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박안나
  • 조회 수 3199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2월 14일 11시 39분 등록

[연구원5기 2차선발과정 과제물입니다]



아무도 그냥 태어난 사람은 없다. 모든 사람은 분명히 좋은 목적을 가지고 태어났다. 집으로 말하자면 하나같이 좋은 집이 되기 태어났고, 인생은 그 집이 지어져 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미 완벽한 설계도가 있다. 신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가장 완벽한 설계도를 우리에게 보여주고 말해주며 우리가 무사히 좋은 집을 짓기를 응원한다. 그러나 그 설계도를 읽고 설계도 대로 짓기란 무엇이든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는 쉽지 않는 일이다. 설계도 내용을 잘 못 볼 수도 있고, 바르게 보았어도 다른 생각이 들거나 다른 말을 듣고 다른 방법을 취할 수 도 있다. 그래서 공사가 지연될 때도 있고, 어떤 부분은 부수었다가 다시 쌓기도 하고, 고치기도 하면서 지어져 간다.
 

어떻게 하면 설계도를 제대로 읽고 설계도 대로 지을 수 있을까?
신이 우리에게 설계도의 내용을 보여 줄 때는 반드시 사람을 통해 이야기한다.
누가 인용한 이야기에서 투명 유리가 있는 줄 모르고 돌진하다가 죽어가는 새들을 보고 내가 저 새가 되어 ‘거기 유리가 있다!’라고 알아듣게 말해주고 싶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신도 이런 마음으로, 사람에게 메시지를 전달 할 때는 사람을 통해 이야기 하리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은 내 인생의 설계도에 대한 메시지를 가지고 온 사람들 즉, 메신저, 신이 보낸 사신들인 것이다.

가족이나 친구를 그런 메신저나 사신으로 여기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러나 직장에서 만난 상사를 그렇게 여기는 것은 쉽지 않다. 어쩌면 ‘그 사람(놈)이 무슨 나에게 가져온 메시지가 있어!’ 하고 화부터 날런지도 모른다. 그러나 잘 생각해보라. 갈등이 있다는 것은 중요한 메시지가 있다는 것이다. 영화에서도 보물을 찾으러 가는 탐험대가 가장 고생하는 곳에 암호를 풀기 위한 가장 중요한 열쇠가 있지 않는가? 태클을 자꾸 건다는 것은 그 작전이 성공하면 위험하리만큼 중요하다는 것이 아닌가..! 관계 중에서도 가장 쉽지 않는 관계, 그러나 매일 마주치고 직면하는 관계. 내 인생 설계도의 중요한 부분을 상사를 통해 알게 되는 것이 아닐까!

구본형의 ‘The Boss, 쿨한 동행’에는
이 상황에서 내가 배워야 할 것은 무엇인가?
이 사람 (우주 ,운명 혹은 신)이 나에게 가르쳐 주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고 스스로 질문해보라고 한다.

상사를 새롭게 정의하자. 내 인생의 설계도에 대한 메시지를 가져온 사신 들 중에서도 상사는 가족이나 친구가 줄 수 없는 특별한 메시지를 가져온 사람, 즉 특사다. 특사의 메시지가 궁금하다면 먼저 그 눈을 바라보라. 그리고 주도적으로 그 관계를 풀어보라.

 

IP *.153.131.80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09 제목이 생각이 나질 않네요,, [2] juju110 2009.02.08 2709
1608 낯선곳에서의 아침 이라는 책을 읽고 문득.. [1] 평생친구 2009.02.08 2238
1607 나는 어떤 색일까? 평생친구 2009.02.08 10140
1606 구본형님 죄송합니다. [3] 산길 2009.02.09 2549
1605 나를 찾아가는 여행의 출발점에서 .. [2] 평생친구 2009.02.09 2462
1604 이런 생각이 들면 어떻게 보내세요? [1] 평생친구 2009.02.10 2314
1603 이 남자 사는 모습 [1] SSD 2009.02.12 2297
» 내 인생 설계도의 중요한 힌트, 상사 박안나 2009.02.14 3199
1601 우리의 쿨하지 않은 동행을 위하여 -< The Boss 쿨한 동행>에 부쳐 [4] 나리 2009.02.14 2622
1600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 속은 모른다. [1] 류춘희 2009.02.15 4229
1599 강점을 가진 일에 집중 이승호 2009.02.15 2439
1598 쿨한 동행 Vs 뜨거운 동행: 사내연애 [6] 수희향 (박정현) 2009.02.15 3254
1597 검법과 책쓰기 [6] 김성렬(백산) 2009.02.15 2482
1596 [5기2차1회] 상사의 추억과 전략적 자아 개선 장성우 2009.02.15 2543
1595 밤새 당신의 사업은 안녕하십니까? 정철 2009.02.15 2340
1594 견습생 시절, 견디는 것만이 미덕인가 (정세희) 정세희 2009.02.16 2790
1593 아무것도 하지 않은 죄 (김미성) 기대이상 2009.02.16 4191
1592 직장이 아닌, 직업을 선택해야 한다 심신애 2009.02.16 3721
1591 [5기2차1회] 부하들의 자존감 (진현주) [1] [2] 진현주 2009.02.16 3181
1590 썬글래스 벗고 화장 지우고 쌩얼로 경기에 임할 것 [5] [5] 부지깽이 2009.02.16 3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