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다뎀뵤
  • 조회 수 2096
  • 댓글 수 9
  • 추천 수 0
2007년 5월 18일 07시 35분 등록
나는 충분히 힘들고 외로웠다. 누구와 함께하든 온전히 내 속내를 드러내지 못한 채 답답함은 점점 내 마음의 벽을 두텁게 보태갔다. ‘그들’ 또한 꼭 그 두께만큼 떨어져 내 안으로 자리잡지 못하고 빙빙 겉돌았다. 사람들이 내 말을 못 알아 듣는 것 같아, 나를 알아주지 않는 것 같아 더욱더 많은 말을 했다. 그럴수록 공허함은 더했고, 웃고난 뒷맛은 씁쓸했다. 나에 대해 잘 아는 사람들과의 관계가 불편해지기 시작했다. 모른척 해 주었으면 더 좋을 일을 끄집어내어 나와 이야기거리를 만들어 내려 애쓰는 ‘그들’의 모습이 안쓰럽다가 짜증이 나다가 그랬다. 많은 말을 하고, 많은 사람들을 만나며 즐겁게 지내는 것처럼 보였지만 내 마음은 동상처럼 딱딱히 굳어 가고 있었다.
정작 누군가에게라도 털어놔야 풀릴 것 같은 문제들 앞에서 눈물이 났다. 누군가와 나누고 싶었고, 그 사람에 의해 뒤틀린 내 속내가 조금이라도 풀리기를 나는 꿈꾸었다. 나는 끊임없이 마음 둘 곳을 찾아 헤매다 지쳐 잠이 들기를 반복했다.

스스로 외로운 인간이 되고 싶었다. 어느 누구와도 온전히 소통할 수 없음을 받아들이고, 혼자 할 수 있는 일들을 찾아 다녔다. 끊임없이 혼자서 대화하는 법을 익히며 고립되기 위해 노력했다. 핸드폰을 잘 받지 않는 사람으로 공공연히 알려졌고, 매번 못 간다는 연락도 없이 모임에 나타나지 않는 나를 사람들은 더 이상 부르지 않았다. 같이 웃으며 놀다가도 쉽게 짜증을 내며 돌아섰다. 사람들과의 단절을 고하는 지점에서 이상한 희열을 느꼈다.
그렇게 이유도 모른 채, 반항 비슷한 일들을 저질러 놓는 나를 두고 사람들은 끌어안거나 사랑할 사람이 없어서 그런 것이라는 진단을 내려 주었다. 애인을 만들어야 벗어날 수 있는 일이라 했다. 그리고는 주변의 인맥을 동원하여 짝을 맺어주기 위해 노력했다. 고마웠다.
하지만, 나는 오늘 이런 나의 돌출 행동들이 전혀 다른 곳에 원인이 있음을 알았다. 평소에 내가 좋아하던 언니가 소개팅을 시켜줄 수 없어 미안하다며 애인 없이도 스스로를 치유 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알려 주었다. 그리고, 나에게 사랑할 한 사람을 찾기 보다는 다양한 관계 속에 놓일 것을 주문했다. 엉뚱하게도 그 주문 앞에서 온 마음과 마디마디의 힘 탁 풀려버렸다. 그리고 비로소 나는 알아차릴 수 있었다. 내가 그토록 드러내고자 한 속내가 [관계 속의 버거움]이었음을. 잠시도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나는 너무나 다양한 역할 속에서 지쳐가고 있었다. 어느 한 곳에서도 온전히 나로 서 있지 못하고 항상 누군가의 무엇으로 존재했다. 너무도 촘촘하고 복잡해져버린 인간 관계 속에서 나는 힘들었다.
가끔 화를 내고 싶었고, 울고 싶었고, 멈추고 싶었고, 주저 앉고 싶었고, 아무 말 하지 않은 채 앉아있고 싶었다. 그러나 나의 이러한 욕망은 한번도 제대로 표현되지 못했다. 참았고, 웃었고, 계속 했고, 많은 말을 했다. 그것이 ‘그들’과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 생각했다. 내 안의 칭얼대는 어린 아이를 보듬을 시간을 갖지 못한 채 ‘그들’만을 위한 내가 되었다. 보채다 지친 내 안의 아이는 적절하지 못한 순간에 삐뚤어져버린 모습으로 터져나왔다. 어긋난 상태로 함께였던 나는 혼자 서 있는 방법을 몰랐다. 혼자 있어야 하는 시간을 찾지 못했던 나는 모든 마음을 내려 놓는 순간에 무너졌다. 함께하지 못하고 혼자 외로웠다.

