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한정화
  • 조회 수 2087
  • 댓글 수 12
  • 추천 수 0
2007년 4월 16일 13시 58분 등록
'맛있게 먹지 못할 거면 차라리 굶겠다.
어차피 배고픈데 좀더 배고프면 어떠랴!'
하는 오만함에 제대로 먹지 않아 영양실조에 걸린 나를 몇가지 따뜻한 죽을 쑤어주어 건강하게 되살린 요리사를 따라서 여행을 하게되었다. 그게 내가 사부님을 따라나선 사연이다.

따라다니다 보면 맛난 거 먹을 수 있겠다는 생각도 있었고, 먹는 문제는 중요하니 내개 제대로 해서 먹어보자는 것도 있었고, 어쨌든 굶어 죽는 것은 할 수 없어 이런저런 이유로 여행에 끼워달라고 졸랐다.

사부님을 따라 여행을 하면서 여러 요리사를 만났고, 또 그들이 심혈을 기울여 만든 갖가지 요리를 먹게 되었다. 그동안 내가 만난 요리사들은 이러하다.

첫 번째 만난 요리사는 에릭 홈스봄이라는 80을 넘은 유럽의 할아버지였다. 이 할아버지가 해준 요리는 바게트 빵이었다. 처음엔 아무런 맛을 느낄 수가 없었다. 입안에 넣고 오랫동안 있었을 때, 특유의 단백한 단맛이 났다. 오히려 밍밍해서 싼듯한 빵이었다. 이 할아버지 빵을 먹다가 이 할아버지에게 홀딱 반했다.

두 번째 먹은 요리는 사부님이 해주신 요리였다. 우리 재료를 가지고 만든 것이었다. 전에 먹어 본 익숙한 것들로 만든 것이었다. 그런데, <<코리아니티>>란 이 요리는, 씹기 힘들었고, 먹는데 부담감 100배였다. 사부님에게 요리를 배우고자 하는 마음에 따라 나선 길인데, 자신이 하신 요리 맛이 어떤지 물으실 건 때 뭐라 해야되나 그거 생각하다가, 먹는 것 자체를 즐길 수가 없었다. 맛이 어떤지 제대로 알아내보고자, 잘 먹어보고자 욕심 부린 까닭에 먹고는 언쳤다. 통째로 모두 먹어봐야 음식 맛을 안다고, 덤빈 탓이다. 부분 부분 모두 맛보고 싶어서 꼭 꼭씹어서 여러개를 먹었다. 그게 탈이었다. 과욕이 언치게 한 것이었다.

여행 중 세 번째 만난 요리사는 조앤 시울라라는 미국의 요리사였다. 그녀의 요리는 특이했다. 뷔페였는데, 단 한가지 재료를 사용해서 이 세상에서 그것 가지고 나올 수 있는 요리는 다 갖다 모았다고 할 만큼 여러 가지를 만들어냈다. 그녀가 사용한 재료는 ‘일’이었다. 고대 그리스 사람, 아리스토텔레스가 만든 ‘일 요리’를 시작으로 수를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양이었다. 그녀는 아마 그 요리 분야의 최고의 요리사일 것이다.
조앤의 요리를 보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서 요리되어진 ‘일’을 보면서 ‘일이 뭐냐?’를 질문해보지 않을 수 없었다.

