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햇빛처럼
- 조회 수 3522
- 댓글 수 3
- 추천 수 0
일본 사람들이 책을 많이 읽는다 하면 와 그러던 사람들도 그들이 지하철에서 읽는 책의 많은 부분이 만화다라면 우우 그러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화책도 책이다"라는 책이 나올 정도로 만화를 경시하는 사람들을 보기는 어렵지 않을 것 같습니다.
어쨌든 자신의 길을 찾아가는 사람은 만화가이건 소설가이건 아니면 학술서적을 쓰는 사람들이건 별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아래는 제가 좋아하는 만화작가 허영만에 대한 글입니다.
=======
한 10년전 만화잡지들이 막 쏟아져 나오면서 신인만화가들이 대거 등장했을 때, 기성작가들이 하나 둘씩 떨어져 나가는 것을 보면서 앞으로 만화를 어떻게 그려야 할 것인지, 생각 좀 해 봐야겠다 싶었습니다. 그래서 “미스터Q”만 남기고 모두 정리하고서 경기도 마석으로 화실을 옮겼어요. 그리고 신인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저의 경쟁력이 뭘까 생각했지요. 결국 제가 그들보다 연륜과 경험이 많으니까 정통 스타일로 가는 수 밖에 없겠다는 결론을 내렸지요. 이 때 시작한 것이 “세일즈 맨”이었어요. 중요한 전환점이었고 반응도 좋았기 때문에 결국 제 스타일대로 열심히 하면 밀려나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살아가면서 참 중요한 것이 자기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이에요. 지금 자신이 어디쯤 있는지 확인할 수 있거든요. 좋을 때 마구 흥청대기만 하는 사람들은 오래 살아남지 못해요.
허영만표 만화와 환호하는 군중들 p 57~58
IP *.169.188.175
"만화책도 책이다"라는 책이 나올 정도로 만화를 경시하는 사람들을 보기는 어렵지 않을 것 같습니다.
어쨌든 자신의 길을 찾아가는 사람은 만화가이건 소설가이건 아니면 학술서적을 쓰는 사람들이건 별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아래는 제가 좋아하는 만화작가 허영만에 대한 글입니다.
=======
한 10년전 만화잡지들이 막 쏟아져 나오면서 신인만화가들이 대거 등장했을 때, 기성작가들이 하나 둘씩 떨어져 나가는 것을 보면서 앞으로 만화를 어떻게 그려야 할 것인지, 생각 좀 해 봐야겠다 싶었습니다. 그래서 “미스터Q”만 남기고 모두 정리하고서 경기도 마석으로 화실을 옮겼어요. 그리고 신인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저의 경쟁력이 뭘까 생각했지요. 결국 제가 그들보다 연륜과 경험이 많으니까 정통 스타일로 가는 수 밖에 없겠다는 결론을 내렸지요. 이 때 시작한 것이 “세일즈 맨”이었어요. 중요한 전환점이었고 반응도 좋았기 때문에 결국 제 스타일대로 열심히 하면 밀려나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살아가면서 참 중요한 것이 자기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이에요. 지금 자신이 어디쯤 있는지 확인할 수 있거든요. 좋을 때 마구 흥청대기만 하는 사람들은 오래 살아남지 못해요.
허영만표 만화와 환호하는 군중들 p 57~58
댓글
3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짱구
만화책을 절대 경시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요즘엔 만화가들의 스토리를 드라마나 영화에서 서로 가져다 쓸려고 난리입니다. 그 분들의 상상력과 정보력은 대단하죠~
저는 무조건 책이 좋습니다. 만화책이든 화보든 간에~ 정말 필 받은 만화책은 수집하고도 있습니다. 배가본드도 그중에 하나고 뭐~ 다케히코 이노우에 작가 것은 거의 수집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한마디로 끝내줍니다. 그림만 봐도 뻑갈 정도이니~ ^^
한때 만화가게를 하고 싶다는 생각도 했을정도로 저는 만화가 좋은데 요즘 거의 못읽습니다. 하지만, 이 글을 계기로 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
요즘엔 만화가들의 스토리를 드라마나 영화에서 서로 가져다 쓸려고 난리입니다. 그 분들의 상상력과 정보력은 대단하죠~
저는 무조건 책이 좋습니다. 만화책이든 화보든 간에~ 정말 필 받은 만화책은 수집하고도 있습니다. 배가본드도 그중에 하나고 뭐~ 다케히코 이노우에 작가 것은 거의 수집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한마디로 끝내줍니다. 그림만 봐도 뻑갈 정도이니~ ^^
한때 만화가게를 하고 싶다는 생각도 했을정도로 저는 만화가 좋은데 요즘 거의 못읽습니다. 하지만, 이 글을 계기로 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789 | 목적과 수단의 혼동 [5] | 이수 | 2008.06.14 | 7729 |
1788 | 술, 그 쓸쓸함에 대하여 [17] | 오병곤 | 2008.06.16 | 3499 |
1787 | 내가 구본형사부를 좋아하는 이유 [4] | 햇빛처럼 | 2008.06.17 | 3480 |
1786 | [4] 10년 짓거리! [4] | 써니 | 2008.06.19 | 3371 |
1785 | 김홍기의 문화의 제국에서 [2] | idgie | 2008.06.20 | 2946 |
1784 | 구본주의 눈칫밥 30년 1999년작 [2] | idgie | 2008.06.20 | 3680 |
1783 | [5] 자가 펌프 [4] | 써니 | 2008.06.23 | 3527 |
1782 | <시 축제> 시집을 기다리시는 분들께 [5] | 춘희류경민 | 2008.06.23 | 3314 |
1781 | 맘을 수습하고 다시 메모를 본다. [3] | idgie | 2008.06.26 | 2812 |
1780 | 보통사람의 탈출 [2] | 이수 | 2008.06.27 | 2557 |
1779 | [6] 어제보다 아름다워지는 저축 [8] | 써니 | 2008.06.30 | 2855 |
1778 | [잡담] 상반기에 맺은 좋은 인연들을 되새기면서. [5] | 햇빛처럼 | 2008.06.30 | 3104 |
1777 | 코스모스 추억 [3] | 이수 | 2008.07.02 | 2683 |
» | 만화책도 책이다. [3] | 햇빛처럼 | 2008.07.02 | 3522 |
1775 | [7] 넘어선 영상 [5] | 써니 | 2008.07.02 | 2913 |
1774 | [잡담]자신을 비춰보는 거울 그리고 폭력에 대한 짧은 생각. [1] | 햇빛처럼 | 2008.07.03 | 2480 |
1773 | 바닷 속 느림보는 꽂게 [1] | 이철민 | 2008.07.05 | 3881 |
1772 | [89] 청춘을 지고 온 老父의 직업병 [2] | 써니 | 2008.07.06 | 2406 |
1771 | [90] 나로 향하기/ 자신과의 대화 (1) [1] | 써니 | 2008.07.07 | 2426 |
1770 | [8] 미망迷妄 [3] | 써니 | 2008.07.07 | 29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