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현웅
- 조회 수 2222
- 댓글 수 4
- 추천 수 0
“모든 것에 거침없는 사람은 한 가지 길(道)로 나고 죽는다”
화엄경에 나오는 글귀를 삼국유사 책속에서 보았다. 모든 것에 거침이 없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그 사람은 한 가지 길로 나고 죽는다. 이러한 상황과 잘 들어맞는 글귀를 주역에서 보았다.
“궁즉변(窮卽變), 변즉통(變卽通), 통즉구(通卽久)”
배고품을 겪고 나서야 밥의 소중함을 안다. 소중함을 알고 행할 때 진정함은 더하리라. 그리고 그것은 스스로 그러해 내 몸에 꼭 맞는 옷처럼 잘 어울린다. 오래도록 입고 다닌다. 한 가지 길(道)로 나고 죽는다는 것이 이러한 과정의 결실이 아닐까 생각 해본다. 거칠 것이 무에 있겠는가?
1992년 군 입대 전 지리산을 홀로 종주한 적이 있었다. 산행 도중 피곤함을 못 이겨 배낭도 벗지 못한 채 길바닥에 누워 잠이 들었다. 몇 시간이 흘렀을까. 잠에서 깨었을 때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잠시잠간의 눈 부침에 내 그림자 길이는 서너 배 더 길게 누워있었기 대문이다. 나는 그날 난생 처음 야간산행 이란 걸 내 의지와 상관없이 하게 되었다. 그것도 혼자. 아무도 없었고 달도 그날따라 자취를 감췄다. 습관처럼 가지고 다녔던 헤드 랜턴이 없었다면 어찌되었을지.......
참 묘한 일이다. 귀신이랄지 산짐승의 울음소리에 놀라지 않는 나를 발견했다. 물론 귀신을 보지는 못했다. 아니 그럴 겨를이 없었다. 왜냐하면 이러다 죽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나를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죽을지도 모른다는 그 엄습 앞에 귀신과 산짐승의 울음소리는 사치였다. 길을 잃지 않기 위해 더욱더 정신 차려야 했고, 넘어지지 않기 위해 발바닥에 온 신경을 모아야 했다. 몰입도 그런 몰입이 없다. 발이라도 삐끗하는 날엔 볼 장 다본 것이다. 이미 기운 가을날씨에 비박은 생각지도 못했다.
궁즉변(窮卽變)은 이런 것이 아닐까. 간절해야 변할 수 있다. 그 간절함은 생각으로 되기 어렵다. 생각은 생각을 낳기 때문이다. 생각을 넘어 행함에 이르려면 내 몸이 그 끝으로 내몰리는 상황이 되어야 한다. 배수진은 이럴 때 딱 어울린다. 생각의 여지가 없다. 이러한 상태가 진정 궁(窮)한게 아닐까.......
얼마나 걸었을까. 멀리 불빛이 보였다. 등대의 불빛처럼 산장에 세워놓은 안테나, 그 꼭대기에 불빛은 반짝이며 나를 반겨주었다. 이제 살았구나. 산장에 짐을 풀고는 한참을 움직일 수 없었다.
통(通) 했다. 통(通)함은 순간적으로 다가온다. 변화의 과정에서 맛보는 통쾌함이다. 그러나 그것은 오래 머무르지 않는다. 지속하지 않으면 몸은 그것을 금방 잃어버린다. 생각의 한계다. 몸이 함께하지 못하면 처음의 그 자리보다 더 뒤로 내려간다. 내 몸이 그것을 지속하면 통함이 자연스러워 오래간다. 이것은 습관이다. 한가지 길(道)로 나고 죽는다는 것은 이러한 상황을 스스로 만들어 자연스럽게 하는 경지를 말하는게 아닐까?
나는 지금 배고프고 목마르다.
IP *.255.78.36
화엄경에 나오는 글귀를 삼국유사 책속에서 보았다. 모든 것에 거침이 없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그 사람은 한 가지 길로 나고 죽는다. 이러한 상황과 잘 들어맞는 글귀를 주역에서 보았다.
“궁즉변(窮卽變), 변즉통(變卽通), 통즉구(通卽久)”
배고품을 겪고 나서야 밥의 소중함을 안다. 소중함을 알고 행할 때 진정함은 더하리라. 그리고 그것은 스스로 그러해 내 몸에 꼭 맞는 옷처럼 잘 어울린다. 오래도록 입고 다닌다. 한 가지 길(道)로 나고 죽는다는 것이 이러한 과정의 결실이 아닐까 생각 해본다. 거칠 것이 무에 있겠는가?
