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나경
- 조회 수 2215
- 댓글 수 3
- 추천 수 0
행복한 고통
지난 삼월 첫주와 둘째 주는 나에게 여러모로 힘든 시간이었다.
예상보다 신입생 숫자가 많아 할 일이 많아졌기 때문이었다.
나는 사람을 처음 만나는 것이 어렵다.
낯선 것들과 익숙해지는데 유난히 시간이 오래 걸린다.
신입생들 여섯 명이 우리 방과후 교실에 왔다.
아이들도 새로운 여러 환경에 적응하느라 힘들지만, 나도 그렇다.
나는 내색도 못하고.
기존에 있던 아이들은 새로운 아이들과 내가 적응하느라 낑낑거리는 것을
보고 샘을 내기도 한다.
예전에 하던 학습지교사시절 그때도 나는 신입회원이 생기는 게 제일 힘들고
어떤 때는 싫었다. 어떤 면에서 영업하는 사람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새로운 고객이 생기는 게 싫다니 이런 모순이 있나.
물론 게중에는 내가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아이도 있고 그렇지 않은 아이도 있다.
나는 그래서 가능하면 한 번 친해진 회원은 절대로 탈락하지 않도록 애써야 했다.
나는 책을 읽어도 읽은 책을 또 읽고 읽는 것을 좋아한다.
나는 누구나 그런 일을 좋아한다고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다는 걸 알았다.
많은 책을 도서관에서 빌려다 보는데, 읽고 나서 또 읽고 싶은 책은 사서 본다.
그렇게 살 만한 책을 고르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읽은 책을 또 읽을 때 물론 새롭게 발견 되는 장면들이 있다. 그것이 또 하나의 즐거움이 되기도 한다.
나만의 경전과 같은 고전 하나를 찾는 것이 내 과제다.
그것을 찾아 이리저리 헤매는 것일 뿐이다.
물론 나는 새롭고 낯선 곳을 찾아 가는 것을 두려워 하진 않는다.
하지만 그 과정은 나에게 익숙한 곳을 찾아가기 위한 준비일뿐이다.
가끔 내가 진보적인 사람인가 싶을 때가 있다.
나는 정치적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좌파쪽에 서 있는 정당을 지지했는데
나는 몹시 변화를 싫어하는 사람이 아닌가 싶을 때가 있다.
보수라는 말이 내가 가진 재산이나 내가 가진 기득권을 지키겠다는 뜻이 아니라,
인간의 삶속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것, 변하지 않는 것, 변하지않아야 하는 것을
지켜야 한다는 뜻이라면 나는 기꺼이 보수적인 사람일 수 있겠다.
그런데 물론 꼭 지켜야 할 것, 그것이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다.
모순
행복한 고통
지난 4주간 나는 그렇게 행복하면서 고통스러웠다.
고통스러웠지만 행복했다.
하루의 일과를 모두 마치고 지쳐 돌아온 내게, 새로운 세상이 기다리고 있는 것
책을 열고, 사유를 하고
글을 써야 하는 일.
아, 나는 여전히 내가 어디에서 가장 “어울리”는 사람인지 잘 모르겠다.
가장 낮설지 않고 가장 익숙한 곳을 찾아가기 위해
가장 낯설고 가장 어려운 길을 헤메어 가는 중이다.
IP *.175.132.145
지난 삼월 첫주와 둘째 주는 나에게 여러모로 힘든 시간이었다.
예상보다 신입생 숫자가 많아 할 일이 많아졌기 때문이었다.
나는 사람을 처음 만나는 것이 어렵다.
낯선 것들과 익숙해지는데 유난히 시간이 오래 걸린다.
신입생들 여섯 명이 우리 방과후 교실에 왔다.
아이들도 새로운 여러 환경에 적응하느라 힘들지만, 나도 그렇다.
나는 내색도 못하고.
기존에 있던 아이들은 새로운 아이들과 내가 적응하느라 낑낑거리는 것을
보고 샘을 내기도 한다.
예전에 하던 학습지교사시절 그때도 나는 신입회원이 생기는 게 제일 힘들고
어떤 때는 싫었다. 어떤 면에서 영업하는 사람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새로운 고객이 생기는 게 싫다니 이런 모순이 있나.
물론 게중에는 내가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아이도 있고 그렇지 않은 아이도 있다.
나는 그래서 가능하면 한 번 친해진 회원은 절대로 탈락하지 않도록 애써야 했다.
나는 책을 읽어도 읽은 책을 또 읽고 읽는 것을 좋아한다.
나는 누구나 그런 일을 좋아한다고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다는 걸 알았다.
많은 책을 도서관에서 빌려다 보는데, 읽고 나서 또 읽고 싶은 책은 사서 본다.
그렇게 살 만한 책을 고르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읽은 책을 또 읽을 때 물론 새롭게 발견 되는 장면들이 있다. 그것이 또 하나의 즐거움이 되기도 한다.
나만의 경전과 같은 고전 하나를 찾는 것이 내 과제다.
그것을 찾아 이리저리 헤매는 것일 뿐이다.