스스로를 보듬어주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난 후부터 ‘그들’을 내 안으로 기꺼이 들여 놓을 수 있게 되었다. 내 안의 아이는 ‘그들’을 받아 들일 수 있는 적절한 순간을 허락해 주었다. 그래서 내가 힘들고 누군가에게 내 마음을 풀어 놓고 싶을 때는 기꺼이 누군가를 찾아가 꺽꺽 울어댈 수 있는 마음도 나에게는 생겼다.
누군가의 무엇이 아닌 온전히 나로써 설 수 있을 때 ‘그들’ 앞에서의 역할 또한 잘 해 낼 수 있다. 혼자 있는 시간이 편안해 지고 나면 다른 사람을 더 힘껏 끌어 안을 수 있다. 혼자 있는 시간은 ‘견뎌내야 하는 시간’이 아니라 ‘즐기고 빠져들어야 하는 시간’이다. 혼자 걸어가는 시간이 언제까지나 외롭지만은 않을 것이라는걸 이젠 알겠다. 쓸쓸하다는 느낌이 반갑다.

IP *.6.39.21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07.05.18 09:30:33 *.75.15.205
사도 바울이 예수를 믿기 전과 예수를 믿고 난 후가 아주 달랐다고 합니다. 예수를 믿기 전에 그는 아주 난폭하고 교만하여 심지어 자기를 따르라고하며 자신을 신적(인간적인가?- 인간이기에...)으로 대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예수를 믿고부터는 말씀에 순명하고 일생을 헌신하며 결혼도 하지 않고 오롯이 살았다고 합니다. 사람마다 깨우치는 시기와 꽃을 피운는 시기가 다 다를 것으로 여겨집니다. 우리는 경쟁을 통해서 배우러 모였고 그가 비로서 자신의 길을 갈때 박수를 쳐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비오는 오늘 당신의 글이 정겹습니다. 사랑해요. ^-^
프로필 이미지
재동
2007.05.18 09:58:06 *.219.66.78
미영의 정감어린 글 오랜만에 보니 좋네
프로필 이미지
꿈꾸는간디
2007.05.18 10:11:21 *.200.97.235
다뎀뵤님 홧팅입니다. 얼굴 뵌지도 오래되서 잊어 버리겠어요^^ 물론 제가 행사를 이래 저래 못참석해서지만^^
프로필 이미지
명석
2007.05.18 10:45:18 *.209.121.88
나는 이제껏, '누군가의 무엇'이 되고 싶은 적이 한번도 없었다. 아, 저 사람은 저렇구나, 나랑 다르다, 어떻게 저럴수가 있지? 못말리는 관찰벽은 사람을 내 안에 들여놓지 못한다는 징표였다.