여행 중 만난 네 번째 요리사는 알랜 치넨이란 할아버지였다. 할아버지라고 하기엔 너무 젊은가. 그는 요리하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해주었다. 꼭 엄마 옆에서 뭘 함께 만드는 기분이었다. 엄마는 날 옆에 두고, 자기 삶의 이야기를 곧잘 하곤 하셨다. 엄마의 이야기는 나이 어린 내가 이해할 수 없는 것도 있었고, 때로는 나도 어른이 되면 저래야지 하는 것들이었다. 알랜의 이야기도 그랬고, 요리도 그랬다. 알랜은 ‘인생’이란 코스요리를 해주었는데, 첫 번째 코스는 솔직히 먹고 싶지 않았다. 이후에 먹게될 요리를 제대로 별탈없이 먹게할 약간 쓴맛이 나는 약같은 요리였다. 요리 중에도 안 먹고 싶은 것도 있는 거다. 결국은 먹었다. 알랜이 반드시 먹어야 하는 것이라고 했다. 먹을 것을 기억하라고 했는데, 내가 나중에 그 요리를 또 먹게 되면 그것을 기억할 수 있을까? 알랜이 해준 인생이란 요리는 뒤쪽코스로 갈수록 앞에 먹었던 것보다 훨씬 맛있었다. 안타깝게도 이 맛있는 요리는 더 나이들어야 할 수있는 요리란다. 내가 나중에 하게될 '인생'이란 요리도 이렇게 황홀한 맛일까?

다섯 번째 여행지에서 만난 요리사는 샤프하고 힘이 넘쳐 보이는 콧수염의 아저씨였다. 제레미 리프킨이라는 요리사였는데, 그는 회 요리를 선보였다. 맛나게 먹기 위해 살짝 차게 해주었다. 입안에 넣은 후에 혀끝으로 느껴지는 차가움. 초장을 듬쁙 찍어먹고, 와사비장도 찍어 먹었다. 초장맛이 너무 강해서 생선 특유의 맛을 놓쳤다. 그의 요리는 맛있다는 소문을 익히 들었던 지라 기대가 컷었는데...... 소문이란 초장없이 먹었어야 했었다. 초장때문에 회 제대로 맛 못보았고 하면 사람들이 바보라고 놀릴 거다.
그 맛있다는 회요리를 제대로 못먹은 이유가 무엇보다도 그가 요리할 때 재료로 준비된 물고기들의 눈을 보고야 말았다는게 식욕을 떨어뜨린 것일까? 아, 그러면 안되는 데, 그녀석들 눈 말똥말똥 뜨고, 입 끔벅끔벅하는 것을 본 그 잔상이 남아서, 제레미가 해준 요리를 맛나게 먹을 수 없었다. 제레미를 만나기 전날 밤 내가 물고기가 되어 낚시대에 입이 꿰어져 이저 저도 못하고 땀을 뻘뻘흘린 꿈을 꾸지만 않았서도 그 회요리를 잘 먹을 수 있었을텐데.... 에이 이런저런 핑계대지 말자. 어차피 나는 찬 음식 못먹는다. 먹으면 탈난다. 찬음식 먹을 준비가 안되었었다고 해두자.

그러고 보니, 유명한 요리사들이 해준 요리를 제대로 먹지 못했구나. 안타깝다. 아직 뭘 어떻게 먹을지 몰라서그러는 것이라고 하기엔, 많은 요리를 제대로 못 먹은 기분이다.

스승님과 지금 먹고 있는 요리는 털개요리다. 앨빈 토플러라는 할아버지가 해준 것이다. 먹는데 시간 많이 걸린다. 다른 녀석들은 벌써 후닥닥 먹었는데, 나는 이제 겨우 게딱지 따내고 살 파먹고 있다. 통째로 먹는다고 쇠젓가락 굵기만한 털개다리 분질러 속을 파고 빨아대고 있다. 모든 부위 제대로 통째로 모두 먹고 싶다는 욕심에 겨우 한 마리 들고 낑낑대며 먹고있다. 같이 온 다른 놈들은 벌써 여러마리 먹었는데.

털개요리 먹고 벌써 그 요리 해놓은 녀석이 있다. 요리 잘하는 요리사는 혀가 눈이라, 한번 먹어 본 것은 뭘써서 어떻게 만들어 냈는지 알려주지 않아도 금방 알아차리고 웬만큼 만들어 낸다.
또 다른 한 녀석은 처음엔 반죽한다고 밀가루 뒤집어쓰고 부엌을 난장판으로 만들기를 여러번 하다가 이제는 제법 맛난 푸딩을 만들어낸다. 또 한 녀석은 칼 다루는 솜씨가 좋아서 재료를 제대로 썰어내니, 만들어 놓은 음식이 고루 잘 익어 먹을 만하게 맛있다..

