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호(隱湖)
- 조회 수 2155
- 댓글 수 1
- 추천 수 0
나는 누구인가?
나는 없다. 나는 세상 그 무엇(나무 돌 바람 새 뱀 사람)모두에게 있다. 그 모두는 나의 마음이 가는 거울이 된다. 나는 너고 우리이다. 나라고 할 때 이미 욕심이고 화근이 시작된다.
나라는 것을 놓게 되면 자유인이 대자유인이 된다.
나는 누구인가 김기원 이다. 그렇다면 김기원 이라 불리는 사람은 모두 나인가? 모두가 나인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나는 누구인가? 그 나와 하나가되는 방법은?
육신의 나와 마음 나 영의 나가 있다.
변화무쌍한 마음의 나, 욕심덩어리인 몸의 나, 어떤 변화에도 변함이 없는 나 영의 나가 있다. 이렇게 영의 나라고 할 수 있는 그 나가 진정한 나이다. 그는 김기원 도 아니며 욕심과 마음을 놓을 때 알아채려볼 수 있는 나이다. 그 나는 절대이다. 이 나는 너일 수 있고 우리 일 수 있다. 이때 진정한 평화와 안정이 온다.
마음의 나는 건전한 몸과 정신적 안정 상태일 때 변화무쌍함을 볼(觀)수 있다.
몸의 나가 단순하면 단순 할 수 록 본연의 나(영)에 가까와질 수 있다. 아마도 기질이 몸의 나에 가장 가까운 나 인 것이다.
보통 나라고 할 때 이 육신의 나를 생각하는 것 같다. 몸이 원하는 것은 욕심과 마음의 변화에 따른 것이다. 변화하지 않는 그 무엇 이것이 진정한 나이다. 이 나와 하나 되는 몸과 마음이 영이인 것 같다. 이것을 만나려면 몸을 놓고 마음을 놓아버린 상태 무상무념의 상태 명상-삼매의 상태에 만날 수 있다. 이곳에서는 어떤 것을 먹거나 잠에 상관없이 시공간을 초월 할 수 있다.
이 나를 만나면 최고의 행복 최상의 조건이 된다.
쉬운 나(몸의나)는 기질을 만나는 것
좀 어려운 나는 마음의 변화를 알아차리는 것
진정한 나는 그 무엇에도 변함이 없이 하나 되는 삼매의 상태에서 만나는 영 의 상태이다.
나라고 할 것이 없는 그 나를 만나고 싶다. 이것을 위해서 우리는 육체적 삶이라는 인생이라는 것을 수행자 구도자처럼 살아가는 것이다.
인도에 가서 단순함과 나라는 것을 내려놓고 큰 뜻을 취한 고타마의 삶의 향기를 맡을 수 있었다. 그리고 러시아 바이칼에 브로암 바위에서 마음공부를 하며 민족의 시원과 나의 마음의 원을 세우며 새로운 나를 갈구하게 되었고 문경에서 나에 대한 생각을 차원 다르게 할 수 있었다. 그 과정에 만난 하나하나의 홑실과 날실에게 감사 한다.
IP *.190.84.101
나는 없다. 나는 세상 그 무엇(나무 돌 바람 새 뱀 사람)모두에게 있다. 그 모두는 나의 마음이 가는 거울이 된다. 나는 너고 우리이다. 나라고 할 때 이미 욕심이고 화근이 시작된다.
나라는 것을 놓게 되면 자유인이 대자유인이 된다.
나는 누구인가 김기원 이다. 그렇다면 김기원 이라 불리는 사람은 모두 나인가? 모두가 나인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나는 누구인가? 그 나와 하나가되는 방법은?
육신의 나와 마음 나 영의 나가 있다.
변화무쌍한 마음의 나, 욕심덩어리인 몸의 나, 어떤 변화에도 변함이 없는 나 영의 나가 있다. 이렇게 영의 나라고 할 수 있는 그 나가 진정한 나이다. 그는 김기원 도 아니며 욕심과 마음을 놓을 때 알아채려볼 수 있는 나이다. 그 나는 절대이다. 이 나는 너일 수 있고 우리 일 수 있다. 이때 진정한 평화와 안정이 온다.
