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본형
- 조회 수 201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어제는 호남과 충청지방에 이어 서울에도 눈이 내리기 시작했습니다. 언덕 위에 살고 있어 눈이 오면 꼭 할 일이 생깁니다. 몇 년 눈을 치워보다 보니 눈을 치우는 요령를 체득하게 되었습니다.
‘눈이 오고 있을 때는 눈을 치우지 마라.’ 이 말은 그동안 현명한 속담이었습니다. 쓸어도 쓸어도 돌아서면 수북히 쌓여있게 마련이니 일은 하고 그 성과는 별로 없는 비효율적 방법이지요. 그러나 오래된 속담입니다. 언덕 위의 집에 살 때는 이 말을 믿으면 안됩니다.
내가 터득한 눈을 쓸 적합한 시점은 눈이 와서 조금 쌓이기 시작할 때입니다. 눈을 들어 하늘을 보아 눈이 까맣게 쏟아지는 느낌을 받으면 눈이 한참 더 쏟아질 것임을 알게 됩니다. 이 때는 눈이 펑펑 오고 있을 때 방수로 된 자켓을 입고 동회에서 나누어 준 염화칼슘을 언덕길에 뿌려두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바퀴 너비의 간격으로 위에서 아래로 일정한 양을 뿌리면서 내려오면 아무리 눈이 와도 괜찮습니다. 오자마자 녹으니까요.
눈이 이미 쌓여 있을 때 염화칼슘을 뿌리면 효과를 보기 어렵습니다. 염화칼슘의 양은 적고 눈은 이미 서로 결집하여 단단한 연합동체를 이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눈이 아직 겹겹이 쌓여 세력화하기 전에 염화칼슘을 뿌려 두면, 눈이 떨어지는 순간 다 녹기 마련입니다. 아무리 많이 와도 떨어지는 순간에는 모두 눈송이 한 개에 지나지 않으니까요. 한 개의 눈, 그것은 닿자마자 녹아 내리고 맙니다.
언덕 위에 살다보면 멀리있는 눈은 아름다움입니다. 진귀한 설경이니까요. 그러나 가까이에 있는 눈은 치워야 합니다. 계단과 문 앞 차도는 생활이기 때문입니다. 종종 아름다움이 생활의 적이기도 합니다. 반대로 생활이 아름다움을 제켜 내기도 합니다. 산다는 것은 생활과 아름다움의 끈질긴 조화 과정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염화칼슘처럼 차고 드라이 할 때는 눈송이 하나도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아무리 많은 감탄이 하늘에서 쏟아져 내려도 말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집에서 아무 데도 가지 않고 며칠 푹 쉴 수 있다면, 눈 속에 파묻혀 잠시 이 세상과의 격리를 완벽하게 즐길 수 있다면 서둘러 눈을 치워야할 일은 없을 것입니다.
아름다움이 생활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생활 속에 아름다움을 끌어 들일 수 있는 자신의 균형점을 늘 찾아보면 좋겠습니다.
IP *.229.146.66
‘눈이 오고 있을 때는 눈을 치우지 마라.’ 이 말은 그동안 현명한 속담이었습니다. 쓸어도 쓸어도 돌아서면 수북히 쌓여있게 마련이니 일은 하고 그 성과는 별로 없는 비효율적 방법이지요. 그러나 오래된 속담입니다. 언덕 위의 집에 살 때는 이 말을 믿으면 안됩니다.
내가 터득한 눈을 쓸 적합한 시점은 눈이 와서 조금 쌓이기 시작할 때입니다. 눈을 들어 하늘을 보아 눈이 까맣게 쏟아지는 느낌을 받으면 눈이 한참 더 쏟아질 것임을 알게 됩니다. 이 때는 눈이 펑펑 오고 있을 때 방수로 된 자켓을 입고 동회에서 나누어 준 염화칼슘을 언덕길에 뿌려두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바퀴 너비의 간격으로 위에서 아래로 일정한 양을 뿌리면서 내려오면 아무리 눈이 와도 괜찮습니다. 오자마자 녹으니까요.
