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종출
- 조회 수 2085
- 댓글 수 1
- 추천 수 0
성소(聖所)
아주 오래 전부터 조그만 내 서재를 갖고 싶었습니다. 몇 년에 걸쳐 준비하여 아주 작지만 서재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름도 지어 주었습니다. ‘춘우당(春雨當)’이라고 하였습니다.
일전에 고전을 읽다가 영감을 얻은 이름입니다.
봄비처럼 만물에 이로움이 있는 그런 의미인 것 같습니다.
책상 밑 바닥에는 아래의 글을 적어 두었습니다.
- 배움을 얻는다는 것 -
배움을 얻는다는 것은 다른 사람이 아닌
자기자신의 인생을 사는 것을 의미하다.
갑자기 더 행복해지거나 부자가 되거나
강해지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더 깊이 이해하고
자기자신과 더 평화롭게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아무도 당신이 배워야 할 것이 무엇인지
알려줄 수 있는 사람은 없다.
그것을 발견하는 것은 당신만의 여행이다. (인생수업 中에서)
아침을 시작하는 곳도 이곳일 때가 많고 하루를 마치는 곳도 이곳일 때가 많습니다. 이곳에서 꿈도 꾸고 좋아하는 음악도 듣고 가끔은 아내와 차를 한 잔 마시기도 하고 낮에는 어린 아들의 좋은 놀이터가 되기도 합니다.
이곳에 앉아 있으면 그냥 편안하고 좋습니다. 주말에 여유롭게 앉아 있으며 주중에 있었던 여러 가지 시끄러움이나 일상의 무게들이 여기에서 이유 없이 가벼워 질 때가 자주 있습니다. 어떤 때는 그냥 여기서 읽고 사유하는 것만 하고 싶은 충동을 느낄 때도 있습니다.
조셉 캠벨은 우리 삶이 지나치게 경제화, 실용화에 맞춰져 있어 우리에게 이런 장소나 시간을 가질 것을 이야기 합니다.
“우리에게는 여백, 혹은 여백 같은 시간, 여백 같은 날이 있어야 합니다. 그날 조간(朝刊)에 어떤 기사가 실려 있는지도 모르고, 친구가 누구인지도 모르고, 내가 남에게 무엇을 빚졌는지. 남이 나에게 무엇을 빚졌는지 모르는 그런 여백이 있어야 합니다. 바로 이 여백이야말로 우리가 무엇인지, 장차 무엇일 수 있는지를 경험할 수 있는 장소입니다. 이 여백이야말로 창조의 포란실(抱卵室)입니다. 처음에는 이곳에 있어도 아무렇지도 않습니다. 그러나 이곳을 성소로 삼게 되는 순간부터 여기에서 대단히 중요한 일이 일어납니다.”
아주 옛날 초원이 사냥꾼에게는 성소였고, 내 아버지에게는 농장(農場)이 성소였던 것과 같이 나에게는 지금 일하고 있는 일터나 일상이 성소처럼 느껴졌으면 좋겠습니다.
너무 이상적이고 높은 기준이며 도달하기 어려운 것일 수도 있습니다.
요즘 자주 퇴근하는 발걸음이 무거울 때가 있고 일상에 쉽게 지치고 피곤해지기도 합니다.
가장 큰 부분은 일상과 내가 분리되어 있고 같이 걸어가지 못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일상이 성소처럼 느껴질 수 있는 날을 오늘 조그만 내 성소에서 꿈꾸어 봅니다.
IP *.34.47.25
아주 오래 전부터 조그만 내 서재를 갖고 싶었습니다. 몇 년에 걸쳐 준비하여 아주 작지만 서재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름도 지어 주었습니다. ‘춘우당(春雨當)’이라고 하였습니다.
일전에 고전을 읽다가 영감을 얻은 이름입니다.
봄비처럼 만물에 이로움이 있는 그런 의미인 것 같습니다.
책상 밑 바닥에는 아래의 글을 적어 두었습니다.
- 배움을 얻는다는 것 -
배움을 얻는다는 것은 다른 사람이 아닌
자기자신의 인생을 사는 것을 의미하다.
갑자기 더 행복해지거나 부자가 되거나
강해지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더 깊이 이해하고
자기자신과 더 평화롭게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아무도 당신이 배워야 할 것이 무엇인지
알려줄 수 있는 사람은 없다.
그것을 발견하는 것은 당신만의 여행이다. (인생수업 中에서)
아침을 시작하는 곳도 이곳일 때가 많고 하루를 마치는 곳도 이곳일 때가 많습니다. 이곳에서 꿈도 꾸고 좋아하는 음악도 듣고 가끔은 아내와 차를 한 잔 마시기도 하고 낮에는 어린 아들의 좋은 놀이터가 되기도 합니다.
