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김혜영
  • 조회 수 2095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0년 2월 22일 02시 12분 등록

건축가

건축가는 콘크리트 건조물만을 양산해 내지는 않는다.
비록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산해 낼 때에도, 그곳에서의 삶이 어떤 것이기를 바라면서, 그곳을 사용하는 이들이 그 장소를 풍부한 것으로 만들고, 완성해 주기를 기대하게 된다. 그러면서 그들의 어떤 역할들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만들거나 혹은 영감을 불어넣는 일을 한다.

지금 하고 있는 일들 보다 더 부풀려 말한 경향이 없지 않아서, 그런 건축가가 되고 싶다고 정정한다. 삶을 풍부한 것으로 만들 수 있도록 삶을 존중해야 하는 사상을 지녀야 하는 이들이라고 말하고 싶다.
이것이 그들의 철학이어야 한다.


철학 : 인생이 어떠한 것이며, 어떠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사상.
         자신과 주변에 대한 이론, 신념, 사상.


철학을 정의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내려본 정의이다.

하지만, 이런 언어들에 계속 접근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철학을 정의내릴 때만큼 명쾌하지 않다.
수란 무엇인가. 공간과 시간은 무엇인가, 정신은 무엇이고 물질은 무엇인가.를 질문할 만큼 여유롭지 않아서 인지, 그런 사색을 할 만큼의 깜냥이 아니어서인지. 철학은 너무 멀리 있다.


그러기엔 두려움이 앞선다.
일생동안, 혹은 굳게 믿었던 신념과 신조가 단 한번에 무너지는 날. 혹은 그것이 아니라는 것을 발견하게 되는 과정 중의 허탈감은 어떨까.

2007년 영화. 이안감독의 ‘색, 계’ 라는 영화가 떠오른다.
영화의 마지막에서 죽게되는 이들 중 왕자이즈를 제외한 이들에게는 애국으로 명예롭게 죽는 길일 수도 있겠지만, 사상과 신념에 의한 죽음이라고 보기에는 주인공의 배신에 대한 원망과 분노로 점철된 죽음이었다고 본다.
 그들의 용감한 애국행위 조차도, 어쩌면 젊은 이들의 객기같은 것같이 느껴졌던 것은, 그들이 애국투사가 아닌 대학생이었기 때문인지, 사상과 신념이 부족해서였기 때문인지, 다른 이유 때문인지.
젊음을 다 바친 그 정의에 대한 배신으로 맞이하게 되는 죽음인지, 그 사상이라는 것이 허황된 것이였던 것인지.
순간. 무너져 내리는 것을 보면서, 일생을 산 후에. 내게도 그런 순간이 올 수가 있을까. 하는 두려움이 앞선다.

하여 사상과 신념과 사조까지는 아니더라도, 인생을 살아내는 것이 내게 철학이 아닐까.
하는 현실적인 답을 해본다. 그 과정 자체. 사실 건축가로서 사람들의 삶을 풍부하게 하기 위해서 그들의 삶을 이해하는 것도, 연구하는 것도 그안에 얼마나 진실성이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 사실 자유롭지 않다.
프로젝트를 대하면서, 얼마나 그것에대해 진지한 것인지, 늘 대해왔던 태도며, 형식적인 결론과 전제로, 일반적인 상식에서 건조하게 대했던 것이 아닌지에 대해서 부끄럽다.
차근차근 이해해 보고 싶다. 인생을 살아가는 과정. 전체가 철학. 신념. 사상이 될 수 있는 것이라면.
유쾌하며, 진지할 수 있지 않을까.
인생 전체를 살아도 후회하지 않을 수 있지 않을까.

또한 사람의 삶을 풍부하게 하며, 삶의 영감을 불어넣는 일에 대해서도.
게으르지 않을 수 있지 않을까.

IP *.166.181.45

프로필 이미지
신진철
2010.02.22 18:14:28 *.154.57.140

순간, 무너져 내리는... 두려움이 앞선다.
사실 자유롭지 않다.
삶의 영감을 불어넣는 일... 이런 말들이 꽂히네요.

백과사전에 나와 있는 해설이 재미있고 마음에 든다.

“철학은 그 이름만 가지고는 무엇을 하는 학문인지 알기 어려운 학문이다.”
- narara 님의 칼럼 중에서.

프로필 이미지
이은주
2010.02.23 15:26:04 *.83.68.7
인생을 살면서 후회 없는 이는  없을 것 같아요.
마지막 말처럼 게으르지 말고 삶을 풍부하게 살면 후회가 조금은 덜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저도 정답을 몰라서........ ㅜㅜ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29 나에게 시간은 무엇인가 - 김영숙 [2] 김영숙 2010.02.24 2521
2728 장사 2.0 [2] 맑은 김인건 2010.02.23 1984
2727 수도꼭지 [11] 박미옥 2010.02.22 2133
2726 <나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7] 김연주 2010.02.22 2347
2725 칼럼2 생각한대로 살지 않으면... [12] 신진철 2010.02.22 2742
2724 서양철학사 (칼럼) [4] 김용빈 2010.02.22 1973
2723 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3] 박현주 2010.02.22 2028
2722 나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 김영숙 [6] 김영숙 2010.02.22 2526
2721 나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5] 최우성 2010.02.22 2160
2720 나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2] narara 2010.02.22 2121
2719 철학이란 무엇인가? [7] 윤인희 2010.02.22 2165
2718 <2주> 김창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2] 야콘 2010.02.22 2289
2717 [6기후보칼럼2] (나에게) 철학 알기와 도 닦기 [3] 심장호 2010.02.22 2327
» 두번째 에세이_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2] 김혜영 2010.02.22 2095
2715 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6] 박상현 2010.02.22 2401
2714 칼럼2. <나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3] 이선형 2010.02.21 2452
2713 2주. 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11] 미나 2010.02.21 2103
2712 [여행의 철학] 여행은 최고의 자기계발이다 아름다운 길 연구가 2010.02.21 2392
2711 컬럼 2주차- 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6] 이은주 2010.02.21 2645
2710 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11] 박미옥 2010.02.20 2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