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김용빈
  • 조회 수 1972
  • 댓글 수 4
  • 추천 수 0
2010년 2월 22일 11시 49분 등록

주제 : 나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제목 : 지혜에 대한 사랑의 여러 모습

 

   철학(Philosophy)이란 무엇인가?’ 라는 밑도 끝도 없는 주관적인 질문에 대한 가장 무난하고도 그럴듯한 답변은 아마도 지혜(sophia)에 대한 사랑(philos)’ 이라는 다분히 교과서적인 답변이 아닐까. 그러면, 좀 더 정교한 밑도 끝도 있는 질문이라 할 수 있는 당신이 생각하는 철학이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나는 어떤 답을 하게 될까? 결국은 그 답도 어쩔 수 없이 지혜에 대한 사랑이라는 답변으로부터 시작해야 될 것 같다.

 

   어렸을 적 교회에 다녔던 나에게는, 성경 속 위인들의 이야기가 부족했던 독서량과 신화이야기의 부재를 조금은 보완해주었던 것 같다. 그 중에서도, 지혜의 왕 솔로몬의 이야기는 나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 이야기는 내가 오랫동안 열망하게 되는 대상을 찾게 만들었는데, 그것은 바로 지혜에 대한 욕구였다. 물론 그 성경 이야기가 전하는 교훈적인 스토리는 권력과 돈 또는 명예가 누가 보더라도 최고의 가치겠지만, 솔로몬 왕은 의외로 지혜를 원했고, 결국 이를 통해 현명한 군주가 되었다는 내용이다. 이러한 이야기가 나에게 영향을 준 까닭이 위인에 대한 단순한 모방 때문인지, 아니면 지적 호기심의 발로인지는 이제 와서 분석할 수는 없겠지만, 하여튼 상당기간 나는 지혜만을 바랐던 기도를 많이 하곤 했었다.

   이런 지혜에 대한 바람은 대학생이 되면서 그 당시에는 민주화 열망이 뜨거웠다 나보다 못 가졌거나 못 배운 계층을 도울 수 있는 지식 또는, 도구에 대한 추구로 그 성격을 바꾸게 된다. 그래서 당시 나는 배워서 남 주냐? 라는 소시민적인 속담을 약간 한 글자만 - 변형하여 많이 사용하곤 했었는데,  배워서 남 주자! 는 대시민적인(?) 구호였다.

   그 이후, 사회생활을 하게 되면서 지혜에 대한 내용이 좀 더 구체화되는데, 그것은 정확성의 추구 라고 표현할 수 있겠다. 좀 더 부연하자면, 기존의 권위나 선입견과 당파성에서 자유로운 오리지널한 지식의 추구 정도가 될 것이다. 이런 까닭인지, 나는 우리 속담 중에서 가재는 게 편 이라는 속담을 가장 부끄럽게 생각했었는데. 이런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 이것은, 우리가 옳고 그름을 판단할 때, 그 대상 외에 다른 요인들을 최대한 격리시켜야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반대로, 판단자가 처한 환경을 우선시하여 평가하거나, 그 판단이 미치는 영향을 미리 생각하고 선택에 영향을 미치거나, 사전에 선호하는 결론을 유도하려 견강부회를 일삼거나 해서는 절대로 진리에 가까이 갈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은 결국 소통의 부재와 끊임없는 대립을 낳고 지속적인 진보를 가로막는 원인이 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정직성의 결여로 인해, 우리 주위에 시끄러운 이슈가 있는 곳은 어디나 양보와 타협에 의한 결론 도출 대신, 다람쥐 쳇바퀴 도는 양상들이 계속 나타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이렇듯 불편부당한 지식에 대한 추구는, 일차적으로는 정확성에 대한 기여도를 높일 것이며, 결국에는 대부분의 경우 진리와 정의는 같은 것은 아니므로 모든 경우는 아니다 - 정의의 편에 서게 되는 것이며, 진보의 행진을 가능케 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일 것이다. 결국, 일상에서 행해지는 이러한 정확성 추구의 습관은 나의 인생관과 가치관 형성에 지속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지혜에 대한 사랑은 나의 인생에 있어서 그 성격이 소극적이냐 적극적이냐에 따라 또한, 개인적이냐 사회적이냐에 따라서 각각 지적 호기심으로, 사회진보의 도구로, 정확성의 추구로, 권위에 대한 저항 등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해왔던 것 같다.

   물론, 사회적 동물로서 살아가는데 있어서 궁극적으로는 중용의 도가 필요하리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정확성에 대한 추구 즉, 사적으로나 공적으로나 정직하지 않고서는 중용의 도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으리라고 생각해본다. Ω

IP *.152.228.116

프로필 이미지
신진철
2010.02.22 16:23:45 *.154.57.140
하하  배워서 남주자.. 오랜만에 다시 들어봅니다..ㅎㅎ
그리스 로마신화를 읽으면서, 헤라, 아테나, 아프로디테 중 하나하고 결혼하라면
아테나하고 해야겠다고 맘먹었던 기억이 나네요..ㅎㅎ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0.02.23 00:28:30 *.53.229.15
정직, 중용의 도 와닿네요. 어릴적에 성경 공부를 좀 했더라면 .. 철학책을 좀 더 이해하기 쉽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문득. 스치네요.. ^^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2.23 08:47:43 *.236.3.241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말이 떠오르네요. 꾸준히 정진하시면서 새로운 세계를 열어 가시길
기원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이은주
2010.02.23 15:13:34 *.83.68.7
제가 좋아하는 단어가 '지혜' 와' 사랑' 이거든요.
그래서 '지혜에 대한 사랑" 철학을 가지신 님의 글을 잘 읽고 갑니다.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29 나에게 시간은 무엇인가 - 김영숙 [2] 김영숙 2010.02.24 2521
2728 장사 2.0 [2] 맑은 김인건 2010.02.23 1984
2727 수도꼭지 [11] 박미옥 2010.02.22 2133
2726 <나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7] 김연주 2010.02.22 2347
2725 칼럼2 생각한대로 살지 않으면... [12] 신진철 2010.02.22 2742
» 서양철학사 (칼럼) [4] 김용빈 2010.02.22 1972
2723 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3] 박현주 2010.02.22 2028
2722 나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 김영숙 [6] 김영숙 2010.02.22 2526
2721 나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5] 최우성 2010.02.22 2160
2720 나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2] narara 2010.02.22 2121
2719 철학이란 무엇인가? [7] 윤인희 2010.02.22 2165
2718 <2주> 김창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2] 야콘 2010.02.22 2289
2717 [6기후보칼럼2] (나에게) 철학 알기와 도 닦기 [3] 심장호 2010.02.22 2327
2716 두번째 에세이_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2] 김혜영 2010.02.22 2095
2715 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6] 박상현 2010.02.22 2401
2714 칼럼2. <나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3] 이선형 2010.02.21 2452
2713 2주. 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11] 미나 2010.02.21 2103
2712 [여행의 철학] 여행은 최고의 자기계발이다 아름다운 길 연구가 2010.02.21 2392
2711 컬럼 2주차- 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6] 이은주 2010.02.21 2645
2710 나에게 철학이란 무엇인가 [11] 박미옥 2010.02.20 2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