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신진철
  • 조회 수 2199
  • 댓글 수 13
  • 추천 수 0
2010년 2월 28일 15시 58분 등록

칼럼3. [나에게 시간은 무엇인가]


오늘 아침, 식탁에 딸기를 올렸다.

제철 음식을 먹으라고 했던가? 잠깐, 딸기가 언제가 제철이지?

늦여름이던가? 아님 초여름? 기억이 가물가물 했지만, 어릴 적 토마토랑 같이 먹었던 기억이 딸기의 제철을 어림 가늠하게 한다.

요즘 딸기가 제철이 어딨어? 정말 그러네, 언제든지 마트에만 가면 사시사철 싱그럽게 전시된 딸기를 사먹을 수 있는 때를 살고 있구나.

 

1886년, 세계 최초의 가솔린 자동차 발명, 독일 벤츠

1893년, 여성에게 처음 투표권이 주어진 해, 뉴질랜드

(그리고 1917년 러시아, 1928년 영국, 미국의 흑인여성들은 1960년대까지도 투표권이 없었고, 스위스 또한 1971년까지도 투표권이 없었다.)

1903년, 12월 17일, 12초 동안 인류가 처음으로 하늘을 날다, 라이트형제

1936년 영국에서 세계 최초의 텔레비젼 방송 실현됨.

1969년 7월 16일, 인류가 처음 달에 발을 디뎠다. 닐 암스트롱

비우기 위해 떠났던 영국생활 도중, 나는 하숙집 작은 서재 한 켠에서 놀라운 발견을 했다. 그것은 20세기에 일어났던 일들을 흑백사진들과 함께 엮은 한 권의 화보집이었다. 잠시 심장이 벌렁거렸다. 자동차, 여성의 투표, 비행기, TV, 우주여행 너무도 익숙해져 있는 이 모든 것들이 사실은 백년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인류의 긴 역사를 두고 볼 때, 이러한 모든 사건들이 아주 최근에 다시 말하면, 어젯밤 불과 몇 분 사이에 벌어진 일들이었던 것이다.

너무도 당연스럽게 비행기를 타고 영국에 갔었고,

매일 아침, 귀찮도록 사람 길을 가로막아서는 자동차들의 소음들,

투표일이 되면 그 잠깐의 시간마저도 이제는 귀찮아지던 기억들,

리모콘만 누르면 언제는 우리는 우주의 신비를 거실 쇼파에 드러누워 볼 수도 있고,

맘만 내키면 지구촌 구석구석을 자동차로 여행할 수도 있게 되었다.

 

시간을 백년만 거슬러 올라가도 꿈조차 꾸기 어려웠던 일들이지 않았던가.

불과 백년 사이에 기적 같은 세상에 살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사진기가 나왔다. 그리고 사진도 나왔다.

가물가물해지는 추억 속에서만 존재했던 과거의 순간들이 그리고 잘 나가던 한 때의 젊음도 이 한 장의 사진 속에서 영원할 수 있게 되었다. 덕분에 우리는 오드리 햅번의 아름답던 젊음도, 아인슈타인이 세상을 조롱하며 혀를 내밀던 모습도, 노인과 바다의 주인공처럼 보이는 도꼬리 입은 헤밍웨이의 카리스마도, 9.11 테러로 사라진 쌍둥이 빌딩도, 슬픈 미소를 머금은 채 우리 곁을 떠난 아프리카 어느 고릴라에 대한 연민까지도 시간의 경계를 넘어서게 되었다. 마법사 카슈의 짓이었다.

 

아니, 이제 우리 모두가 단지 몇 푼의 수고만 들이면, 디지털 카메라 속에, 휴대폰 속에 그리고 미니홈피와 인터넷을 통해 또 다른 세계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무한해질 수 있게 되었다. 실로 축지법을 쓰고, 개인마다 타임머신을 가진 시대에 살고 있다. 지금, 우리는.

 

하지만 그 기적 같은 영속의 시간 속에서,

멀미나는 시간여행 속에서, 정작 굶주리고 잊혀진 하나의 진실이 있다.

‘돼지들의 소풍이야기’가 주는 교훈처럼 우리는 늘 자기 자신의 존재를 빼놓고 센다.

늘 내가 빠져 있다.

잠시라도 깨어있지 않으면 이 정신없는 롤러코스터 속에서 우리는 정신줄을 놓치게 된다.

그 속도와 쾌락에 미치지 않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기에.

