 못 쓸 병에 걸린 아버지가 자식의 지극 적성으로 3년 더 살고 있다면 그것이 기적이다. 삶을 내던지기로 결심한 엄마의 마음을 변화시키는 예쁜 아이들이 기적이다.
불가능이 아무것도 아닌 것이 아니라 감동 없는 기적이야말로 내게는 아무것도 아니다. 기적은 불가능이 아무것도 아님을 증명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꿈을 향한 도전과 여정에서 스스로 느끼고 때로는 다른 사람들도 알아볼 수 있는 그런 것이다.
내 안에도 봄이 올 것이고 꽃은 필 것이다, 언젠가는.
IP *.120.97.46
나에게 좋은 영화였다. 감독의 역량이 조금 부족한 감도 들었지만, 최민식의 연기와 시나리오만으로도 좋은 영화였다. 적어도 내게는 말이다. 영화를 보는 내내 나는 구체적인 공감에 사로 잡혔다. 최민식의 연기가 내게는 연기가 아니었다. 최민식의 연기를 보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그는 이미 연기를 넘어 섰다. 프로라는 말이나 대가라는 경지는 적절한 표현이 아니다. 그가 곧 연기고 연기가 곧 그일 뿐이다. 그는 떠나고 연기가 남아 그것으로 말한다.”
‘꽃피는 봄이 오면’에는 이현우라는 이름을 가진 꿈은 있지만 이루지 못하고 사랑이 떠나는 것을 소주로 달래는 먹고 살기에 급급한 생활인이 나온다. 그리고 광업으로 먹고 사는 사람들과 그들의 자식이 다니는 도계 중학교가 나온다. 그 학교에는 인원이 겨우 맞는 밴드부가 있다. 존폐의 위기에 처 한 밴드부에 이현우라는 지도교사가 온다. 어려운 생활인과 밴드부의 만남이다.
밴드부는 우여곡절과 남다른 노력의 결과로 전국대회에 출전하게 된다. 전국대회에 참가함으로써 밴드부는 해체를 면하게 되고 아이들은 음악을 계속 할 수 있게 된다. 이현우는 음악과 생활의 의미를 다시금 새기면서 엄마와 사랑이 있는 서울로 올라오게 된다.
꽃피는 봄에 생긴 일이다.
나는 단거리 육상선수가 1초에 100m를 완주하는 것이 기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불치병에 걸린 환자가 어느 날 완쾌되는 것이 기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기적이 불가능을 이루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으며, ‘불가능은 아무것도 아니다’라는 말에도 동의하지 않는다.
도계 중학교 밴드부가 전국대회에 참가하여 연주하는 것을 나는 기적이라고 생각한다. 컨설턴트가 꿈인 젊은이가 지방대를 나와 열심히 노력하여 컨설턴트가 되는 것이 내게는 기적이다. 못 쓸 병에 걸린 아버지가 자식의 지극 적성으로 3년 더 살고 있다면 그것이 기적이다. 삶을 내던지기로 결심한 엄마의 마음을 변화시키는 예쁜 아이들이 기적이다.
불가능이 아무것도 아닌 것이 아니라 감동 없는 기적이야말로 내게는 아무것도 아니다. 기적은 불가능이 아무것도 아님을 증명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꿈을 향한 도전과 여정에서 스스로 느끼고 때로는 다른 사람들도 알아볼 수 있는 그런 것이다.
내 안에도 봄이 올 것이고 꽃은 필 것이다, 언젠가는.
댓글
5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649 | 인재를 만드는 하루 2시간-하루의 의미 1 | 박노진 | 2005.11.29 | 2087 |
648 | 묻지않는 질문 대답하지 않는 대답 [3] | 김성렬 | 2005.11.28 | 2264 |
647 | 열정 없이는 못살아 [2] | 오병곤 | 2005.11.27 | 2377 |
646 | 씁쓸한 25일 [2] | 이은미 | 2005.11.25 | 1949 |
645 | 중독.. [3] | 김미영 | 2005.11.24 | 2108 |
644 | 다른 것으로도 풀 수 있구나 [2] | 신재동 | 2005.11.24 | 2417 |
643 | 사랑.. [7] | 김미영 | 2005.11.23 | 2710 |
642 | 겨울과 독서 [3] | 박노진 | 2005.11.23 | 2007 |
641 | -->[re]겨울과 독서을 읽고서...독서에대한 생각 | 숲기원 | 2005.11.24 | 2447 |
640 | <우화5> 까치와 배나무 [1] | 문요한 | 2005.11.23 | 2105 |
639 | <변화학 칼럼 26> 걸어다니는 나무 [2] | 문요한 | 2005.11.22 | 2141 |
638 | 삶의 오묘한 행복의 맛 [2] | 숲기원 | 2005.11.22 | 1895 |
637 | 아비가 아들에게 [5] | 조은삼 | 2005.11.21 | 2016 |
» | 기적 [5] | 홍승완 | 2005.11.17 | 2157 |
635 | 만추(滿秋) [1] | 오병곤 | 2005.11.17 | 2103 |
634 | 제자弟子, 자로子路 [1] | 박노진 | 2005.11.15 | 2071 |
633 | 코리아니티 경영모델 - 내가 쓰고 싶은 책 [2] | 박노진 | 2005.11.13 | 2383 |
632 | 빨간신호등 [3] | 이은미 | 2005.11.11 | 1958 |
631 | 러닝머신 사진 추가 | 박노진 | 2005.11.11 | 1882 |
630 | 인재를 만드는 하루 2시간 - 러닝머신과 책읽기 | 박노진 | 2005.11.11 | 30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