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이은주
  • 조회 수 1699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10년 2월 15일 00시 10분 등록

 

신화는 고대인의  사유나 표상이 반영된 신성한 이야기로서, 우주의 기원, 신이나 영웅의 사적(事績), 민족의 태고 때의 역사나 설화 따위를 주된 내용으로 한다. 신화는 신과 영웅들의 이야기이기에 신화 속에는 그들을 통해 투영된 인간의 다양한 속성이 표상되어 담겨져 있다. 다양한 신화들을 접하고 읽으면서 나는 문득 신화를 통해 그 안에 투영된 다양한 인간 군상들을 이해하는 방법을 조금씩 발견하게 됨을 느끼게 되었다. 여기서 인간이라 함은 타인을 지칭하기도 하고 나 자신을 말하기도 한다삶을 살아감에  있어 가끔씩은 마음 한 켠에 존재하는 의식의 상태를 욕망, 고통, 의무에서 자신을 해방시키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럴 때 나는 요가 명상을 한다. 그러면서 몇 가지 신화들을 떠올려 생각하고는 한다.  

독립된 여신으로서  숭배 받는 인도의 둘가 여신이 있다. 그 신화에서 물소 악마는 산을 뿔로 받아 뒤엎고 도전적으로 소리를 지르며 여신을 향해 산들을 내 던진다. 하지만 여신은 화살로 그 산들을 박살내 버린다. 그녀는 악마를 바닥에 패대기치고 삼지창으로 악마의 목을 꿰뚫는다. 이 적수는 다시 한 번 물소의 모습을 버리려고 칼을 가진 영웅의 형태를 입으로부터 뽑아내고 있지만 그 영웅이 채 반도 빠져나오기 전에 그만 잡혀 버리고 말았다. 영웅의 반신이 아직 물소의 몸속에서 있고 반신이 물소의 입 밖에 있을 적에 여신은 재빠르게 날쌔게 일격을 가하여 악마의 목을 베어 악마는 죽게 된다 

이것은 제어된 지혜의 칼로서 대적하는 요기의 승리를 신화의 언어로 표현한 것이다. 여기서 물소 악마는 마야의 힘으로서 여러 가지 모습으로 살아남으려는 욕심과 야망의 표상이다. 악마인 물소는 우리 내부의 악마의 생명 에너지의 모습이며 이런 여러 가지 변신을 하는 악마를 무너뜨리는 여신 둘가는 오랫동안 자기 제어 능력을 획득하며 자신과 세상과의 싸움에서 승리를 얻는 요기의 모습이다. 맹목적인 욕망을 생명 에너지가 잘 제어된 지혜의 칼로서 대적하는 요기의 영적 승리를 신화의 언어로 표현한 것이다 

이렇듯 신화는  특정한 주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명상함을 통해 자신의 내적 의식을 변모시켜야 함을 상징적으로 말하고 있다. 자기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자신의 의지를 가지고 무엇을 할 것인가,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어디에 삶의 가치를 두고 추구 할 것인가를 결정하면서 자신만의 이승의 꽃을 피우기 위한 영웅적인 발걸음을 내밀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나에게 신화는 거울이다. 나를 돌아볼 수 있게 해 준다. 그 안에 내 내면의 모습이 떠오른다. 때로는 마술의 거울처럼 내가 가야할 길을 보여주고, 비추어주고, 밝혀준다. 어떤 일을 하며 자꾸만 욕심이 앞설 때 나는 이카루스를 떠올린다. 태양을 향해 무모하게 날다 날개가 녹아 추락해 버린 그의 모습이 나의 거울에 맺힌다. 나는 내 안에 잠재되어 있는 욕망을 신화의 거울을 통해 발견한다. 그래서 나는 다시 마음을 추스르곤 한다. 또한 욕망에 휩싸이는 스스로를 비난하거나 자괴감에 빠지지도 않는 건 나의 그런 욕심이 인간이라면 누구나 지니고 있는 보편적인 감정이라는 걸 알기 때문이다.   

나에게 신화는  또한 열쇠이다. 나와 관계 맺은 사람들, 또한 나와는 상관없는 세상 속의 일반 사람들이 벌이는 모든 사건과 행위를 해석하고 판단할 때 신화는 중요한 열쇠가 되어준다. 자신이 제일 잘난 줄 생각하는 사람을 보며 나르시스를 떠올리고 그것이 신화가 투영하고 있는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 중 하나라 생각하게 되면 잘난 척 하는 상대가 그리 미워지지만은 않게 된다.  

