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香仁 이은남
- 조회 수 3481
- 댓글 수 3
- 추천 수 0
사랑하는 여러분들에게.
먼저 바쁘신 와중에 저의 장례식에 참석해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이런 거 의례히 하는 인사말이라 안 할까 했는데 그래도 제가 워낙 이런 스타일이라 요것만 딱 한 말씀 올립니다. 내가 자기네 새끼들 결혼하고 뭐할 때 부조도 다 내고 그랬는데 안 오면 양심에 좀 찔리지.. 마 그렇다 치고, 본론 들어갑니다.
여러분, 어떻게, 다들 잘 들 지내십니까?
이런 물음엔 보통 그렇다고 고개를 끄덕이는 게 일반적이겠죠.
여러분, 저 없어져서 슬프십니까? 하하하……
이제 저 혼이 돼서 웬만한 뻥은 다 눈에 착 들어옵니다. 긴장들 하세요!
누가 오셨나? 으음 다들 그래도 저를 사랑하셨던 분들께서 많이 오셨네요.
거기 저쪽 분들 인상 좀 피세요. 어머,눈물까지 뽑아내며 오버하는 저 늙은 영감님들 고정하세요. 그대와는 이 생에서 연이 닿지 않았으니 그렇게 우시려거든 빨리 저를 쫓아오시던가 아니면 눈물 접고 제 장례식에서 소개팅이라도 받으시던가.. 그러시는 게 저에게 도움이 됩니다. 이 쪽에 괜찮은 할매들 많이 앉아있구먼유..
여러분, 드디어 저는 여러분들을 멀리에서 지켜보는 몸이 되었습니다. 몸이 아주 가벼워서 살 것 같아요. 살아 있을 때는 여기저기 아파서 죽을 꺼 같더니만 진짜 죽으니 이거 완전히 새털 같네요. 기분이 아주 좋습니다.
어떻게 음식은 입에 맞으세요? 장례식장 음식이 다 그렇죠 뭐. 술이나 좀 드시다 가세요.
한 잔만 하라는 거에요 뭐 몇 잔씩 마셔서 몸 축내지들 마시고.
여러분들 나이 생각하셔서 적당히 들 하세요.
너무 서두가 길죠? 제가 원래 좀 그렇잖아요. 자 인제 본론 들어갑니다.
혹시 여러분들 박 경리의 표류도란 소설을 아세요?
제가 어렸을 때 아버지 책을 훔쳐본 건데.. 이거 사실 약간 성인용인데 히히 중학교 땐가 그걸 보게 됐어요. 좀 가물가물 한데 제가 기억하기론 분명 주인공 이름이 이 상현이고 여자는 강 현회였던 걸로 기억이 나요.
그거 그때 무지 재밌게 봤어요. 지금 생각하면 별 것 도 아닌데 약간 에로틱하고 그래서 좀 그랬죠..그래서 아부지 몰래 살짝 보고 다시 책꼿이에 몰래 꽂았넣었지요.
근데 거기서 참 그럴 듯한 말을 하더라구요.
인생은 표류도다. 사람은 다 떠내려 가는 섬이고 우리는 물줄기가 같아서 같이 떠내려가고 있다고, 그러다 물의 흐름이 바뀌면 서로 다른 데로 가기도 하고 또 어떤 섬은 그 자리에서 가라 앉기도 하고 , 그러다 다른 섬을 보내고 또 그러다 흐름이 같아지면 다시 만나기도 한다구…그러더라구요. 제가 그때가 중학생이었는데 그 말이 그렇게 와 닿았어요.
우린 그렇게 만났다 헤어졌다 기억하다가 잊혀지다가 또 만난다는 그런 말들이 참 어린 가슴에 남더라구요.
여러분.
저는 여러분들과 그렇게 만나고 헤어지다, 또 만났었고 오늘 다시 제 장례식에서 이렇게 만났습니다. 이제 저 세상에서 또 만나겠지요. 아 참 행복하네요. 그리웠던 여러분을 이 자리에서 다시 만나 뵙고 마지막 인사를 드릴 수 있어서 정말 고맙고 항상 그랬듯이 저는 참 행복하게 잘 살다 갑니다. 마지막으로 여러분들께 진정한 작별을 고합니다.
여러분, 사랑했습니다. 그리고 혼이 되어서도 사랑하겠습니다.
이제 다시 그 폼 나는 인사로 마감해야 될 듯싶습니다.
여러분,
여러분도 바쁘시겠지만 저도 바쁠 거에요. 새로운 세상에 적응해야 할 테니까요.
