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뎀뵤_미영
- 조회 수 5986
- 댓글 수 7
- 추천 수 0
가위바위보 한손으로 가위바위보의 세가지 모양을 만들어 승부나 순서를 정하는 놀이. 중국에서 전해진 손의 싸움으로, 처음에는 술자리 놀이였으나 후에 어린이 놀이가 되었다. - 백과사전 |
우리는 참 여러가지 경우에 가위바위보를 한다. 놀이를 하기위해 편을 가르거나 순서를 정할때, 청소당번을 정할때, 친구와 식당을 정할때, 하나 남은 빵을 먹을 사람을 정할때도, 혹은 그냥 심심풀이로, 최근에 일본에서는 경매 최종 낙찰자도 가위바위보로 정해서 이슈가 되기도 했다.
누구에게나 친구들과 가위 바위 보 놀이를 하며
서로 이기려고 한 기억이 있을 것입니다.
재미있게도 어느 나라에서든지 '바위'가 '가위'를
이기고, '가위'는 '보'를 이깁니다.
참으로 이상한 것은
제일 약한 것 같은 '보'가
제일 강한 '바위'를 이긴다는 사실입니다.
여기에서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는 진리를
배울 수 있습니다.
놀이에 담겨 있는 살아 있는 진리입니다.
- 용혜원
가위바위보의 유래
가위바위보는 중국의 충권(蟲券)에서 유래한다. 벌레를 비유하는 놀이였기 때문에 '벌레 충(蟲)'자를 써서 충권이라 불렀다. 충권은 술자리에서 어른들이 즐기는 놀이로, 엄지, 새끼, 검지 손가락을 지어 승부를 결정하는 놀이다. (엄지(개구리) > 새끼손가락(달팽이) > 검지(뱀)> 엄지(개구리))
충권과 비슷한 놀이로 '양권마(兩券碼)'가 있었는데, 이것이 에도시대 때 일본 가고시마(대마도)에 전해져 일본식으로 발음이 '장껭뽕'으로 굳어지고 놀이 양식도 변했다. 그리고 이 장껭뽕이 일제 시대 때 우리 나라에 전해져 가위바위보가 되었다.
가위바위보라는 말은 어디서 왔는가? 주먹을 쥐었다 폈다 하면서 하는 놀이를 가위바위보라 하는데 이 이름이 생기기 전에는 짱껨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졌었다. 이 짱껨뽀는 본래 중국말 란쩡펑에서 나온 것으로 란쩡펑이란 발음이 와전되어 짱껨뽀가 된 것이다. 중국에서 들어온 이 놀이는 중국말을 그대로 따서 짱껨뽀라 했는데, 윤석중 선생이 순수한 우리말로 된 가위바위보란 이름을 지어냈다. 그 덕에 짱껨뽀란 말은 지금 중장년층의 기억 속에나 있는 말이 되었고, 그 자리를 가위바위보가 차지하고 있다. -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
왜 가위바위보 순인가?
단순하게 각 모양을 생각했을때는 바위가위보(손가락을 펴는순서)나 보가위바위(손가락을 쥐는 순서)가 맞을것 같다. '감자에서 싹이나서 이파리가 감자!' 이때도 바위 - 가위 - 보 순으로 손을 움직이는데...
왜 우리는 가위바위보. 순으로 부르는가?
우선, 각 나라별 순서를 확인하면.
한국 : 가위바위보
중국 : 가위보바위 ('젠바오추이(剪包錘)'), 가위바위보 (량켄바오(兩拳包))
영어 : 바위보가위 (rock-paper-scissors)
일본 : 바위가위보 (구쵸키파 or 구치파로 발음 -> 묵찌빠의 어원이 됨.)
한국과 중국의 순서가 같은 발음이 하나 있기는 하지만 그 외에는 같은 순서가 하나도 없다. 따라서, 가위바위보 순서는 별 의미가 없으며, 각 나라별로 부르기 쉬운 형태로 부르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점 한가지는 확인할 수 있다. 한국, 영어 이기는 순서, 중국, 일본은 지는순서로 나열이 되어 있다.
내가 해 본 가위바위보의 변형놀이
가위바위보는 순서를 정하는 외에 여러가지 놀이가 있다.
묵찌빠 : 가위바위보로 순서를 정한후, 큰 소리로 '묵'을 외치며 바위를 낸다. 이때, 상대방이 같은 손모양을 내면 내가 이기는 게임.
백분쑈 : '백분쑈' 하면서 양쪽에 다른 손모양을 낸 후에 '하나빼기' 하면서 한쪽손을 뒤로 뺀다. 한쪽손을 빼고 난 후에 마지막 남은 손이 가위바위보로 이긴 사람이 승리하는 게임.
계단 오르기 : 가위바위보를 하고 가위를 해서 이기면 2칸, 바위로 이기면 5칸, 보로 이기면 10칸 올라가는 게임.