물론 나는 새롭고 낯선 곳을 찾아 가는 것을 두려워 하진 않는다.
하지만 그 과정은 나에게 익숙한 곳을 찾아가기 위한 준비일뿐이다.
가끔 내가 진보적인 사람인가 싶을 때가 있다.
나는 정치적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좌파쪽에 서 있는 정당을 지지했는데
나는 몹시 변화를 싫어하는 사람이 아닌가 싶을 때가 있다.
보수라는 말이 내가 가진 재산이나 내가 가진 기득권을 지키겠다는 뜻이 아니라,
인간의 삶속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것, 변하지 않는 것, 변하지않아야 하는 것을
지켜야 한다는 뜻이라면 나는 기꺼이 보수적인 사람일 수 있겠다.
그런데 물론 꼭 지켜야 할 것, 그것이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다.
모순
행복한 고통
지난 4주간 나는 그렇게 행복하면서 고통스러웠다.
고통스러웠지만 행복했다.
하루의 일과를 모두 마치고 지쳐 돌아온 내게, 새로운 세상이 기다리고 있는 것
책을 열고, 사유를 하고
글을 써야 하는 일.
아, 나는 여전히 내가 어디에서 가장 “어울리”는 사람인지 잘 모르겠다.
가장 낮설지 않고 가장 익숙한 곳을 찾아가기 위해
가장 낯설고 가장 어려운 길을 헤메어 가는 중이다.
댓글
3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써니
순수한 것은 아닐까요? 질서를 잘 지키고 싶은 것일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나보다 배려가 더 많고 큰 것이기도 하지요. 저처럼 소극적일 수도 있구요.
<나는 몹시 변화를 싫어하는 사람이 아닌가 싶을 때가 있다.> 누구나 그렇지 않을까요? 변화해야 한다는 자각이 있는 것이지 반드시 변화해야만 하는 것은 아닐 거에요. 가장 변하기 싫은 사람이라는 것에 대해 공감해요. 그래서 간단치 않은 것이 아닐까요? 그래서 적어도 10년은 공들여야 무언가를 이루어 낼 수가 있는 것이 아닌가요?
그러나 그보다 지금 하고 있는 일들이 너무 많아서 지칠 수 있겠네요. 잘 조절하고 형평을 잡아 보시길.
<나는 몹시 변화를 싫어하는 사람이 아닌가 싶을 때가 있다.> 누구나 그렇지 않을까요? 변화해야 한다는 자각이 있는 것이지 반드시 변화해야만 하는 것은 아닐 거에요. 가장 변하기 싫은 사람이라는 것에 대해 공감해요. 그래서 간단치 않은 것이 아닐까요? 그래서 적어도 10년은 공들여야 무언가를 이루어 낼 수가 있는 것이 아닌가요?
그러나 그보다 지금 하고 있는 일들이 너무 많아서 지칠 수 있겠네요. 잘 조절하고 형평을 잡아 보시길.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069 | 자기답게 산다는 것 [1] | 박중환 | 2008.03.17 | 2332 |
2068 | 겨울눈과 같은 것 [2] | 김나경 | 2008.03.17 | 2384 |
2067 | [칼럼3]누군가에게 구원이 되어 줄 칭찬 한 마디 [2] | 오현정 | 2008.03.17 | 2018 |
» | 행복한 고통 [3] | 김나경 | 2008.03.17 | 2215 |
2065 | 인공지능 이야기 [1] | 최현 | 2008.03.17 | 2190 |
2064 | 쓰고 싶은 글 [1] | 강종출 | 2008.03.17 | 1952 |
2063 | DNA 와 자기계발 (코리아니티) [1] | 김용빈 | 2008.03.17 | 2269 |
2062 | 책을 쓰고 싶은데 어떻게 하죠? [1] | ssima | 2008.03.16 | 2132 |
2061 | 나의 코리아니티는... [3] | 유인창 | 2008.03.16 | 2019 |
2060 | 지난 12개월 동안의 성과 - 나 [3] | 김나경 | 2008.03.16 | 1966 |
2059 | 섞음과 빨리의 문화 [1] | 이승호 | 2008.03.16 | 2238 |
2058 | 타버린 연탄 한 장처럼 [3] | 백산 | 2008.03.16 | 2451 |
2057 | 비빔밥의 맛과 멋 [1] | 이은미 | 2008.03.15 | 2238 |
2056 | 쇼 장의 물개 증후군 [1] | 최지환 | 2008.03.15 | 2346 |
2055 | (06)내가 만난 인간 구본형 [2] | 이한숙 | 2008.03.15 | 2110 |
2054 | 자기계발 "제대로" 하고 계세요? [2] | 손지혜 | 2008.03.15 | 2078 |
2053 | [칼럼003]실험과 모색 [5] | 양재우 | 2008.03.15 | 2015 |
2052 | 팀원을 1인 기업가로 만들어라 [3] | 홍현웅 | 2008.03.15 | 2020 |
2051 | [82] 나는 나를 산다 [2] | 써니 | 2008.03.14 | 2185 |
2050 | 4기 연구원 후보 여러분! [4] | 서지희 | 2008.03.12 | 23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