제가 보고 싶으시더라도 너무 자주 저를 찾지 말아주세요. 저도 거기서 놀꺼리도 찾아보고 연애도 하고 그 동안 책 속에서만 만났던 사람들도 만나봐야 하니까요.
여러분들 오실 때쯤 마중 나가드리겠습니다. 너무 착하게 살다 오신 분들은 어쩜 급이 달라 방이 다를 수도 있어요. 그런 줄 아시고 적당히 사시다 오십시오
오늘은 즐거운 이벤트처럼 그렇게들 드시다 가주셨음 좋겠어요.
그럼 깔끔하게 마무리 된 걸루 알고 저는 편히 갑니다.
다들 안녕히들 계십시오.
참 저의 묘비명이랄까 화장터의 비에는 이렇게 써 주십시오.
실은 “내 우물쭈물 하다가 이럴줄 알았다” 라고 쓰고 싶은데 어떤 아저씨가 벌써 이렇게 쓰셨더라구요, 할 수없이 저는 이렇게 써야 할 것 같아요.
“엔간히 잘 놀았다. 저 세상으로 놀러 가니 그런 줄 알도록”
IP *.48.44.248
먼저 바쁘신 와중에 저의 장례식에 참석해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이런 거 의례히 하는 인사말이라 안 할까 했는데 그래도 제가 워낙 이런 스타일이라 요것만 딱 한 말씀 올립니다. 내가 자기네 새끼들 결혼하고 뭐할 때 부조도 다 내고 그랬는데 안 오면 양심에 좀 찔리지.. 마 그렇다 치고, 본론 들어갑니다.
여러분, 어떻게, 다들 잘 들 지내십니까?
이런 물음엔 보통 그렇다고 고개를 끄덕이는 게 일반적이겠죠.
여러분, 저 없어져서 슬프십니까? 하하하……
이제 저 혼이 돼서 웬만한 뻥은 다 눈에 착 들어옵니다. 긴장들 하세요!
누가 오셨나? 으음 다들 그래도 저를 사랑하셨던 분들께서 많이 오셨네요.
거기 저쪽 분들 인상 좀 피세요. 어머,눈물까지 뽑아내며 오버하는 저 늙은 영감님들 고정하세요. 그대와는 이 생에서 연이 닿지 않았으니 그렇게 우시려거든 빨리 저를 쫓아오시던가 아니면 눈물 접고 제 장례식에서 소개팅이라도 받으시던가.. 그러시는 게 저에게 도움이 됩니다. 이 쪽에 괜찮은 할매들 많이 앉아있구먼유..
여러분, 드디어 저는 여러분들을 멀리에서 지켜보는 몸이 되었습니다. 몸이 아주 가벼워서 살 것 같아요. 살아 있을 때는 여기저기 아파서 죽을 꺼 같더니만 진짜 죽으니 이거 완전히 새털 같네요. 기분이 아주 좋습니다.
어떻게 음식은 입에 맞으세요? 장례식장 음식이 다 그렇죠 뭐. 술이나 좀 드시다 가세요.
한 잔만 하라는 거에요 뭐 몇 잔씩 마셔서 몸 축내지들 마시고.
여러분들 나이 생각하셔서 적당히 들 하세요.
너무 서두가 길죠? 제가 원래 좀 그렇잖아요. 자 인제 본론 들어갑니다.
혹시 여러분들 박 경리의 표류도란 소설을 아세요?
제가 어렸을 때 아버지 책을 훔쳐본 건데.. 이거 사실 약간 성인용인데 히히 중학교 땐가 그걸 보게 됐어요. 좀 가물가물 한데 제가 기억하기론 분명 주인공 이름이 이 상현이고 여자는 강 현회였던 걸로 기억이 나요.
그거 그때 무지 재밌게 봤어요. 지금 생각하면 별 것 도 아닌데 약간 에로틱하고 그래서 좀 그랬죠..그래서 아부지 몰래 살짝 보고 다시 책꼿이에 몰래 꽂았넣었지요.
근데 거기서 참 그럴 듯한 말을 하더라구요.
인생은 표류도다. 사람은 다 떠내려 가는 섬이고 우리는 물줄기가 같아서 같이 떠내려가고 있다고, 그러다 물의 흐름이 바뀌면 서로 다른 데로 가기도 하고 또 어떤 섬은 그 자리에서 가라 앉기도 하고 , 그러다 다른 섬을 보내고 또 그러다 흐름이 같아지면 다시 만나기도 한다구…그러더라구요. 제가 그때가 중학생이었는데 그 말이 그렇게 와 닿았어요.