 

그럼, 나에게 시간은 무엇인가.

 

누구에게나 시간은 같은 속도로 흘러가지 않는다.

누구는 헤어진 사랑을 잊지 못하고 스스로를 과거의 정지된 한 순간에 가두기도 하고,

바닷가 백사장에서 모래성 쌓기에 빠진 어린 아이는 시간으로부터 영원히 자유로울 것 같이 보이기도 한다.

육체라는 껍데기와 나 개인의 삶은 절대 숫자로 사망기록부에 그 유통기한을 표시할 수 있겠지만, 우리는 이미 오래전 죽은 사람들조차 그들의 말과 글을 통해서 지금도 만나고 있다. 조셉 캠벨이 그렇고, 버틀런드 러셀이 그렇고, 칼 구스타프 융이 또한 그렇지 않은가.

문제는 우리의 선택이다. 어떤 삶을 택할 것인가. 기껏해야 백년을 넘기지 못하는 시한부 인생에 얽매어 그것만이 삶의 전부인 것처럼 살 것인가. 또는 이미 남들이 정해놓은 질서와 체계 속에 자신을 묶어두고 충직한 톱니바퀴의 하나로 살아 갈 것인가. 아니면 진정으로 자신이 바라고 꿈꾸는 세상과 무한소통하면서 살 것인지. 그렇게 시간과 공간을 거슬러 자유로운 삶은 기껏 백년에 얽매이지 않을 수 있다. 우리는 불멸의 삶을 살 수도 있다.

 

불과 사백년만 거슬러 올라가면 조선 성종때까지만해도 여성들에게 제사권과 유산상속권이 있었다는 사실은 충격적이다. 절대 변할 것 같지 않아 보이는 한국의 봉건적 가부장제도도 그 뿌리의 깊이가 사백년밖에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국제사회에서 매우 오만해 보이는 미국의 역사도 채 이백년밖에 되지 않았으며, 그나마 국제사회에 얼굴을 내민 것은 2차 대전이 끝나고 부터니까, 채 육십년밖에 안된 일이다. 다시금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는 말이다.

또한 같은 시간을 살고 있지만, 영국에서 이혼녀의 삶은 한국에서처럼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당당히 자신의 삶을 선택해가는 모습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한국에서의 삶이 너무 힘들다면 영국을 택할 수도 있겠지만, 지금 우리를 힘들게 하는 이 편견과 고통조차도 영원하지 못하고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는 매우 새삼스러운 사실이 우리를 놀라게 하지 않느냔 말이다.

 

그럼, 다시 묻는다.

우리를 자유롭지 못하게 하는 것이 무엇인가.

기껏 백년을 넘지 못하는 절대 시간이 여전히 우리를 자유롭지 못하게 하고 있는 것인가. 아니면 거기에 얽매여 있는 우리 스스로 때문인가.

시·공간을 초월하는 무한 자유 속에 살면서도 정작 여전히 우리를 자유롭지 못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혀를 깨물었다. 딸기를 먹다가.

2010년 2월말, 어느 아침의 일이다.

 

 

 

IP *.154.57.140

프로필 이미지
신진철
2010.02.28 16:00:59 *.154.57.140
줄간격이며, 글씨체며 좀 신경 좀 써서 올리려고 하는데...영 익숙치가 않네요.
아직도 허접한 디지털 부적응에 아날로그 고집형 인간의 부족함을 널리 양해해주시길..
봄 비 그치고 참 좋은 일요일 오후네요...더구나 내일도 쉬잖아요..ㅎㅎ
프로필 이미지
박미옥
2010.02.28 16:13:46 *.53.82.120
기껏해야 백년을 넘기지 못하는 시한부 인생에 얽매어 살 것인가. 
                                    아니면 진정으로 자신이 바라고 꿈꾸는 세상과 무한소통하면서 살 것인지

참 쉽고도 어려운 문제입니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결론은 뻔한데
   그 뻔한 결론을 실천에 옮기기는 왜 이리 어려운지...