인간이란 것이 본시 완전하지 않은 존재이고, 선하고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악함과 부정적인  면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는  많은 신화가 이야기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나의 선함에 너무 좋아할 일도, 남의 악함에 너무 실망할 것도 없다는 생각이다. 그리고 내가 그러하듯 타자 역시 나와 같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면 다른 사람의 잘잘못에 좀 더 객관적이고 너그러워질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나를 포함해 사람을 좀 더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나에게 신화란 나를 살펴보고 나의 현재 모습을 투영할 수 있는 거울이며, 타인을 이해하는 열쇠이다

IP *.12.160.185

프로필 이미지
신진철
2010.02.15 18:20:35 *.154.57.140
독립된 여신 둘가는 남성으로부터 독립을 말하는 건가요?
나를 투영하는 거울, 타인을 이해하는 열쇠
신화를 그렇게 이해할 수도 있군요.
프로필 이미지
이은주
2010.02.17 04:42:23 *.83.68.7
자기에 상황에 맞게 해석하면 될 것 같아요.
감사 ^^
프로필 이미지
2010.02.16 06:01:34 *.106.7.10
<신화와 인생>을 읽으며 언니 생각을 했답니다.
아, 이렇게 어려운 책을 언니는 이해하기 쉽지 않을까, 부럽기도 했구요 ^^
요가 용어 너무 어려웠어요 ^^;;
여행 조심해서 잘 다녀오세요~
프로필 이미지
이은주
2010.02.17 04:45:02 *.83.68.7
밤새 비행기를 타고  지금  막 도착했어.
정신이 하나도 없네.......
난 그래서 2장 깨달음의 장이 제일 좋았나봐.
잘 있다 갈께. 나중에 봐...
프로필 이미지
세정 윤태희
2010.02.17 10:29:24 *.219.138.90
언냐,
일찍 전화를 해야지 했는데 못하고 어제 오후에 전화를 하니 전화를 받을수 없다는 멘트가 흘러 나오더라구.
건강히 잘 다녀 와~
프로필 이미지
이은주
2010.02.18 08:08:59 *.83.68.7
고마워 ~ 잘 다녀올께.^^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19 새로운 글쓰기 맑은 김인건 2010.02.12 1858
1418 [오리날다] 변덕쟁이 우후훗! file [6] 김미영 2010.02.12 2213
1417 딸기밭 편지 6 / 설날 인사드립니다 file [1] 지금 2010.02.12 2084
1416 1. 나에게 신화란 무엇인가? [6] 맑은 김인건 2010.02.13 2018
1415 [6기후보과제1](나에게) 神話, 궁극에의 안내자. 神化. [1] 심장호 2010.02.13 1634
1414 칼럼1. <내가 쓰는 나의 신화> (이선형) [14] 2010.02.13 2179
1413 나에게 신화란 무엇인가. 김이미나 2010.02.13 2066
1412 나에게 신화란 무엇인가(박상현) [12] 박상현 2010.02.14 1867
1411 딸기밭 편지 7 / Happy new year file [2] 지금 2010.02.14 1572
1410 나에게 신화란 무엇인가? (노미선) [4] 별빛 2010.02.14 1638
» 컬럼 1주차 -나에게 신화란 무엇인가? [6] 이은주 2010.02.15 1699
1408 나에게 신화란 무엇인가? [1] 김연주 2010.02.15 1927
1407 나에게 신화란 무엇인가? 김창환 야콘 2010.02.15 2464
1406 신화와 인생(칼럼) [2] 김용빈 2010.02.15 2050
1405 나에게 신화란 무엇인가? - 김영숙 [4] 김영숙 2010.02.15 1803
1404 첫번째 에세이_신화란 무엇인가 김혜영 2010.02.15 1759
1403 나에게 신화란 무엇인가 ? narara 2010.02.15 2101
1402 첫번째. 나에게 신화란 무엇인가! [2] 최우성 2010.02.15 1913
1401 첫번째, 나에게 신화란 무엇인가? 윤인희 2010.02.15 1971
1400 나에게 신화란 무엇인가? 박현주 2010.02.15 1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