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김용빈
  • 조회 수 2496
  • 댓글 수 9
  • 추천 수 0
2010년 3월 8일 02시 09분 등록

주제 : 내 속에 무엇이 숨어 있는가? – 무의식에 대한 한 고찰

제목 : 일곱 살의 나

 

   내 속에 무엇이 숨어 있나 에 대해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른 생각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 였다. 그렇다, 거위는 매일 하나의 황금알을 낳았지만, 그 뱃속에는 아무 것도 없었다. 그 무엇인가가 황금알을 계속 만들었던 것이다. 물론 그 때는 X-ray 가 없었다. 하지만, 있었더라도 그 거위가 살아남기는 힘들었을 테지만.

   그 다음으로 떠오른 생각이, 오래 전 코스모스(우주)라는 TV 프로그램에서의 인상 좋은 천문학자 칼 세이건의 퍼포먼스 한 장면이었다. 사람을 구성하는 다양한 화학적 물질들(수소와 탄소, 산소 그리고 물 등)을 정확한 양과 비율로 양동이에 섞어 넣고 긴 막대기로 휘휘 젓고, 싱긋 웃으면서 하는 멘트 그런데, 왜 사람이 만들어지지 않을까요? 그 무엇인가가 부족한 거다. 생성시기의 온도나 압력 같은 환경의 미비일까? 아니면 신의 입김 부족? 그것도 아니면 양동이가 혹시 Made in China?
  

   이 두 가지로는 글감이 안되겠다 싶어, 이번엔 나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나는 왜 지금의 나가 되어 있을까? 프로이트의 무의식, 융의 집단적 무의식, 마이어스와 브릭스의 MBTI 등 내가 조금 아는 지식으로는 답에 이르기가 어려워 보였다. 하도 막막해서 급기야 초등학교 생활통지표를 찾아보게 되었다. 1학년에서 5학년까지의 - 6학년 것은 없었음 - 행동발달사항이나 특기사항 난을 보니, 오 맙소사! 지금의 나와 이렇게 같을 수가 있나? 당시 선생님의 글씨가 붉은색도 아닌데, 전율 비슷한 것을 느꼈다. 뭔가 중요한 보물을 잊고 살아온 느낌 같은 것이었다. 그렇다면, 지금의 나 아니, 상시 업데이트되어왔던 진행형의 나는 최소한 7세의 나와 언제나 동일했다는 것인데, 다른 것이 있다면, 내가 수십 년간 거쳐왔던 주변환경의 변화가 있었을 뿐이라는 얘기다. 지하철, 직장, 컴퓨터, 토익, 아파트, 인터넷, 승진, 스마트폰 등등.

   그렇다면, 어릴 적의 성격을 형성하는 것은 무엇일까? 우선, 유전적인 면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고, 취학 전 가정교육이나 많지 않은 경험을 통한 인식들일 것이다. 유아기에 형성된다는 프로이트적인 무의식의 영향은 아직도 느낌이 잘 오진 않고, 융의 집단무의식은 개인의 개별적인 특성과는 거리가 좀 있는 것 같고, MBTI는 초년의 심리유형에 대한 관련은 적은 편이다. 그래서 나는 비교적 객관적인 관찰에 의한 일곱 살의 나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더 나아가 그것이 유전의 영향 때문인지 아니면 짧은 유아시절의 경험이나 무의식의 결과인지 보다는, 수십 년 동안 변하지 않는 나의 일곱 살 때의 성격 - 마음의 고향이나 0의 고향 이라 부르면 어떨지? - 에 더욱 관심이 가게 되었다.
  

   일곱 살의 나가 오래도록 변하지 않는 것을 생각할 때, 사람이 제2 3의 고향을 만드는 것은 크게 문제될 것은 없으나, 마음의 고향을 떠나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것은 바로 자신으로부터 떠나는 것이며, 내가 아닌 다른 사람으로 살아가는 것이므로. 하지만, 나라는 것은 쉽게 변하는 것이 아니었다. 사람은 성장하면서 자기 자신을 떠날 국면을 자주 맞게 된다. 상급학교 진학이라든지, 전공의 선택 특히, 직업의 선택 등, 당시에 원하는 선택을 했든 원치 않은 선택을 했든, 이런 관문 자체를 피해갈 수는 없는 것이다. 문제가 되는 것은 주위의 권유나 화려한 유혹에 의해 또는, 현실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자기를 지켜나가지 못했던 것에 있다. 이렇게 일단 마음의 고향 혹은 0의 고향을 떠나게 되면, 기쁨은 짧고 고난은 길어진다. 산행을 하다가 갔던 길을 다시 돌아오는 것은 즐겁지도 않지만 쉽지도 않다. 하지만, 결국은 다시 돌아온다. 갈수록 기암절벽을 만나게 될 것이므로. 일곱 살의 성격이 평생토록 바뀌는 것이 아니니, 당연히 돌아올 수 밖에 없지 않겠는가.