내게도 그런 한 두가지의의 능력이 있었으면.
아니 우선 제대로 먹을 수 있었으면......

이런 내 맘을 앨빈 할아버지는 아셨는지 어깨를 두드려주며 위로해 주신다.
“모든 사람이 다 똑같은 요리만 좋아하면다면 맛있고, 맛없고가 중요하겠지만, 모두 한가지만 좋아하는 건 아니다. 그리고, 제각각이 모두 다른 요리를 만들텐데... 너도 네 요리를 하면 된다.”

사부님도 옆에서 한말씀해주신다.
'먹는 사람 기쁜 요리 좋다. 그렇지만 하는 너도 기쁜 그런 너만의 요리 해보자.'
IP *.72.153.12

프로필 이미지
종윤
2007.04.16 13:55:38 *.227.22.57
오호~ 이렇게 멋지게 비유로 묶어내다니~ 읽는 내내 미소가 지어지고 즐거웠습니다. 특히 제레미 리프킨 부분 읽으면서 '노동의 종말'을 읽고 괴로워하던 정화님이 떠올라서 웃었습니다.

그러게요. 만드는 사람도 기쁜 요리를 만들어 봅시다~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07.04.16 14:20:26 *.70.72.121
4월은 아무래도 상사병 나는 달인가 보다. 정화 애썼네.
프로필 이미지
김도윤
2007.04.16 14:25:26 *.249.167.156
재미있다. 마음이 느껴진다. 가슴을 울리는 것이 아니라, 사르르 녹인다. 책의 맛이 느껴지는 봄바람같다.

정화누나, 잘 읽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인애
2007.04.16 14:30:47 *.92.200.65
남이 만들어 놓은 요리를 먹는 기쁨은 어릴때나 지금이나 이루 말할 수 없이 기분이 좋습니다. 내가 만들 수 없는 것을 대신해서 맛볼 수 있으니깐요.

그런데 결혼 후 늘어나지 않는 요리 솜씨를 보고 좌절을 하게 되고
되려 이 길은 내 길이 아닌가 봐하고 피하기만 하는 저를 보고 있답니다. 남에게 의존해서 얻어 먹는 기쁨도 그리 오래가지 않구요.

요즘 좋은 칼럼을 많이 보지만 기쁨은 잠시랍니다.
난 왜 이글을 쓰지 못할까....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데
정화님도 매주 이런 글을 써내시느라 참 애쓰는거지요.

와 하고 모두 집어가는 그 요리를 위해 요리여행을 즐깁시다.



프로필 이미지
송창용
2007.04.16 14:40:24 *.99.120.184
색다른 요리 잘 먹고 갑니다.

이런 멋진 재료들은 다 어디서 구하는지 궁굼하네.
다음에도 맛있는 요리 부탁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최영훈
2007.04.16 14:52:16 *.99.241.60
참신합니다. 새롭네요.
털게는 원래 와드득 껍질째 씹어먹는것이 제 맛인것 같은데요.
그리고 담에 만나면 맛있는 요리 먹어요...
잘 읽고 갑니다.
프로필 이미지
옹박
2007.04.16 16:36:48 *.218.205.128
어떻게 이런 주제로 글을 쓸 생각을 했을까?
ㅎㅎ 통통 튄다. 꿈의 학교 아이들은 어떤 녀석들일까?
프로필 이미지
주명훈
2007.04.16 20:45:28 *.126.46.122
제가 먹어 보지 못한 요리가 많아 읽는 내내 군침을 삼켰습니다.
저는 언제쯤 맛있는 요리를 제대로 음미하며 먹을 수 있을까요...
일단 훌륭한 요리사들을 열심히 찾아 다녀야겠습니다.

