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이종승
  • 조회 수 1655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6년 5월 15일 12시 47분 등록
고다마 싯달타라는 분의 가르침 중에 '중도(中道)'라는 말이 있습니다. 한자로 가운데 중(中)자를 쓰는데 '중도'의 '중'은 '가운데'라는 의미가 아니라 '넘어섬, 극복, 초월'을 의미합니다.

'이것'과 '저것'을 다 넘어선 경지 그래서 하나로 어우러진 경지, 분별이 사라진 경지를 말합니다.
'나와 타자'가 사라져 하나가 된 경지, '긍정과 부정'이 사라져 하나가 된 경지 그래서 모순이 자연스럽게 어울려 말 그대로 '자연(自然)-스스로 그런함'의 상태를 설명한 말입니다.
즉 중도는 양 끝의 중간이 아니라 양 극단을 다 넘어서 모든 게 하나로 어우러진 자연스런움을 표현한 말입니다. 하나님의 세상이지요.

인도의 힌두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신은 브라만, 비슈누, 시바입니다. 브라만은 '창조의 신'입니다. 비슈누는 '유지의 신'입니다. 시바는 '파괴의 신'입니다. 힌두의 가르침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는 이 세 신에 의한 창조와 유지 그리고 파괴 다시 창조와 유지, 파괴, 창조순으로 끝 없이 순환하는 세계입니다.

그러다 보니 모순은 파괴로 가는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파괴는 창조를 이루기 위한 당연한 과정입니다. 그러한 창조는 한 동안 자신을 유지하며 변화, 발전의 과정을 걷다가 다시 모순에 의한 파괴가 일어나고 또 다른 창조가 일어나는 순환의 세계입니다.
그러다 보니 힌두사상에서도 양 극단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순환하는 하나의 원(圓)이 있을 뿐일니다.

그래서 불교나 힌두교에는 양 극단이 없습니다. 선과 악도 정확한 가르침에 따라 표기하면 '선'과 '불선'입니다. '선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는 것이지요.

앗, 이제 나가야 합니다. 후배가 점심 사달라고 온다고 해서 기다리는 틈에 단상이 길어졌네요. 휭~


IP *.109.152.197

프로필 이미지
귀한자식
2006.05.15 15:35:10 *.229.28.18

여기서 다시
중도에 대해 글을 읽으니
반갑네요~

궁극적인 인간의 본성과 백범 선생에 대한 견해 등을 얘기하면서
제가 생각지 못했던 부분들을
일깨워 주신것 감사드립니다.

신새벽이라 비록 제 좌뇌가 반쯤 졸고 있었지만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59 밀리언 달러 베이비를 권유하는 구선생님께 감사드리며 [6] 섬옥 2005.03.19 2583
958 [91] 자신과의 대화 (2) [2] 써니 2008.07.08 2583
957 돌아가야할 시간입니다. [4] 백산 2011.08.30 2583
956 [노래]어쩌다 마주친 그대(출처:pops8090/유튜브) 김지현 2010.04.29 2584
955 ---->[re]3 월의 주제 - 논점이 빗나간 글일 수 있지만 중대한 고민 [1] 구본형 2003.04.03 2585
954 신사업인가? 신기루인가? - 신사업 추진의 성공비결 [1] 오병곤 2005.07.27 2585
953 [오리날다] 어른이 된다는 것 [2] 김미영 2010.01.25 2586
952 [영원의 시 한편] 내가 만난 사람은 모두 아름다웠다 정야 2014.11.03 2586
951 위대한 리더, 평범한 리더 [1] 이활 2008.08.06 2587
950 천안 마실을 다녀와서 [1] 숲기원 2006.05.07 2589
949 칠순 아버지께 받은 댓글 자랑*^^* [3] 김나경 2009.01.23 2589
948 [잡담]그녀를 만난지 15년 그리고 5479일 [5] 햇빛처럼 2011.12.21 2589
947 [8기 예비 2주차 세린신] 나는 누구인가? file [8] 세린 2012.02.27 2589
946 우리 세째에게 남친이 생겼습니다. [5] 소은 2009.02.02 2590
945 어느 노부부의 이야기. 달님. 2004.06.26 2591
944 지난 일 깊이 사과드리겠습니다 [1] 김신웅 2009.09.16 2591
943 서방을 서방님으로 하세요(국화와 칼을 읽고) [3] [2] 이수 2008.12.18 2593
942 100세에도 글쓰기/ 신문기사를 보다가 [1] 써니 2012.04.25 2593
941 공인으로 산다는 것 - 우즈 & 이병헌 [1] 이기찬 2009.12.14 2596
940 딸기밭 사진편지 35 / 사이 file [1] 지금 2010.06.02 2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