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미영
- 조회 수 2243
- 댓글 수 3
- 추천 수 0
지난 몇 년을 돌아보면,
우울통에 빠져서 허우적거리고 있었어요.
가끔씩 화를 심하게 내기도 했지요.
물론 죽고 싶단 유혹도 받았어요.
아무리 노력해도 잘 살 수 있을 것 같지 않았지요.
누가 뭐래서가 아니라 스스로 그냥 그랬어요.
그러다 어느 날 문득, 그런 자신을 보게 됐어요.
도대체 왜 그러고 있는지 궁금해졌지요.
그래서 들여다보기 시작했고, 조금씩 알게 되었어요.
내가 망설이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내가 힘들어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렇게 내 모습을 보게 되었어요.
시간은 내게 가끔 낯설게 다가와요.
지금처럼.
나는 그 우울을 즐기지는 못했지만 이제는 잘 알아요.
아니, 솔직히 말하면 이제는 빠져도 허우적거리진 않을 수 있게 된 거지요.
아마도 다음에 우울이 오면 즐기게 될 지도 몰라요.
어, 너 왔니?
왜? 뭐가 문젠데?
너 요즘 힘들구나?
힘내, 너 많이 좋아진 거 모르지?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것들이잖아, 당연해.
오랜만에 나랑 좀 놀자.
놀다가 지루해서 하품이 나오면 그때 가.
환한 세상이 궁금해서 못 견디게 호기심이 생길 때까지 나랑 놀자.
빛이 가득한 세상이 궁금해지기 시작했어요.
마구 달려보고 싶은 힘이 생기네요.
지금의 내가 그래요.
그래서 낯설어요.
IP *.210.111.168
우울통에 빠져서 허우적거리고 있었어요.
가끔씩 화를 심하게 내기도 했지요.
물론 죽고 싶단 유혹도 받았어요.
아무리 노력해도 잘 살 수 있을 것 같지 않았지요.
누가 뭐래서가 아니라 스스로 그냥 그랬어요.
그러다 어느 날 문득, 그런 자신을 보게 됐어요.
도대체 왜 그러고 있는지 궁금해졌지요.
그래서 들여다보기 시작했고, 조금씩 알게 되었어요.
내가 망설이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내가 힘들어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렇게 내 모습을 보게 되었어요.
시간은 내게 가끔 낯설게 다가와요.
지금처럼.
나는 그 우울을 즐기지는 못했지만 이제는 잘 알아요.
아니, 솔직히 말하면 이제는 빠져도 허우적거리진 않을 수 있게 된 거지요.
아마도 다음에 우울이 오면 즐기게 될 지도 몰라요.
어, 너 왔니?
왜? 뭐가 문젠데?
너 요즘 힘들구나?
힘내, 너 많이 좋아진 거 모르지?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것들이잖아, 당연해.
오랜만에 나랑 좀 놀자.
놀다가 지루해서 하품이 나오면 그때 가.
환한 세상이 궁금해서 못 견디게 호기심이 생길 때까지 나랑 놀자.
빛이 가득한 세상이 궁금해지기 시작했어요.
마구 달려보고 싶은 힘이 생기네요.
지금의 내가 그래요.
그래서 낯설어요.
댓글
3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황명구
저도 2년전부터, 회사내 업무 스트레스로 2년동안 어려운 시간을 겪어 왔읍니다. 중간에 불면/우울등의 기분도 느껴 보았구요. 그당시는 도피하고 싶은 생각밖에 없었지요, 지금와서 돌이켜 보면 그런 어려운 상황을 이겨낸 자신이 대견스럽습니다. 그리고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도 많이 생겼구요. 이후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게 되었습니다.
지난주말 집 거실에서 책을 읽고 있는데, 우연히도 앞으로의 나의 삶은 이렇게 살아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읍니다.
돈도 아니요, 세상의 명성도 아니고, 회사내 인정도 아닌, 나 자신이 인정하는 삶을 살아야 겠다는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많은날은 아니었지만, 새벽에 출근하면서 나 스스로에게 자랑스러웠던 시간들이 가장 행복했던 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때 스스로에게 자랑 스러웠던 파편을, 꿰어서 하나의 그림을 그려 볼려고 합니다.
지난주말 집 거실에서 책을 읽고 있는데, 우연히도 앞으로의 나의 삶은 이렇게 살아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읍니다.
돈도 아니요, 세상의 명성도 아니고, 회사내 인정도 아닌, 나 자신이 인정하는 삶을 살아야 겠다는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많은날은 아니었지만, 새벽에 출근하면서 나 스스로에게 자랑스러웠던 시간들이 가장 행복했던 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때 스스로에게 자랑 스러웠던 파편을, 꿰어서 하나의 그림을 그려 볼려고 합니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369 | 눈이 나리고,,,, [1] | 이은미 | 2006.02.10 | 2197 |
3368 | <변화학칼럼 37> 습관을 바꾸는 습관① [2] | 문요한 | 2006.02.12 | 2215 |
3367 | 인연 [5] | 신재동 | 2006.02.13 | 2182 |
3366 | 여행소고 Whatever Cafe [6] | 구본형 | 2006.02.13 | 2146 |
3365 | 나이 든다는 것 | 11월 | 2006.02.14 | 1818 |
» | 시간.. [3] | 김미영 | 2006.02.16 | 2243 |
3363 | 역발상에 대하여 [1] | 구본형 | 2006.02.17 | 1989 |
3362 | 레슬리 파나스의 첼로독주회를 다녀온 후 [1] | 박미영 | 2006.02.18 | 2047 |
3361 | 가리워진 길 [2] | 오병곤 | 2006.02.19 | 2028 |
3360 | 전국적으로 벌어지는 꿈 신드롬 [1] | 자로사랑 | 2006.02.20 | 2074 |
3359 | 마지막 수업 [3] | 구본형 | 2006.02.20 | 2175 |
3358 | 여행 & 변곡점 [3] | 황명구 | 2006.02.20 | 2338 |
3357 | <변화학칼럼 38> 더 나은 삶을 위하여 [2] | 문요한 | 2006.02.23 | 2125 |
3356 | 끝남과 시작의 길목에서 [2] | 최정임 | 2006.02.24 | 1757 |
3355 | 그대라는 말에... [2] | 이은미 | 2006.02.24 | 1946 |
3354 | 우리, 제1기 연구원 - 내가 본 연구원들의 색깔 [5] | 홍승완 | 2006.02.24 | 2397 |
3353 | 나의 성향은 현재 나의 직무에 맞는가? [2] | 박미영 | 2006.02.25 | 2390 |
3352 | -->[re]그대, 홍승완 | 자로사랑 | 2006.02.25 | 1767 |
3351 | 나는 누구인가? 진정한 나는 무엇일까? [1] | 은호(隱湖) | 2006.02.26 | 2154 |
3350 | 가까운 사람들 [1] | 귀한자식 | 2006.02.27 | 22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