프로필 이미지
신진철
2010.02.28 16:26:29 *.154.57.140
그래도 재밌잖아요.사는 것이... 가끔씩은
전 그냥 씨-익 하고 한 번 웃어버립니다. 너무 심각해지려고 하면..
뭐.. 넘어지면 또 시작하면 되잖아요.. 까짓것...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0.03.01 04:50:30 *.106.7.10
네, 저도 가끔 너무 심각해지는 것을 느끼면 한번씩 웃어버립니다.
씨 ~ 익, 하구요 ^^
새 봄을 재촉하는 봄비 소리가 싱그럽고, 또 하루의 휴일이 있어서 더 좋은 3월의 첫날이네요 ㅎㅎ 
프로필 이미지
윤인희
2010.03.01 13:14:48 *.108.158.238
우리 힘 내시죠. 내일이 있으니까요.
힘들 때 말씀대로 그냥 씨익하고 웃으면서
홧팅!
프로필 이미지
신진철
2010.03.01 17:58:00 *.124.89.207
넵! 그냥 씨~익...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3.01 22:16:07 *.204.162.28
3주차 접어드니까 몸이 좀 풀리셨나요?ㅎㅎ
잘 읽었습니다. 변경연 시험이 중요하긴 하지만
드실 땐 혀에게도 애정을 쏟아주셔야겠네요~~
프로필 이미지
신진철
2010.03.02 00:04:00 *.186.57.133
ㅋㅋ 지가요.. 두가지를 동시에 잘못해요.
43년째 해오는 일인데도, 턱이 하는 일과 혀가 하는 일이..가끔씩 사고를 내요.
프로필 이미지
이은주
2010.03.02 02:57:39 *.83.68.7
.
인생 뭐 있나요  나 하고 싶은 일하고 건강하게 즐기면서 살면 되지 않을까요?
고민하시는 모습이 철학자 같으시네요. ㅎㅎ
프로필 이미지
신진철
2010.03.02 20:22:17 *.154.57.140
헐...철학자요? 으```~~음... 맞다.. 개똥철학...ㅋㅋ
프로필 이미지
한명석
2010.03.02 20:19:48 *.88.56.230
햐!  독자를 끌고 가는 힘이 대단하십니다.^^
저는 줄간격이,
생각하면서 읽으라는 의도인줄로 알았는데, 아니었나요?
프로필 이미지
신진철
2010.03.02 20:23:34 *.154.57.140
명석님, 왜 자꾸 염치없이... 거시기 하잖아요...자꾸이러시면emoticon
프로필 이미지
김연주
2010.03.06 17:16:43 *.152.55.9
무한 자유를 누리는 시대인데...정작...시간에 얽매여...너무 늦지 않았나 후회하기도 조급해하기도 하는 저를 봅니다~ 글 잘읽고 갑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79 딸기밭 사진편지 36 / 위로 file [2] 지금 2010.06.04 2203
1578 (서평)나의 길을 선명하게 비추어주는 수희향의『진짜공부』 엄콩쌤(엄명자) 2018.12.19 2203
1577 [7기지원] 2주. 관계란 무엇인가? [3] 강훈 2011.02.28 2204
1576 <10기 레이스 1주차 칼럼> 여행이란 무엇인가? - 이동희 file [7] 희동이 2014.02.10 2204
1575 매일쓰기39 : 말 한마디가 약자들에게 큰 힘이... [7] 인희 2010.08.22 2205
1574 딸기밭 사진편지 88 / 9월 3일 file [2] 지금 2010.09.04 2205
1573 [7기] 관계란 무엇인가? 이루미 2011.02.27 2205
1572 그가 먹는것과 읽는 것이 그사람이다 [2] 김나경 2007.09.10 2206
1571 매일쓰기44 : 대인관계에서의 진정한 마음 씀씀이 [1] 인희 2010.08.27 2206
1570 나는 코치다 (5. 지금 선택할 수 없다면 끝까지 가라) 백산 2011.09.09 2206
1569 [영원의 시 한편] 행복해진다는 것 정야 2014.12.26 2206
1568 [예비 7기] 1주차_새로 태어난다는 것은 [2] 김서영 2011.02.21 2208
1567 스스로 만드는 답 [5] 유관웅 2004.12.28 2209
1566 하동에 1박2일 아이들과 함께 다녀올게요. [4] 윤인희 2010.03.12 2209
1565 이해한다는 것.. [9] [2] 조영재 2009.02.23 2210
1564 [8기예비_학이시습]나에게 시란 무엇인가? [10] 학이시습 2012.03.05 2210
1563 너에게... 김세화 2005.03.28 2211
1562 인터뷰놀이 시나리오 ver2.0 윤인희 2011.05.28 2211
1561 타버린 연탄 한 장처럼 [3] 백산 2008.03.16 2212
1560 매일87 :모든 것을 말해도 안심이 되는 사람은 누구인가? [1] 인희 2010.10.10 2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