쎄쎄쎄 : 쎄쎄쎄를 하고 난 마지막은 가위바위보로 승패를 정한다.
혼자서 하는 두뇌회전놀이 : 양손을 동시에 사용해 한쪽 손이 계속 이기도록 하는 게임. 혼자서 하는 게임. (다뎀뵤 강추! ㅋㅋㅋ)
다음 동영상에 가위바위보의 모든 희로애락이 들어있다. ^^
1초안에 모든 승부가 나는 게임.
가위바위보는 서로 대립되는 상극과 다른 사람을 견제하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게임이다. 바위는 가위를 부수어 이기고, 보는 바위를 싸안으며 이길 수 있지만 가위에 잘림으로서 패하기에 절대승자도 절대 패자도 없다. 이는 사람중에는 절대강자가 있을수 없고, 누구나 강한부분과 약한부분을 동시에 갖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가위바위보가 오랜시간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될 수 있었던 것은 아무 도구도 없이 간단히, 언제든지 할 수 있으면서도 서로의 심리와 기를 겨뤄야 하는 지능적인 게임이기 때문이다.
---------------------------------------------------------------
* 글을 쓰고나서
1.
처음에 "세계의 가위바위보"를 정리하고자 했다. (꿈이 뚱뚱했지! ^^;;) 나는 각 나라마다 가위바위보를 하는 제스처가 다르다고 생각했다. 우리나라가 손가락을 구부리고 펴는것에 따라 가위바위보를 한다면 다른 나라에서는 다른형태로 가위바위보를 한다고 생각 했다.

그래서 그 내용들을 모아보면 재밌을것 같다는 생각에 가위바위보에 대한 호기심을 발동시켰다. 그런데, 우리나라와 같이 손가락으로 가위바위보를 하는 것이 보편적이고, 세계에서 공통으로 사용 되고 있는 제스처였다. ‘세계가위바위보협회(The World Rock-Pap er-Scissors Society)’까지 있었으니... ;;;
2.
나는 가위바위보가 우리나라의 것인줄 알았다. -_-; 어디선가 가위바위보가 천지인에서 출발했다는 내용을 보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가위바위보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다보니, 중국에서 유래했다는 말이 많았고 더 설득력이 있어보였다.
3.
가위바위보와 묵찌빠 모두가 전쟁놀이라는 사실 또한 놀라웠다.
4.
가위바위보에서 아직 뚜렷한 한국성을 찾아내지 못했다. 일단 많이 생각하고 살펴두었으니, 그 언젠가 다른 곳에서 아차! 싶게 가위바위보의 한국성을 찾아낼지도 모른다.(는 기대를 해본다.)
나의 처음 의도와는 많이 다른 내용으로 전개되었지만, 의미있는 작업이었다. ^_^
댓글
7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009 | 고택에서의 만남 [2] | 도명수 | 2006.06.12 | 2089 |
1008 | 내가 뽑은 필독서 [4] | 김귀자 | 2006.06.12 | 2137 |
1007 | 있어야 할 곳을 찾자 [1] | 꿈꾸는간디 | 2006.06.12 | 1986 |
1006 | 명상과 마음... [1] | 이종승 | 2006.06.11 | 1854 |
1005 | 戀 愛 時 代 [3] | 정재엽 | 2006.06.11 | 2064 |
1004 | 시간관리에 날개를 달고 [4] | 귀한자싣 | 2006.06.10 | 2354 |
1003 | 21세기 기업의 사람에 대한 단상. [4] | 이종승 | 2006.06.09 | 2059 |
1002 | 유아세례 | 정재엽 | 2006.06.09 | 2312 |
1001 | 세계인으로 키우는 자녀교육의 원칙 [2] | 정재엽 | 2006.06.09 | 2156 |
1000 | 슬럼프 [3] | 김귀자 | 2006.06.09 | 2007 |
999 | -->[re]슬럼프 [5] | 홍승완 | 2006.06.09 | 2147 |
998 | 콘클라베(conclave)와 5.31 지방선거 | 정재엽 | 2006.06.09 | 2101 |
997 | 꿈 듣기 [5] | 정경빈 | 2006.06.08 | 2018 |
996 | 장석주의 화려한 산문 [3] | 한명석 | 2006.06.08 | 2141 |
995 | 칼럼 [3] | 다뎀뵤_미영 | 2006.06.07 | 1934 |
994 | 삐딱선 타기 | 이미경 | 2006.06.07 | 2310 |
» | [문화] 가위바위보 [7] [2] | 다뎀뵤_미영 | 2006.06.07 | 5986 |
992 | 세상 물들이기 [3] | 이미경 | 2006.06.06 | 2059 |
991 | 너무나 바쁜 삶의 허망함을 경계하라 [9] | 오병곤 | 2006.06.06 | 2630 |
990 | 다시 시작하는 마음으로... [2] | ToTheGreen | 2006.06.06 | 19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