이곳에 앉아 있으면 그냥 편안하고 좋습니다. 주말에 여유롭게 앉아 있으며 주중에 있었던 여러 가지 시끄러움이나 일상의 무게들이 여기에서 이유 없이 가벼워 질 때가 자주 있습니다. 어떤 때는 그냥 여기서 읽고 사유하는 것만 하고 싶은 충동을 느낄 때도 있습니다.
조셉 캠벨은 우리 삶이 지나치게 경제화, 실용화에 맞춰져 있어 우리에게 이런 장소나 시간을 가질 것을 이야기 합니다.
“우리에게는 여백, 혹은 여백 같은 시간, 여백 같은 날이 있어야 합니다. 그날 조간(朝刊)에 어떤 기사가 실려 있는지도 모르고, 친구가 누구인지도 모르고, 내가 남에게 무엇을 빚졌는지. 남이 나에게 무엇을 빚졌는지 모르는 그런 여백이 있어야 합니다. 바로 이 여백이야말로 우리가 무엇인지, 장차 무엇일 수 있는지를 경험할 수 있는 장소입니다. 이 여백이야말로 창조의 포란실(抱卵室)입니다. 처음에는 이곳에 있어도 아무렇지도 않습니다. 그러나 이곳을 성소로 삼게 되는 순간부터 여기에서 대단히 중요한 일이 일어납니다.”
아주 옛날 초원이 사냥꾼에게는 성소였고, 내 아버지에게는 농장(農場)이 성소였던 것과 같이 나에게는 지금 일하고 있는 일터나 일상이 성소처럼 느껴졌으면 좋겠습니다.
너무 이상적이고 높은 기준이며 도달하기 어려운 것일 수도 있습니다.
요즘 자주 퇴근하는 발걸음이 무거울 때가 있고 일상에 쉽게 지치고 피곤해지기도 합니다.
가장 큰 부분은 일상과 내가 분리되어 있고 같이 걸어가지 못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일상이 성소처럼 느껴질 수 있는 날을 오늘 조그만 내 성소에서 꿈꾸어 봅니다.
댓글
1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009 | 졸업식, 꽃, 사진 그리고... (신화의 힘) [3] | 김용빈 | 2008.03.02 | 2149 |
2008 | (03)겉옷을 벗어 던졌으나 우주의 법칙은 버리지 않았다. [2] | 이한숙 | 2008.03.02 | 2078 |
2007 | (02) 동시성과 천복 [3] | 이한숙 | 2008.03.02 | 2101 |
2006 | 산티아고를 아시나요 [1] | 유인창 | 2008.03.02 | 2083 |
2005 | 작은 실천.힘을 얻는 자연 [1] | 손지혜 | 2008.03.02 | 2074 |
2004 | 다양성-미래를 보는 눈(365-56) [1] | 도명수 | 2008.03.02 | 2380 |
2003 | (01)나는 평생 하고 싶은 일을 해보지 못했다- 천복을 생각하며. [3] | 이한숙(소은) | 2008.03.02 | 2240 |
» | 성소(聖所) [1] | 강종출 | 2008.03.02 | 2085 |
2001 | 퇴근 후 인생 [1] | 최지환 | 2008.03.01 | 2273 |
2000 | 조셉 캠벨 - 아담과 이브 신화, 다시보기 [1] | 박중환 | 2008.03.01 | 3247 |
1999 | [79] ? | 써니 | 2008.03.01 | 2135 |
1998 | [칼럼001]변화와 영웅이야기 [2] | 양재우 | 2008.02.29 | 2001 |
1997 | 인디언의 관점을 배워보자 [2] | 이은미 | 2008.02.29 | 2126 |
1996 | 성인식을 준비하자!!! [6] | 박안나 | 2008.02.28 | 2310 |
1995 | 장미를 사다가 [3] | 한정화 | 2008.02.27 | 2147 |
1994 | 김형경의 「사람풍경」 읽던 중.. [6] | 신재동 | 2008.02.27 | 2116 |
1993 | 사회가 사람을 섬겨야 하지요 [5] | 홍현웅 | 2008.02.26 | 2056 |
1992 | 날개-상상력의 보고(365-50) [1] | 도명수 | 2008.02.24 | 2108 |
1991 | 2월 24일 지난 1년 [6] | 김나경 | 2008.02.23 | 2158 |
1990 | 나에게 보내는 문자메시지 [9] | 뱅곤 | 2008.02.23 | 2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