 

   황금알을 낳는 그 무엇이 일곱 살의 나일지도 모른다. 성공의 싹마저 잘라버리는 어리석음은 피하기.

   그 양동이에 일곱 살의 나를 넣어 휘휘 저으면 나 같은 사람이 나오는 것은 아닐까? 무엇인가 부족했던 0%의 핵심요소를 무시하지 말기.

 

   이렇게 다짐해봅니다. Ω

IP *.152.233.13

프로필 이미지
윤인희
2010.03.09 00:26:37 *.108.158.238
4주간 고생 많으셨고요.
좋은 결과 있기를 기도드립니다.
만나서 좋은 말씀  듣고 싶네요.
홧팅
프로필 이미지
김용빈
2010.03.09 18:54:58 *.152.12.30
감사하고요, 
님께서도 정말 열심히 하셨던 것 같습니다. 저도 홧팅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이은주
2010.03.09 00:46:01 *.83.68.7
저는 아직도 황금알 믿고 싶어요. 너무 신나잖아요. 생각만해도...
다짐한 일 모두 이루시길 바랍니다 ^^
프로필 이미지
김용빈
2010.03.09 18:59:55 *.152.12.30
좋은 생각이네요...이제부터 황금알을 낳자고요~
동물도 좋아하시고 의지도 강하시니 잘 될 거 같네요!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3.09 09:13:39 *.236.3.241
2차 시험 준비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ㅎㅎ
프로필 이미지
김용빈
2010.03.09 19:03:05 *.152.12.30
아흐~ '2차 시험' ㅋㅋ - 이해해 주시니 고맙습니다!
앞으로 좋은 일 많이 생기시길 바라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연주
2010.03.09 21:27:13 *.203.200.146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라는 속담이 바로 어릴 적의 기억이 삶의 전체속에서 무의식으로 연결된다는 의미가 아니었을까 생각해봅니다. 일곱살의 기억...다시금 떠올려보는 시간을 갖게 됩니다~ 생각해보니...비슷한 부분이 많군요...
프로필 이미지
김용빈
2010.03.09 22:31:54 *.152.12.30
예...저도 글 쓴 후에 그 속담 생각 나더군요.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진 않겠지만, 지금 생각해도 이상해요.
어떻게 변하지 않을까? 아님, 운명을 변화시키려는 나의 노력이 부족했던 것인지?
정말~ '미스터리' 합니다. ^ ^
프로필 이미지
윤인희
2010.03.11 13:47:45 *.142.217.230
2차 합격을 축하드립니다.
뵐 수 있게 되어 반갑네요.
좋은 본을 받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69 내 속에 무엇이 숨어 있는가! [10] 최우성 2010.03.08 2690
2768 컬럼 4. 내속에 무엇이 숨어 있는가?(무의식에 대한 고찰) [6] 박상현 2010.03.08 2482
2767 '영감은 일상의 성실함에서 나온다'에 붙여 [7] 심장호 2010.03.08 2366
2766 칼럼4 도망치고 싶었다 [24] 신진철 2010.03.08 2279
» 기억 꿈 사상 (칼럼) [9] 김용빈 2010.03.08 2496
2764 내 속에 무엇이 숨어 있는가? - 김영숙 [16] 김영숙 2010.03.08 2488
2763 4. 내 안에 무엇이 있는가? [5] 맑은 김인건 2010.03.08 2568
2762 내 속에 무엇이 숨어있는가? [5] narara 2010.03.07 2500
2761 4. 내 속에 무엇이 숨어 있는가? - 무의식에 대한 고찰(노미선) [6] 별빛 2010.03.07 2314
2760 詩 원굉도의 '독서' 김지현 2010.03.07 2612
2759 4. 내 속에 무엇이 숨어 있는가 ? - 무의식에 대한 고찰 [15] 미나 2010.03.07 2351
2758 컬럼4주차 - 내 속에 무엇이 숨어 있는가? [14] 이은주 2010.03.07 2403
2757 4 내 속에 무엇이 숨어 있는가? 사실은 대단한 나! [7] 윤인희 2010.03.07 2889
2756 [오리날다] 방귀대장 마빡이 술 마시는 초딩 file 김미영 2010.03.05 3110
2755 나에게 시간이란 무엇인가..? 숲속나무 2010.03.02 2674
2754 네번째 에세이_나에게 시간이란 [7] 김혜영 2010.03.01 2790
2753 딸기밭 편지 11 / 게임 file 지금 2010.03.01 2710
2752 3. 나에게 시간은 무엇인가?(노미선) [9] 별빛 2010.03.01 2290
2751 <3주차 컬럼> 시간의 풍경, 시대의 풍광 [6] 박상현 2010.03.01 2292
2750 <나에게 시간은 무엇인가?> [4] 김연주 2010.03.01 2368