눈이 이미 쌓여 있을 때 염화칼슘을 뿌리면 효과를 보기 어렵습니다. 염화칼슘의 양은 적고 눈은 이미 서로 결집하여 단단한 연합동체를 이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눈이 아직 겹겹이 쌓여 세력화하기 전에 염화칼슘을 뿌려 두면, 눈이 떨어지는 순간 다 녹기 마련입니다. 아무리 많이 와도 떨어지는 순간에는 모두 눈송이 한 개에 지나지 않으니까요. 한 개의 눈, 그것은 닿자마자 녹아 내리고 맙니다.
언덕 위에 살다보면 멀리있는 눈은 아름다움입니다. 진귀한 설경이니까요. 그러나 가까이에 있는 눈은 치워야 합니다. 계단과 문 앞 차도는 생활이기 때문입니다. 종종 아름다움이 생활의 적이기도 합니다. 반대로 생활이 아름다움을 제켜 내기도 합니다. 산다는 것은 생활과 아름다움의 끈질긴 조화 과정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염화칼슘처럼 차고 드라이 할 때는 눈송이 하나도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아무리 많은 감탄이 하늘에서 쏟아져 내려도 말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집에서 아무 데도 가지 않고 며칠 푹 쉴 수 있다면, 눈 속에 파묻혀 잠시 이 세상과의 격리를 완벽하게 즐길 수 있다면 서둘러 눈을 치워야할 일은 없을 것입니다.
아름다움이 생활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생활 속에 아름다움을 끌어 들일 수 있는 자신의 균형점을 늘 찾아보면 좋겠습니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429 | 나를 찾아 떠난 여행 [1] | 신재동 | 2005.12.19 | 1818 |
3428 | 눈발 날리는 북한산을 가보셨나요.. [5] | 정은주 | 2005.12.19 | 2089 |
» | 생활과 눈 | 구본형 | 2005.12.19 | 2015 |
3426 | [22] 마음을 담은 독서, 책은 이렇게 읽어야 한다 [9] | 홍승완 | 2005.12.19 | 2504 |
3425 | <변화학칼럼 28> 나는 삶의 자유연주자! | 문요한 | 2005.12.20 | 2157 |
3424 | 인생은 외 줄 타기 이다. [3] | 숲기원 | 2005.12.20 | 2076 |
3423 | 소프트웨어 개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제언 [5] | 오병곤 | 2005.12.21 | 2070 |
3422 | <변화학칼럼 29> 시작이 늦은 당신에게 [3] | 문요한 | 2005.12.22 | 2322 |
3421 | <변화학칼럼 30>We are born to change! [7] | 문요한 | 2005.12.23 | 2094 |
3420 | 집에 와서.. [9] | 김미영 | 2005.12.23 | 2292 |
3419 | 사교집단(私敎集團) [4] | 오병곤 | 2005.12.24 | 2431 |
3418 |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 | 놀자 | 2005.12.24 | 2108 |
3417 | 삶은 너에게 이미 아름다운 여행을 선사했고 [1] | 구본형 | 2005.12.26 | 2142 |
3416 | 직장 유랑기 ④ - 또 한번의 객지생활 [2] | 신재동 | 2005.12.28 | 2164 |
3415 | 따끈한 책이 왔어요~~~ [2] | 오병곤 | 2005.12.29 | 2185 |
3414 | 상가집 문상가서 [3] | 박노진 | 2005.12.29 | 3191 |
3413 | <변화학칼럼 31> 삶이 당신을 불러 세울 때 [4] | 문요한 | 2005.12.29 | 2069 |
3412 | 직장 유랑기 ⑤ - 불타는 갑판 위에 그대로 있다 | 신재동 | 2005.12.30 | 2026 |
3411 | 새해에는 [4] | 구본형 | 2006.01.01 | 2192 |
3410 | 편지 [1] | 이선이 | 2006.01.01 | 2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