저는 언제쯤 이런 맛깔스러운 글을 쓸 수 있을지...
재미있고 유익하게 잘 읽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소라
2007.04.17 02:33:24 *.103.132.133
오호~~ 언니.. 정말 언니색깔이 듬뿍..
에구 침나와~~
프로필 이미지
부지깽이
2007.04.17 05:55:22 *.128.229.88
정화, 남해에서 돌아오는 버스 안에서 추던 소리 춤이 여전히 이어지네. 생각의 시각화, 생각의 소리화, 생각의 맛화, 모두 감각적이다. 봄 바람 지나고 따뜻해 졌으니 어깨 허리 모두 펴고 다니는가 ? 다음 겨울엔 추위의 육체화는 하지 않는 쪽으로 고려해 보아라.
프로필 이미지
한정화
2007.04.17 08:20:23 *.72.153.12
지금도 열심히 먹고 있습니다. 고.구.마.
먹고 힘내고, 먹고 힘내고. 먹고나서 한잠 자고 나서 크고. 먹고 크고.
먹고 운동하고. 먹고 싸우고. 먹고 울고. 먹고 웃고, 먹고 날아다니고. 정말 잘 먹고 싶습니다.

운동도 열심히 하고 추위는 떨쳐버릴께요.

추위와 배고픔은 꼭 외로움과 같이 오더라구요. 꼭 3박자야. 겨울 되기전에 늑대목도리도 하나 구하려고 하는데, 어디서 구하는지 좀 알려주세요.

프로필 이미지
늑대목도리
2007.04.17 17:39:51 *.128.229.88
늑대 목도리를 만들려면 늑대를 적어도 한 마리 잡아야지. 털 많고 잘 생긴 사내 늑대 한마리 친친 감고 다니시게나.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99 영화 유통에 대한 단상 file [1] 강현 2013.10.02 2066
1998 [버스안 시 한편] 스미다 정야 2014.08.30 2066
1997 [3] 시작의 끝(the end of the beginning) [2] 홍승완 2005.04.10 2067
1996 여행과 시 - 몽골 이야기 구본형 2004.08.03 2068
1995 [58] 사랑앓이 [17] 써니 2007.11.23 2068
1994 [8기 연구원지원] 1주차칼럼 –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펄펄 2012.02.19 2068
1993 사랑이란 이름의 책 (노년) [6] 김용빈 2008.03.24 2071
1992 OFF수업 7월, 나를 만들어 온 경험들(수정본) [7] 윤인희 2010.07.13 2071
1991 그 남자 간스끄 - 몽골 로맨스 [1] 구본형 2004.08.03 2072
1990 첫번째로 화해를 하였는데요... [2] 김신웅 2011.11.23 2072
1989 딸기밭 사진편지 55 / 청첩장 file [1] 지금 2010.07.16 2074
1988 명량해전처럼 준비해 승리하고픈 분 없나요? [8] 희망빛인희 2013.11.19 2074
1987 [영원의 시 한편] 가을 정야 2014.10.23 2074
1986 [버스안 시 한편] 치자꽃 설화 정야 2014.09.02 2075
1985 -->[re]견우와 직녀 [4] 용성이 2003.08.08 2076
1984 4박5일의 44번국도를 따라 도보여행 길(道)의기원 2005.08.07 2076
1983 딸기밭 사진편지 73 / 여름이야기 file 지금 2010.08.13 2076
1982 [0011]마지막 한 순간까지 - 용혜원 [3] 햇빛처럼 2011.01.02 2076
1981 [영원의 시 한편] 세 송이의 꽃 정야 2014.11.18 2076
1980 유기적관계의행복이 넝쿨째 만들어지는 과정 [1] 사랑의기원Report6 2005.02.13 2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