나는 이제 '누군가의 무엇'이 되고 싶다. 구본형사단의 다크호스가 되고싶고, 나잇값 못하는 연구원이 되고 싶고, 촐촐할 때 술 한 잔 할 수 있는 술친구가 되고 싶고, 미영이의 언니가 되고 싶다.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07.05.19 19:20:44 *.131.127.120
무어라고 쓰고 싶은 말이 머리 속에 넘치는데
막상 쓸려고 하니 쓸수 있는 말이 없군요...
글이 참 좋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오리쌤
2007.05.20 00:19:29 *.207.221.12
(쯧쯧쯧... ㅠㅠ 휴우~~ ㅠㅠ........으째 그라냐...
평생 결혼하기 힘들 것 같다. 으째 느끼고 생각하는게 나랑 똑같냐)..라고 오리쌤은 생각했습니다..... 그저 분투하시길 바랍니다.
천상천하 유아독존 - 하늘에 기대지도 사람에 의지하지도 말라. 스스로 존귀하게 할 이 오직 자신뿐이니.
프로필 이미지
부지깽이
2007.05.20 05:45:03 *.128.229.10
그날, 네가 없어서 섭섭했다. 아마 재동이 몇개의 사진을 올릴 지 모르겠다. 그러면 보아라. 승완이 남해에서 떼고 난 다음에, 눈물이 더 많아 진 것 같다. 네가 그걸 봤어야 했는데. 뱅곤이는 끝날 때 쯤 오더니 노래 부터 한곡 했다. 영혈남아 오옥균이 멀리 포항에서 올라 왔다. 요한은 더 예뻐지고, 자로는 말이 앞만 보도록 하기 위해 달아주는 옆가리개 같은 검은테 안경을 쓰고 왔다. 재동이 풀륫 솜씨는 일취월장하는구나. 세나는 무지 바뻐서 그런지 눈이 좀 부어 있었다. 그날 또 다른 미영이는 아주 예뻤다. 기분이 아주 좋다 했다. 다음에는 빠지지 말거라.
프로필 이미지
귀한자식
2007.05.20 13:11:47 *.109.225.192
미투~언니가 오길 기다렸는데..
언니의 눈썹올라간 환한 웃음을 보고 싶었는데 말이지.
나는 그냥 언니가 보고싶다.
프로필 이미지
방콕
2009.09.04 21:25:11 *.61.25.173
부럽삼  난 멀쩡하다가도 한 번씩 미티겠는디

만나도 불편하고 혼자 있어도 괴롭구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19 어떤 부자 [1] 구본형 2005.09.04 2103
1918 예비 9기님들, 3월 4일 놀러오세요~~ ^^ [10] 선형 2013.03.01 2103
1917 [버스안 시 한편] 자리 짜는 늙은이에게 술 한잔을 나누고 정야 2014.09.27 2103
1916 나에게 신화란 무엇인가 [7] 박미옥 2010.02.15 2104
1915 박남준 시인을 만나고 와서, 배우고 익히면서 사는 힘든 과정 file [11] 윤인희 2010.04.06 2104
1914 [칼럼 11] 부처님 오신 날에 [1] 신진철 2010.05.16 2104
1913 [002]침묵 - 백무산 [1] 햇빛처럼 2012.10.20 2104
1912 점(占)의 근원 [4] 초아 서대원 2007.01.02 2105
1911 사람에게 배운다는 것 (추기경님의 가르침) [7] 심신애 2009.03.02 2105
1910 딸기밭 사진편지 48 / 생일날 file [5] 지금 2010.07.04 2105
1909 10기 레이스_죽음이란 무엇인가?_구해언 [10] 해언 2014.02.17 2105
1908 [오리날다] 내 사랑, 개코딱지 [2] 김미영 2010.02.05 2106
1907 이 가을 어른이 되다 file [3] 한명석 2010.11.21 2106
1906 눈물 [5] 햇빛처럼 2010.12.29 2106
1905 햇살에게 [17] 옹박 2007.04.16 2107
1904 새벽강에서 신진철 2010.06.27 2107
1903 나비의 하루-홈 갤러리와 함께 할 청년 작가들 file 태희 2010.07.05 2107
1902 매일쓰기12 : 지하철 승객을 위한 배려(정치법) [1] 인희 2010.07.26 2107
1901 [7기 레이스_2주차] 관계란 무한도전이다. [1] 미나 2011.02.28 2107
1900 [영원의 시 한편] 여행자를 위한 서시 정야 2014.10.18 2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