우린 그렇게 만났다 헤어졌다 기억하다가 잊혀지다가 또 만난다는 그런 말들이 참 어린 가슴에 남더라구요.
여러분.
저는 여러분들과 그렇게 만나고 헤어지다, 또 만났었고 오늘 다시 제 장례식에서 이렇게 만났습니다. 이제 저 세상에서 또 만나겠지요. 아 참 행복하네요. 그리웠던 여러분을 이 자리에서 다시 만나 뵙고 마지막 인사를 드릴 수 있어서 정말 고맙고 항상 그랬듯이 저는 참 행복하게 잘 살다 갑니다. 마지막으로 여러분들께 진정한 작별을 고합니다.
여러분, 사랑했습니다. 그리고 혼이 되어서도 사랑하겠습니다.
이제 다시 그 폼 나는 인사로 마감해야 될 듯싶습니다.
여러분,
여러분도 바쁘시겠지만 저도 바쁠 거에요. 새로운 세상에 적응해야 할 테니까요.
제가 보고 싶으시더라도 너무 자주 저를 찾지 말아주세요. 저도 거기서 놀꺼리도 찾아보고 연애도 하고 그 동안 책 속에서만 만났던 사람들도 만나봐야 하니까요.
여러분들 오실 때쯤 마중 나가드리겠습니다. 너무 착하게 살다 오신 분들은 어쩜 급이 달라 방이 다를 수도 있어요. 그런 줄 아시고 적당히 사시다 오십시오
오늘은 즐거운 이벤트처럼 그렇게들 드시다 가주셨음 좋겠어요.
그럼 깔끔하게 마무리 된 걸루 알고 저는 편히 갑니다.
다들 안녕히들 계십시오.
참 저의 묘비명이랄까 화장터의 비에는 이렇게 써 주십시오.
실은 “내 우물쭈물 하다가 이럴줄 알았다” 라고 쓰고 싶은데 어떤 아저씨가 벌써 이렇게 쓰셨더라구요, 할 수없이 저는 이렇게 써야 할 것 같아요.
“엔간히 잘 놀았다. 저 세상으로 놀러 가니 그런 줄 알도록”
댓글
3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569 | 텃밭에 모종심기....기적의 흙마당 [3] | 김나경 | 2007.04.05 | 2418 |
1568 | [26] 빠꾸 도! (사량도와 중년의 그녀가 빚은 솔잎막걸리) [4] | 써니 | 2007.04.05 | 2869 |
1567 | 재능찾기 도구 - 갤럽의 StrengthsFinder [6] | 이기찬 | 2007.04.05 | 3639 |
1566 | <01>마음엽서..풍경이 바라 본 마음 [8] | 이은미 | 2007.04.04 | 1927 |
1565 | 풍류를 아는 것 [11] | 김귀자 | 2007.04.04 | 2183 |
1564 | 어제 책을 받고 [5] | 초심 | 2007.04.04 | 2313 |
1563 | 서른살, 죽음 앞에서 [8] | 옹박 | 2007.04.03 | 2239 |
» | 장례식 연설 [3] | 香仁 이은남 | 2007.04.03 | 3481 |
1561 | Retreat [3] | 우제 최정희 | 2007.04.03 | 2336 |
1560 | 어느 청년, 죽음을 갈망하다~! [3] | 賢雲 이희석 | 2007.04.03 | 2174 |
1559 | 전략탐색 & 전술운영 [2] | 백산 | 2007.04.03 | 2047 |
1558 | 장례식 스피치 [3] | 海瀞오윤 | 2007.04.03 | 2090 |
1557 | 마지막 5분 [4] | 香山 신종윤 | 2007.04.03 | 1978 |
1556 | 삶의 마지막을 앞두고 [3] | 好瀞 | 2007.04.03 | 1958 |
1555 | 적당히 했어야지~ [번외편] [3] | 신종윤 | 2007.04.03 | 1951 |
1554 | 삶과 죽음의 어울림 [2] | 余海 송창용 | 2007.04.02 | 2153 |
1553 | (004)내 삶의 마지막 인사 [3] | 교정 한정화 | 2007.04.02 | 2090 |
1552 | [4] 아름다운 삶을 위하여(남기고 싶은 마음 ) [4] | 써니 | 2007.04.02 | 2131 |
1551 | 다음 번에 스승님 만나뵈면... [3] | 백산 | 2007.04.02 | 2008 |
1550 | (칼럼004)내 장례식에 참석한 조문객들을 위한 인생에서의 마지막 5분 연설 [5] | 素田최영훈 | 2007.04.02 | 2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