마음의 나는 건전한 몸과 정신적 안정 상태일 때 변화무쌍함을 볼(觀)수 있다.
몸의 나가 단순하면 단순 할 수 록 본연의 나(영)에 가까와질 수 있다. 아마도 기질이 몸의 나에 가장 가까운 나 인 것이다.
보통 나라고 할 때 이 육신의 나를 생각하는 것 같다. 몸이 원하는 것은 욕심과 마음의 변화에 따른 것이다. 변화하지 않는 그 무엇 이것이 진정한 나이다. 이 나와 하나 되는 몸과 마음이 영이인 것 같다. 이것을 만나려면 몸을 놓고 마음을 놓아버린 상태 무상무념의 상태 명상-삼매의 상태에 만날 수 있다. 이곳에서는 어떤 것을 먹거나 잠에 상관없이 시공간을 초월 할 수 있다.
이 나를 만나면 최고의 행복 최상의 조건이 된다.
쉬운 나(몸의나)는 기질을 만나는 것
좀 어려운 나는 마음의 변화를 알아차리는 것
진정한 나는 그 무엇에도 변함이 없이 하나 되는 삼매의 상태에서 만나는 영 의 상태이다.
나라고 할 것이 없는 그 나를 만나고 싶다. 이것을 위해서 우리는 육체적 삶이라는 인생이라는 것을 수행자 구도자처럼 살아가는 것이다.
인도에 가서 단순함과 나라는 것을 내려놓고 큰 뜻을 취한 고타마의 삶의 향기를 맡을 수 있었다. 그리고 러시아 바이칼에 브로암 바위에서 마음공부를 하며 민족의 시원과 나의 마음의 원을 세우며 새로운 나를 갈구하게 되었고 문경에서 나에 대한 생각을 차원 다르게 할 수 있었다. 그 과정에 만난 하나하나의 홑실과 날실에게 감사 한다.
댓글
1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369 | 눈이 나리고,,,, [1] | 이은미 | 2006.02.10 | 2197 |
3368 | <변화학칼럼 37> 습관을 바꾸는 습관① [2] | 문요한 | 2006.02.12 | 2216 |
3367 | 인연 [5] | 신재동 | 2006.02.13 | 2182 |
3366 | 여행소고 Whatever Cafe [6] | 구본형 | 2006.02.13 | 2146 |
3365 | 나이 든다는 것 | 11월 | 2006.02.14 | 1818 |
3364 | 시간.. [3] | 김미영 | 2006.02.16 | 2244 |
3363 | 역발상에 대하여 [1] | 구본형 | 2006.02.17 | 1989 |
3362 | 레슬리 파나스의 첼로독주회를 다녀온 후 [1] | 박미영 | 2006.02.18 | 2047 |
3361 | 가리워진 길 [2] | 오병곤 | 2006.02.19 | 2028 |
3360 | 전국적으로 벌어지는 꿈 신드롬 [1] | 자로사랑 | 2006.02.20 | 2074 |
3359 | 마지막 수업 [3] | 구본형 | 2006.02.20 | 2175 |
3358 | 여행 & 변곡점 [3] | 황명구 | 2006.02.20 | 2338 |
3357 | <변화학칼럼 38> 더 나은 삶을 위하여 [2] | 문요한 | 2006.02.23 | 2125 |
3356 | 끝남과 시작의 길목에서 [2] | 최정임 | 2006.02.24 | 1757 |
3355 | 그대라는 말에... [2] | 이은미 | 2006.02.24 | 1946 |
3354 | 우리, 제1기 연구원 - 내가 본 연구원들의 색깔 [5] | 홍승완 | 2006.02.24 | 2398 |
3353 | 나의 성향은 현재 나의 직무에 맞는가? [2] | 박미영 | 2006.02.25 | 2390 |
3352 | -->[re]그대, 홍승완 | 자로사랑 | 2006.02.25 | 1767 |
» | 나는 누구인가? 진정한 나는 무엇일까? [1] | 은호(隱湖) | 2006.02.26 | 2155 |
3350 | 가까운 사람들 [1] | 귀한자식 | 2006.02.27 | 22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