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본형
- 조회 수 2173
- 댓글 수 2
- 추천 수 0
밤새 기침을 하다 낮에 뜨겁게 하고 땀을 흠뻑 흘렸습니다. 지지고 누워 있는 동안 ‘이순신의 일기’를 읽었습니다. 선조 25년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한 그해 장군의 나이는 48세였습니다. 일기는 선조 31년 1598년 무술년 음력 11월 17일에 절필이 되고 맙니다.
1598년 음력 11월 17일 마지막 일기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 있습니다.
‘어제 복병장 발포만호 소계남과 당진포 만호 조효열등이 왜군의 중간배 1척이 군량을 가득 싣고 남해로부터 바다를 건너는 것을 한산도 앞바다까지 추격했다. 왜적은 기슭을 타고 육지로 올라가 도망갔다. 잡은 왜선과 군량은 명나라 군사들에게 빼앗기고 빈손으로 돌아와 내게 보고했다. “
이틀 후 장군은 노량해협의 관음포 부근에서 절명합니다. 이때 장군의 나이는 54세였습니다.
왜적과의 바다 싸움에서 한 번도 진적이 없는 세계 전사상 유래가 없는 기록을 가지고 있는 장군은 그러나 7년 전란의 와중에서 자주 몸이 아팠습니다. 허한과 습열, 곽란과 구토등에 시달려 잠을 자지 못하고 밥을 먹지 못한 때가 허다했습니다. 그의 일기에 무려 180회나 몸이 불편하여 괴로워했던 기록이 보입니다. 최악의 조건 속에서 부여받은 짐의 무게 때문에 극심한 정신적 스트레스에 시달렸던 한 사람의 자기 세계를 들여다보기가 차마 눈물겹습니다. 아마 그 일기가 그의 고통을 하소연할 수 있었던 유일한 피난처였을 것입니다.
매일 자리에 들기 전에 꼿꼿이 앉아 그 날 일을 기록해 두어야겠습니다. 그동안 자주 일기를 써 오긴 했으나 하루를 마감하는 진지함이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IP *.229.146.8
1598년 음력 11월 17일 마지막 일기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 있습니다.
‘어제 복병장 발포만호 소계남과 당진포 만호 조효열등이 왜군의 중간배 1척이 군량을 가득 싣고 남해로부터 바다를 건너는 것을 한산도 앞바다까지 추격했다. 왜적은 기슭을 타고 육지로 올라가 도망갔다. 잡은 왜선과 군량은 명나라 군사들에게 빼앗기고 빈손으로 돌아와 내게 보고했다. “
이틀 후 장군은 노량해협의 관음포 부근에서 절명합니다. 이때 장군의 나이는 54세였습니다.
왜적과의 바다 싸움에서 한 번도 진적이 없는 세계 전사상 유래가 없는 기록을 가지고 있는 장군은 그러나 7년 전란의 와중에서 자주 몸이 아팠습니다. 허한과 습열, 곽란과 구토등에 시달려 잠을 자지 못하고 밥을 먹지 못한 때가 허다했습니다. 그의 일기에 무려 180회나 몸이 불편하여 괴로워했던 기록이 보입니다. 최악의 조건 속에서 부여받은 짐의 무게 때문에 극심한 정신적 스트레스에 시달렸던 한 사람의 자기 세계를 들여다보기가 차마 눈물겹습니다. 아마 그 일기가 그의 고통을 하소연할 수 있었던 유일한 피난처였을 것입니다.
매일 자리에 들기 전에 꼿꼿이 앉아 그 날 일을 기록해 두어야겠습니다. 그동안 자주 일기를 써 오긴 했으나 하루를 마감하는 진지함이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469 | 사랑.. [7] | 김미영 | 2005.11.23 | 2713 |
3468 | 다른 것으로도 풀 수 있구나 [2] | 신재동 | 2005.11.24 | 2420 |
3467 | -->[re]겨울과 독서을 읽고서...독서에대한 생각 | 숲기원 | 2005.11.24 | 2450 |
3466 | 중독.. [3] | 김미영 | 2005.11.24 | 2111 |
3465 | 씁쓸한 25일 [2] | 이은미 | 2005.11.25 | 1952 |
3464 | 열정 없이는 못살아 [2] | 오병곤 | 2005.11.27 | 2380 |
3463 | 묻지않는 질문 대답하지 않는 대답 [3] | 김성렬 | 2005.11.28 | 2267 |
3462 | 인재를 만드는 하루 2시간-하루의 의미 1 | 박노진 | 2005.11.29 | 2090 |
3461 | 11월 시간분석 [3] | 박노진 | 2005.12.01 | 2083 |
3460 | 기적 [4] | 오병곤 | 2005.12.01 | 2007 |
» | 이순신의 일기- 1598년 11월 17 일 [2] | 구본형 | 2005.12.01 | 2173 |
3458 | 긴장 없는 일상 [1] | 신재동 | 2005.12.01 | 2124 |
3457 | 05년12월01일01시39분 낙서 [3] | 숲기원 | 2005.12.01 | 1945 |
3456 |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방법 [3] | 홍승완 | 2005.12.04 | 2926 |
3455 | [19] 조언 [3] | 홍승완 | 2005.12.05 | 2100 |
3454 | <우화 6> 아름다운 짐승 | 문요한 | 2005.12.05 | 1936 |
3453 | 쓸만한 재주 [6] | 섬옥 | 2005.12.06 | 2803 |
3452 | 亂中日記 | 박노진 | 2005.12.06 | 2044 |
3451 | <변화학칼럼 27> 인디언 섬머 [3] | 문요한 | 2005.12.06 | 2189 |
3450 | 행복 [2] | 유관웅 | 2005.12.06 | 19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