1992년 군 입대 전 지리산을 홀로 종주한 적이 있었다. 산행 도중 피곤함을 못 이겨 배낭도 벗지 못한 채 길바닥에 누워 잠이 들었다. 몇 시간이 흘렀을까. 잠에서 깨었을 때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잠시잠간의 눈 부침에 내 그림자 길이는 서너 배 더 길게 누워있었기 대문이다. 나는 그날 난생 처음 야간산행 이란 걸 내 의지와 상관없이 하게 되었다. 그것도 혼자. 아무도 없었고 달도 그날따라 자취를 감췄다. 습관처럼 가지고 다녔던 헤드 랜턴이 없었다면 어찌되었을지.......
참 묘한 일이다. 귀신이랄지 산짐승의 울음소리에 놀라지 않는 나를 발견했다. 물론 귀신을 보지는 못했다. 아니 그럴 겨를이 없었다. 왜냐하면 이러다 죽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나를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죽을지도 모른다는 그 엄습 앞에 귀신과 산짐승의 울음소리는 사치였다. 길을 잃지 않기 위해 더욱더 정신 차려야 했고, 넘어지지 않기 위해 발바닥에 온 신경을 모아야 했다. 몰입도 그런 몰입이 없다. 발이라도 삐끗하는 날엔 볼 장 다본 것이다. 이미 기운 가을날씨에 비박은 생각지도 못했다.
궁즉변(窮卽變)은 이런 것이 아닐까. 간절해야 변할 수 있다. 그 간절함은 생각으로 되기 어렵다. 생각은 생각을 낳기 때문이다. 생각을 넘어 행함에 이르려면 내 몸이 그 끝으로 내몰리는 상황이 되어야 한다. 배수진은 이럴 때 딱 어울린다. 생각의 여지가 없다. 이러한 상태가 진정 궁(窮)한게 아닐까.......
얼마나 걸었을까. 멀리 불빛이 보였다. 등대의 불빛처럼 산장에 세워놓은 안테나, 그 꼭대기에 불빛은 반짝이며 나를 반겨주었다. 이제 살았구나. 산장에 짐을 풀고는 한참을 움직일 수 없었다.
통(通) 했다. 통(通)함은 순간적으로 다가온다. 변화의 과정에서 맛보는 통쾌함이다. 그러나 그것은 오래 머무르지 않는다. 지속하지 않으면 몸은 그것을 금방 잃어버린다. 생각의 한계다. 몸이 함께하지 못하면 처음의 그 자리보다 더 뒤로 내려간다. 내 몸이 그것을 지속하면 통함이 자연스러워 오래간다. 이것은 습관이다. 한가지 길(道)로 나고 죽는다는 것은 이러한 상황을 스스로 만들어 자연스럽게 하는 경지를 말하는게 아닐까?
나는 지금 배고프고 목마르다.
댓글
4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109 | 노력하는 자체가 성공이다 | 빈잔 | 2024.11.14 | 623 |
4108 | 인생을 조각하다. | 빈잔 | 2024.10.26 | 643 |
4107 | 얻는것과 잃어가는 것. | 빈잔 | 2024.11.09 | 658 |
4106 | 눈을 감으면 편하다. [1] | 빈잔 | 2024.10.21 | 685 |
4105 | 돈 없이 오래 사는 것. 병가지고 오래 사는것. 외롭게 오래 사는 것. | 빈잔 | 2024.10.22 | 717 |
4104 | 늙음은 처음 경험하는거다. | 빈잔 | 2024.11.18 | 727 |
4103 | 상선벌악(賞善罰惡) | 빈잔 | 2024.10.21 | 733 |
4102 | 길어진 우리의 삶. | 빈잔 | 2024.08.13 | 738 |
4101 | 문화생활의 기본. [1] | 빈잔 | 2024.06.14 | 933 |
4100 | 선배 노인. (선배 시민) | 빈잔 | 2024.07.17 | 934 |
4099 | 꿈을 향해 간다. [2] | 빈잔 | 2024.06.25 | 1072 |
4098 | 신(新) 노년과 구(舊) 노년의 다름. | 빈잔 | 2023.03.30 | 1509 |
4097 | 가장 자유로운 시간. | 빈잔 | 2023.03.30 | 1511 |
4096 | 나이는 잘못이 없다. | 빈잔 | 2023.01.08 | 1542 |
4095 | 편안함의 유혹은 게으름. | 빈잔 | 2023.04.28 | 1542 |
4094 | 원하는 것(Wants) 과 필요한 것(Needs) | 빈잔 | 2023.04.19 | 1589 |
4093 | 내 삶을 지키기 위한 배움. | 빈잔 | 2022.12.27 | 1644 |
4092 | 변화는 불편하다. | 빈잔 | 2022.10.30 | 1667 |
4091 | 1 % [2] | 백산 | 2007.08.01 | 1700 |
4090 | 정서적 자유와 경제적 자유. | 빈잔 | 2023.03.08 | 1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